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금포가〔錦袍歌〕 - 동명집 제8권

금포가〔錦袍歌〕 - 동명집 제8권 : 동명(東溟) 정두경(鄭斗卿, 1597~1673)


그댄 보지 못하였나 / 君不見
금남군 정 절도사를 / 錦南鄭節度
그댄 보지 못하였나 / 君不見
함릉군 이 사군을 / 咸陵李使君
이 두 영웅 발해 바다 동쪽에서 태어나서 / 兩雄挺生渤海左
삼한 사직 곤륜산과 같이 안정되게 했네 / 三韓社稷安崑崙
장안에선 선비들 다 이 두 영웅 기리거니 / 長安布衣尙雄俠
안 그러면 무슨 수로 장군 알 수 있었으랴 / 不然何以知將軍
올해 내가 수천 리 밖 외방 향해 나아가자 / 今年我向數千里
이별 임해 비단 한 필 내게 선사해 주었네 / 臨別贈我一段綺
그들 위해 옷 마름해 그들의 정 받았으매 / 爲君裁衣領君情
서생인 나 비단옷을 입자 모두 놀라누나 / 書生衣錦人皆驚
양쪽 소매 휘저으매 쌍 원앙이 날거니와 / 兩袖披拂雙鴛鴦
왼 소매엔 숫원앙이 수놓이었고 / 左袖雄鴛鴦
오른쪽엔 암원앙이 수놓이었네 / 右袖雌鴛鴦
두 원앙이 나란하게 함께 날지 못하거니 / 鴛鴦不得長比翼
인생에서 서로 그리는 걸 어찌 원망하랴 / 人生何恨長相憶
서로 간에 떨어져서 그리워하매 / 長相憶
이를 보자 괜히 머리 희게 세거니 / 對此空白首
차라리 이 비단 도포 훌훌 벗어 남에게 줘 / 不如脫袍贈他人
신풍에서 술 사 먹게 하는 것이 더 좋으리 / 留却新豐典春酒


[주-D001] 금포가(錦袍歌) : 
남은경은 이 시를 정두경의 시문학 가운데 가행시(歌行詩)로 분류하고, 가행시 가운데서도 영물적가행(詠物的歌行)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시는 3, 5, 7로 이루어진 장단구로 된 작품이다. 이 시는 시구의 내용에 따라 압운(押韻)도 양(揚)하다가 억(抑)하고, 다시 양하다가 억하는 변화를 이루어 시인의 감정의 기복을 그리고 있고, 압운의 소밀(疏密)에 의해 속도의 변화도 이루어 시인 정서의 격변을 알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 또 기본 글자는 7자로 하면서, 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그 내용을 강조해야 할 때는 글자 수를 3자와 5자를 이용해 변화를 주고 있다.”라고 하였다. 《남은경, 東溟 鄭斗卿 文學의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8, 144쪽》
[주-D002] 금남군(錦南君) 정 절도사(鄭節度使) : 
정충신(鄭忠信, 1576~1636)을 가리키는 듯하다. 정충신의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이다. 1592년(선조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 목사(光州牧使)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종군하였다. 1624년(인조2)에는 안주 목사(安州牧使)로 방어사(防禦使)를 겸임하고 있던 중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도원수 장만(張晩)의 휘하에서 전부대장(前部大將)이 되어 이괄의 군사를 황주와 서울 안산(鞍山)에서 무찔러 진무 공신(振武功臣) 1등으로 금남군에 봉해졌다. 정묘호란 때에는 부원수를 지냈고, 이후 경상도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주-D003] 함릉군(咸陵君) 이 사군(李使君) : 
이해(李澥, 1591~1670)로,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자연(子淵), 호는 농옹(聾翁)이다. 1623년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정사 공신(靖社功臣) 2등에 책록되고 함릉군에 봉해졌다. 1624년에 개성부 유수가 되었으며, 이후 형조 판서를 지냈다. 1652년(효종3)에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처음에 충정(忠靖)으로 시호를 받았다가, 숙종 때 충민(忠敏)으로 개시되었다.
[주-D004] 곤륜산(崑崙山) : 
전설 속에 나오는 최고의 영산(靈山)으로, 중국의 서쪽 지역에 있으며, 서왕모(西王母)가 이곳에 산다고 한다.
[주-D005] 신풍(新豐) : 
중국의 지명으로, 이곳에서는 아주 맛 좋은 술이 생산되는데, 그 술을 신풍주라고 한다. 왕유(王維)의 시에 “신풍 땅의 맛 좋은 술 한 말에 만 전이고, 함양 땅의 유협 중엔 젊은이가 많네.〔新豐美酒斗十千 咸陽遊俠多少年〕”라고 한 구절이 있다. 《王右丞集 卷14 少年行》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