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금남군 정충신에 대한 만시, 4수 〔錦南君鄭忠信挽, 四首〕 - 동명집 제5권

금남군 정충신에 대한 만시, 4수 〔錦南君鄭忠信挽, 四首〕 - 동명집 제5권 : 동명(東溟) 정두경(鄭斗卿, 1597~1673)

황각으로 인하여서 발탁됐으매 / 拔擢因黃閣
젊은 나이 때에부터 날아올랐네
/ 飛騰自黑頭
몸은 비록 군사 일에 종사했지만 / 身雖事鞍馬
책은 춘추 좋아하는 기벽 있었네
/ 書是癖春秋
호도책을 써서 적을 격파하였고 / 賊破虎韜策
용액후의 높은 관작 봉해졌다네 / 官封龍額侯
무덤 모습 기련산을 형상했거니 / 祈連如象塚
무덤 이에 안현 본떠 만들었다네 / 鞍峴作斯丘

훈업 보면 서쪽 변경에서 이뤘고 / 勳業從西塞
웅대한 맘 북쪽 오랑캐에 있었네
/ 雄心在北胡
애석하게 허리 아래 차고 있던 칼 / 惜哉腰下劍
입 속에 든 구슬로다 되어 버렸네
/ 奄是口中珠
활쏘기는 천호의 법 터득하였고 / 射得天弧法
진영 보면 태을도를 전해 받았네 / 營傳太乙圖
곽 표요가 그 옛날에 지었던 집의 / 嫖姚舊治第
문 앞으로 난 길 날로 황폐해지리 / 門逕日荒蕪

공 세운 건 말 달리길 잘해서였고 / 功以能馳馬
명성은 또 글 잘 지어 이룩하였네 / 名因善屬文
한 호통에 역적 무리 사로잡았고 / 一呼擒逆竪
만번 죽어 밝은 임금 은혜 갚았네 / 萬死報明君
군진 풀자 병사들은 비와 같았고 / 陣解兵如雨
높이 솟은 운대 속에 화상 걸렸네 / 臺高畫入雲
장안에서 상여꾼들 길을 떠나니 / 長安發玄甲
되레 옛날 행군하던 때와 비슷네 / 還似舊行軍

한해 지역 임할 날이 가까웠는데 / 瀚海臨將近
기련산의 무덤 홀연 높이 솟았네 / 祈連塚忽高
사신들은 기린각서 공 칭송하고 / 詞臣頌麟閣
장사들은 용도 계책 생각하누나 / 壯士憶龍韜
스스로가 삼군 장수 이루었거니 / 自致三軍帥
어찌 일대 영웅호걸 아니겠는가 / 寧非一代豪
젊은 시절 도필리로 있었던 것이 / 少時刀筆吏
어찌 소조 병통이라 할 수 있으랴
/ 安可病蕭曹


