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광주 목사로 가는 신여만을 전송하다, 2수 〔送申光州汝萬, 二首〕- 동명집 제4권

광주 목사로 가는 신여만을 전송하다, 2수 〔送申光州汝萬, 二首〕- 동명집 제4권 : 동명(東溟) 정두경(鄭斗卿, 1597~1673)

광주부의 고을이야 내 못 봤지만 / 不見光州
서석산의 그 이름은 들어 보았네 / 猶聞瑞石山
그 가운데 있는 그대 이은이거니 / 此中君吏隱
다음 해엔 임금이 꼭 불러올리리 / 來歲上徵還
그리고 또 유명 간에 느낌 있거니 / 且有幽明感
내가 전에 계맹 간에 교분 맺었네
/ 曾交季孟間
성 남쪽서 가는 오마 전송을 하매 / 城南送五馬
머리카락 반백 된 걸 퍼뜩 깨닫네 / 偏覺鬢毛斑


내 젊어서 선승상을 배알했으며 / 少謁先丞相
인하여서 두 아들과 교유하였네 / 因從兩胤遊
매번 홍안 행렬의 뒤 따라다니며 / 每隨鴻鴈序
여러 차례 봉황루에 올라갔었네 / 屢上鳳凰樓
옛 친구라 늘 정겹게 말 나눴거니 / 道故常私語
백발 되어 만나 어찌 생소하리오
/ 如新豈白頭
길 떠남에 임해 되레 말해 주나니 / 臨行還有贈
노력하여 걱정 나눈 직분 잘하소 / 努力愼分憂


[주-D001] 신여만(申汝萬) : 
신익전(申翊全, 1605~1660)으로,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여만, 호는 동강(東江)이다. 신흠(申欽)의 아들이다. 병자호란 뒤에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다가 돌아와 부응교ㆍ사인(舍人)ㆍ사간을 거쳤으며, 이어 광주 목사(光州牧使)를 지냈는데, 신익전이 광주 목사에 제수된 것은 《동강유집(東江遺集)》 권17에 나오는 〈가장(家狀)〉을 보면, 1645년(인조23) 겨울로 되어 있다. 저서로는 《동강유집(東江遺集)》이 있다.
[주-D002] 서석산(瑞石山) : 
광주(光州)에 있는 무등산(無等山)의 별칭이다.
[주-D003] 이은(吏隱) : 
관직에 있으면서도 은자(隱者) 같은 생활을 하며 이록(利祿)에 마음을 두지 않는 것을 말하는데, 흔히 경치 좋은 고을의 수령으로 있는 것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주-D004] 그리고 …… 맺었네 : 
동명이 신익전의 형인 동양위(東陽尉) 신익성(申翊聖)과도 교분을 맺었는데, 신익성은 신익전이 광주 목사에 제수되기 한 해 전인 1644년(인조22)에 죽었으므로 한 말이다.
[주-D005] 오마(五馬) : 
말 다섯 마리가 끄는 수레로, 태수가 부임할 적에 이 수레를 타고 갔으므로, 한 고을의 수령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주-D006] 선승상(先丞相) : 
신익전의 아버지인 신흠(申欽)을 가리킨다. 신흠이 영의정을 지냈으므로 한 말이다.
[주-D007] 매번 …… 따라다니며 : 
신익전 형제들과 자주 어울려 다녔다는 뜻이다. 홍안(鴻鴈) 행렬은 형제간에 길을 갈 적에 동생이 형의 뒤를 따라가는 것을 말하는데, 전하여 형제를 뜻하는 말로 쓰인다.
[주-D008] 여러 …… 올라갔었네 : 
동명 자신이 자주 동양위 신익성의 집에 갔었다는 뜻이다. 봉황루(鳳凰樓)는 진(秦)나라 목공(穆公)이 그의 딸인 농옥(弄玉)을 위하여 만들어 준 누각으로, 봉루(鳳樓)라고도 한다. 농옥이 음악을 좋아하였는데, 소사(蕭史)가 퉁소를 잘 불어서 봉새가 우는 것 같은 소리를 냈다. 이에 목공이 농옥을 그에게 시집보내고 누각을 지어 주었는데, 이들 두 사람이 퉁소를 불면 봉황이 날아와서 모였으며, 이들은 그 뒤에 봉황을 타고 날아갔다고 한다. 《列仙傳》 여기서는 신익성이 선조(宣祖)의 사위이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주-D009] 옛 친구라 …… 생소하리오 : 
어렸을 적부터 오랫동안 사귀어서 서로 간에 정이 푹 들었다는 뜻이다. 《사기(史記)》 권83 〈추양열전(鄒陽列傳)〉에 “백발이 되도록 오래 사귀었어도 처음 만난 사이처럼 생소하기만 하고, 수레를 처음 맞댄 사이이면서도 옛 친구를 대하는 것처럼 느껴진다는 속담이 있는데, 이것은 무슨 뜻이겠는가. 바로 상대방을 알고 모르는 차이를 말하는 것이다.〔諺曰 有白頭如新 傾蓋如故 何則 知與不知也〕”라고 하였다.
[주-D010] 노력하여 …… 잘하소 : 
광주 목사의 직임을 잘 수행하라는 뜻이다. ‘걱정 나눈 직분’은 임금의 걱정을 나누어 맡는다는 뜻으로, 지방의 수령이 되는 것을 말한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