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풍암동 12당산과 도둑

서구 풍암동의 옛 신암마을을 비롯 인근 매월동 동산마을, 임암동 화방마을엔 남아있는 고인돌군은 신석기시대부터 사람들이 살았다는 흔적을 보여주는 것으로 주거의 역사가 장구한 곳이지요. 풍암지구 아파트 단지 안에 있는 신암근린공원과 금호아파트 옆의 근린공원에는 이들 마을에서 옮겨온 신석기시대의 역사를 증명하는 고인돌과 선돌이 옮겨져 복원돼 있습니다.

지금 옮겨져 오기 전의 고인돌과 선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마을의 역사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지요. 풍암지구 금호아파트 근처에 있는 근린공원과 주은모아아파트 뒤편에 있는 신암근린공원이 있는데 예전에 온 동네 대소사가 전해지던 사랑방 같은 시암()가 있었어요. 신암마을은 시암이 신암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신암마을 안에는 옛날에 샘이 많았어요. 특히 지금 이 할머니 당산나무가 있던 인근 금호아파트 1차 단지 안에는 말샘물이라 해 겨울에는 따뜻한 샘물이, 여름에는 차디찬 샘물이 나오는 곳이었어요. 신암마을 사람들은 여름이건, 겨울이건 이곳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마을의 대소사를 서로 논의했지요.

이렇게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이 살아온 신암마을은 뒤쪽으로는 금당산이 자리하고, 앞으로는 저수지와 너른 들판이 있어 전체가 명당으로 불릴만했지요.

이 신암마을 입구에 수백 년의 수령을 지닌 당산나무가 있었죠. 어른들한테 들은 이야기로는 이 마을에 무려 ‘12당산나무가 있었다고 해요. 그런데 어렵사리 나무들이 자라더니 지금은 두 그루만 남았죠.

"어릴 때는 이 당산나무를 붙잡고 동네 아이들과 놀았어요. 할아버지 당산은 아래쪽에 큰 구멍이 뚫려있어 그곳에서 놀기도 하고, 겨울에는 구멍 안에서 불을 지피고 앉아 놀기도 했어요. 그러다가 40여 년 전에 할아버지 당산이 죽었지요. 아무래도 우리가 죽인 것 같아 늘 죄송스런 마음뿐이지요. 다행히 할머니 당산이라도 살아남아 당산제를 지낼 수 있으니 그나마 걱정을 덜게 됐습니다."

신암근린공원에서 100m 쯤 떨어진 금호아파트 101동과 102동 뒤편에는 두 팔을 뻗은 것 마냥 푸른 잎이 무성한 당산나무를 발견하게 됩니다. 이 당산나무는 지금 할머니 당산이라 부르는데 할아버지 당산은 아깝게도 1960년대 중반 고목이 되어 유실되고 말았습니다. 오래 전 이곳에 12당산이 있었는데 각 당산마다 큰아버지 당산, 큰어머니 당산, 작은아버지 당산, 작은어머니 당산 등 이름이 붙여져 있었고, 마을사람들은 매년 정월 보름이 되면 지성으로 당산제를 올렸지요.

198213왕버들 보호수로 지정된 이 할머니 당산나무는 둘레가 4.6m, 높이가 15m로 풍암지구 인근에서 발견된 선돌 및 고인돌과 함께 자리하고 있어요. 마을 입구에서 있던 당산나무는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뿌리째 뽑혀져 버릴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마을 주민들이 건설회사와 싸워가면서 이 나무를 지켰다고 합니다.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없어질 번한 것을 주민들 요구에 따라 공원 한 켠에 자리하게 됐지만 여전히 위력을 잃지 않은 모양새예요.

12당산나무는 옛날부터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이었지요. 그래서 옛날 신암마을에 도둑이 들어도 쉽게 도망가지 못했다고 그래요. 이와 관련한 옛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한 번은 도둑이 들어 한 밤중에 어떤 집의 소[]를 훔쳐 갔어요. 도둑은 이 소 고삐를 잡고 밤새도록 마을길을 꼬불꼬불 걸어 나갔다고 해요. 이미 한 번 들러서 나가는 길을 봐둔 터라 나름대로 작은 안터큰 안터를 지나 염주마을을 넘어 빠져나갔다고 생각했죠. 도둑은 이렇게 밤새도록 걸어 새벽녘이 다가오자 상당한 거리를 나왔다고 안심하고 한 나무 밑에 앉아 숨을 돌리며 담배 한 대를 물고 있었어요. 그런데 소 주인이 나타나 이 소도둑놈아, 내 소를 훔쳐가려고 하느냐라고 달려오자 도둑은 마치 이른 아침 농사를 짓기 위해 소를 몰고 나온 다른 마을 주민인 냥 무슨 소리요, 이것은 내 황소요라고 대꾸하다가 소주인이 너는 이 마을 사람도 아닌데 여기서 무슨 황소를 끌고 간다는 말이냐하며 멱살을 쥐어잡았습니다."

이렇게 도둑은 멱살을 잡힌 채 정신을 차렸으나 신암마을 입구를 떠나지도 못한 채 열두 당산나무 주위만 빙빙 돌았던 것이지요.

당산제는 논농사를 짓던 시절 마을 주민들은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올렸다. 주민들이 농사를 짓고 생활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이 당산나무에서 지신제, 천신제, 용신제 등 갖가지 당산제를 지내왔다. 보통 당산제는 마을의 조상신이나 수호신에게 지내는 제사로 이것은 마을의 평안과 풍요 등을 기원하기 위해서 지낸다. 당산제는 제사와 굿의 이중성격을 갖고 있는 점이 특이하며 축제 분위기로 부락민의 유대강화에 큰 역할을 한다. 풍암지구에서는 아파트 대단지가 들어섰음에도 불구하고 당산제를 지내고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