[주-D001] 정충신(鄭忠信) : 
1576~1636.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이괄(李适)의 난 때 공을 세워 진무 공신(振武功臣) 1등으로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다. 1627년(인조5) 정묘호란 때에는 부원수(副元帥)로 있었다. 천문(天文)ㆍ지리ㆍ복서(卜筮)ㆍ의술(醫術) 등 다방면에 해박하고, 청렴하기로도 이름이 높았다. 문집에 《만운집(晩雲集)》, 저서에 《백사북천일록(白沙北遷日錄)》, 《금남집(錦南集)》 등이 있다.
[주-D002] 황각(黃閣)으로 …… 날아올랐네 : 
정충신이 어린 나이 때부터 정승의 칭찬을 받아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는 뜻이다. 황각은 정승이 집무하는 청사를 말하는데, 한나라 때 승상의 청사 문을 황색으로 칠하여 궁궐과 구분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정충신은 임진왜란 때 17세의 어린 나이로 광주 목사(光州牧使) 권율(權慄)의 명으로 선조가 있는 의주(義州)까지 갔다가 당시 병조 판서로 있던 이항복(李恒福)의 눈에 들어 크게 칭찬을 받았으며, 그해 가을에 행재소에서 실시하는 무과에 응시하여 합격하였다.
[주-D003] 몸은 …… 있었네 : 
무장으로서 학문에도 조예가 깊었음을 뜻한다. 진(晉)나라 두예(杜預)는 자가 원개(元凱)인데 장군이며 학자로서 박학했고, 특히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을 매우 좋아하여 스스로 《춘추좌씨전》의 벽(癖)이 있다고 하였다. 《晉書 卷34 杜預列傳》
[주-D004] 호도책(虎韜策) : 
병법(兵法)을 말한다. 주(周)나라 여상(呂尙)이 지은 《육도(六韜)》라는 병서(兵書) 속에 〈호도(虎韜)〉라는 편명이 들어 있다.
[주-D005] 용액후(龍額侯) : 
용액은 중국의 지명이다. 한 무제(漢武帝) 때의 장군인 한열(韓說)이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 지역에 갔다가 이들을 정벌한 공로로 용액후에 봉해졌다. 《史記 卷111 衛將軍驃騎列傳》 여기서는 정충신이 장만(張晩)의 휘하에 있으면서 공을 세웠으므로 끌어다가 썼다.
[주-D006] 무덤 …… 형상했거니 : 
기련산(祈連山)은 중국 서부 지역에 있는 산으로, 감숙성(甘肅省) 청해(靑海)에 있는 산인 천산(天山)을 가리키는 말이다.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곽거병(霍去病)이 기련산 주위에 있는 흉노족을 정벌하기 위하여 여섯 차례나 출정하여 큰 공을 세웠는데, 그가 죽은 뒤에 그의 무덤 위 봉분을 기련산 모양으로 만들어 그의 공적을 기렸다. 《史記 卷111 衛將軍驃騎列傳》
[주-D007] 무덤 이에 …… 만들었다네 : 
정충신의 공을 기리기 위하여 정충신의 무덤은 안현(鞍峴)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는 뜻이다. 정충신의 묘는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地谷面) 대요리 마힐산(摩詰山)의 국사봉 중턱에 있다. 안현은 서울의 질마재를 말한다. 정충신은 이괄의 난 때 안현에서 이괄의 군사를 물리쳤다.
[주-D008] 훈업(勳業) …… 있었네 : 
정충신이 정묘호란 때 평안도 일대에서 공을 세웠으며, 이후 오랑캐인 청나라를 치고자 하는 뜻을 품고 있었다는 뜻이다.
[주-D009] 애석하게 …… 버렸네 : 
용맹을 뽐내던 장수인 정충신이 죽었다는 뜻이다. ‘입 속에 든 구슬’은 시체를 염(殮)할 때 쌀과 구슬을 죽은 사람 입에 넣어 머금게 하는 반함(飯含)의 절차를 말한다.
[주-D010] 천호(天弧) : 
남방 칠수(七宿) 가운데 정수(井宿)에 소속된 별자리인데, 아홉 개의 별이 활 모양을 이루고 있다. 전하여 활을 아주 잘 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주-D011] 태을도(太乙圖) : 
군사를 운용하는 방법을 적은 병서(兵書)를 말하는 듯하다. 정도전(鄭道傳)의 저술 가운데 《태을칠십이국도(太乙七十二局圖)》가 있다.
[주-D012] 곽 표요(霍嫖姚) : 
한(漢)나라 무제 때의 표기장군으로 있었던 곽거병(霍去病)을 가리킨다. 그는 표요교위(嫖姚校尉)로 있으면서 기련산 주위에 있는 흉노족들을 정벌하기 위하여 여섯 차례나 출정하여 큰 공을 세워 표기장군(驃騎將軍)이 되고 관군후(冠軍侯)에 봉해졌다. 《漢書 卷55 霍去病傳》
[주-D013] 공 …… 잘해서였고 : 
정충신이 17세의 어린 나이에 권율의 명을 받아 왜군들이 가득한 길을 단신으로 뚫고 행재소까지 갔으므로 한 말이다.
[주-D014] 명성은 …… 이룩하였네 : 
정충신이 무장(武將)이면서도 글재주가 있어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천문ㆍ지리ㆍ복서ㆍ의술 등 다방면에 걸쳐 정통하였으므로 한 말이다.
[주-D015] 높이 …… 걸렸네 : 
정충신이 이괄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에 봉해진 것을 말한다. 운대(雲臺)는 한(漢)나라의 명제(明帝)가 전대(前代)의 공신들을 추모해서 28명 장수의 화상을 그리고 이것을 보관하기 위하여 쌓은 대(臺)로, 전하여 공신각(功臣閣)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주-D016] 한해(瀚海) …… 가까웠는데 : 
북쪽으로 오랑캐들을 정벌할 날이 가까웠다는 뜻이다. 한해는 몽고의 항원산(杭爰山)에 대한 음역(音譯)이다. 한나라 때 곽거병(霍去病)이 이곳에 여섯 번 출정하여, 멀리 사막을 건너고 봉선(封禪)을 행하며 한해에 등림(登臨)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漢書 卷55 霍去病傳》 여기서는 변경 지방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주-D017] 기련산(祈連山)의 …… 솟았네 : 
정충신이 죽어 장사 지냈다는 뜻이다. 기련산(祈連山)은 중국 서부 지역에 있는 산으로, 감숙성(甘肅省) 청해(靑海)에 있는 산인 천산(天山)을 가리키는 말이다.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곽거병(霍去病)이 기련산 주위에 있는 흉노족을 정벌하기 위하여 여섯 차례나 출정하여 큰 공을 세웠는데, 그가 죽은 뒤에 그의 무덤 위 봉분을 기련산 모양으로 만들어 그의 공적을 기렸다. 《史記 卷111 衛將軍驃騎列傳》
[주-D018] 기린각(麒麟閣) : 
공신들의 화상을 모셔 놓은 전각을 말한다. 한나라 선제(宣帝) 때 곽광(霍光) 등 공신 11명의 화상을 그려서 미앙궁(未央宮) 안에 기린각을 짓고 모시어 그들의 공적을 기렸다.
[주-D019] 용도(龍韜) : 
병법(兵法)을 말한다. 주(周)나라 여상(呂尙)이 지은 《육도(六韜)》라는 병서(兵書) 속에 〈용도(龍韜)〉라는 편명이 들어 있다.
[주-D020] 젊은 …… 있으랴 : 
정충신이 미천한 집에서 태어났으며,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정병(正兵)으로서 지인(知印)의 직임을 맡고 있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권율의 명으로 의주(義州)의 행재소에 갔다가 발탁되어 끝내 큰 공을 세워 나라의 간성이 되었으므로 한 말이다. 도필리(刀筆吏)는 칼이나 문서를 맡은 하급 관리를 말한다. 소조(蕭曹)는 한(漢)나라의 개국 공신(開國功臣)인 소하(蕭何)와 조참(曹參)을 말한다. 이들은 원래 도필리로 있다가 유방(劉邦)을 도와 한나라를 건국하였다. 《한서》 권39 〈소하조참전(蕭何曹參傳)〉의 찬(贊)에 이르기를 “소하와 조참은 모두 진나라의 도필리 출신으로서, 당시에는 볼만한 행실이 없이 녹록하기만 하였다. 그러다가 한나라가 일어나자 해와 달의 후광을 의지하면서, 소하는 성실하게 근거지를 지켰고, 조참은 한신과 함께 정벌에 나섰다.”라고 하였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