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왕조대와 견훤대

예로부터 광주에는 왕조대王祖臺라 명명하던 곳이 있었지요. 왕조대는 왕이 머문 곳 또는 왕이 군진軍陣을 친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왕이란 다름 아닌 고려 왕조의 건국자인 태조 왕건을 말합니다.

이 왕조대에 얽힌 이야기는 지금으로부터 1천 년 전으로 올라갑니다. 어느 해 광주천 하류의 너른 들에서 왕건과 견휜의 군대가 결전을 앞두고 대치했지요. 광주는 견훤의 심장과 다름이 없는 곳이었습니다. 왕건이 나주에서 오다련의 딸(왕건의 둘째부인인 장화왕후 오씨)과 결혼했듯 견훤도 광주 북촌이란 동네에서 한 여인을 만나 사랑을 키웠지요. 그만큼 그들에게 나주나 광주는 자신들의 정치기반을 이룬 소중한 공간이었지요. 이들은 현지인과 관계를 통해 지지기반을 굳건히 다져나갔죠.

당시 왕건과 견훤은 결전을 앞두고 지휘소를 차렸습니다. 왕건의 지휘소는 훗날 왕조대라고 하고, 견훤의 지휘소는 견훤대甄萱臺라 부르던 관행은 이때부터 비롯됐다고 보면 됩니다.

왕조대는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19세기 조선의 지리학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언급되고 있어 그 위치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왕조대는 광주 관아에서 서쪽으로 30리 지점에 있고, 견훤대와 마주보고 있습니다.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왕조대가 서창마을 북쪽에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지요.

특히 여지도서왕조대와 견훤대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거리에 있다고 명기된 기록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견훤대를 다룬 옛 문헌들은 하나 같이 그곳이 광주 관아로부터 북쪽으로 15리 떨어진 곳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어요.

견훤대는 오늘날 북구 생룡동 뒷산에 있는 토성 터일 것이란 추정이 있어요. 이 추정의 근거는 고려 충렬왕 때의 보각국사 일연一然 스님이 신라 고구려 백제 3국의 유사를 모아서 지은 역사서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견훤이 광주 북촌의 여인에게서 태어난 인물이었다고 적고 있는 점, 생룡동 근처인 담양군 대전면 사람들이 예전부터 자기 동네에 무진주의 치소治所가 있었다고 믿었던 사실, 생룡生龍이라는 동네 이름이 용, 즉 임금이 태어난 곳이란 의미를 함축하고 있을 것이라는 추정 등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더욱이 생룡동 뒷산에 토성의 흔적까지 있어 이런 심증을 더욱 굳히게 합니다.

생룡동은 옛 거리상 북쪽 40리에 있었던 동네인데 견훤대가 북쪽 15리에 있었다는 기록과 40리는 큰 차이가 납니다. 나아가 견훤대의 위치에 대해서는 조선시대부터 다른 주장이 있었는데 대동여지도에는 견훤대가 황계면(현재의 운암동 일대)의 남쪽에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현재 지형도로 보면 그 위치에 있는 산은 대마산(일명 석산) 입니다.

1879년 간행된 광주읍지光州邑誌에 황계면은 서북쪽 20리에 있다고 했고, 18세기에 제작된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에도 황계면은 관아에서 가깝게는 10, 멀게는 15리에 걸쳐 있다고 합니다. 황계면은 옛 광주읍성의 북문을 통해 갈 수 있는 곳이므로 북쪽 20리로 추정돼 견훤대가 있다는 15리와 비슷한 거리이기 때문에 거리 기록상으로 대마산을 견훤대로 보는 것은 무리가 없어 보인다는 것입니다.

견훤대의 위치만큼이나 왕조대의 위치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합니다. 일부에서는 남구 대촌동의 백마산 혹은 그 주변의 여러 산봉우리 중 하나가 왕조대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요. 여지도서에 따르면 왕조대의 위치를 언급하며 견훤대와 서로 마주보고 있다’[與甄萱臺 相對]라고 하는 문구가 나오죠. 왕건이 머문 나주시 노안면 학산리의 봉호마을로도 또한 왕조대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여지도서나 광주읍지 등에는 왕조대가 광주 관아에서 서쪽 30리 지점에 있다고 했고, 김정호의 또 다른 지리서 대동지지大東地志에서는 생압진나루가 서쪽 30리에 있다고 했습니다. 이 생압진나루 옆에 있는 산이 사월산獅月山인 것입니다.

실제 사월산 정상에 오르면 견훤대로 추정되는 대마산이 보여야 하는데 건물들로 가득 메워져 건너편 대마산이 제대로 보이지 않습니다. 육안으로 바라볼만한 거리에 대한 입증을 하기가 어려워진 것이죠. 눈앞의 건물들이 없다면 손에 잡힐 듯 가깝고 또렷하게 보였을 것입니다. 따라서 사월산 역시 옛 고려 태조 왕건이 견훤과 맞서 싸울 때 전투지휘소를 차렸던 왕조대의 후보지가 될 만한 곳 가운데 하나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물론 사월산을 왕조대라고 꼭 집어 단정 지을 수는 없어요. 벽진동의 사월산이나 유덕동의 덕산 등 영산강변에는 견훤과 관련된 설화가 깃든 곳이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조선 중기 선조 때의 문신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이 풍영정 주변의 풍광을 읊은 시가운데 이 정자 앞에 과거 견훤이 왕건의 군대로부터 포위당했다가 용케 벗어난 곳이 있다고 한 구절도 있어요. 이중 유덕동 덕산도 그 후보지였겠지만 대동여지도에는 덕산과 견훤대는 전혀 위치가 다른 곳으로 표시돼 있어 그 후보지가 아닐 가능성도 높습니다.

여지도서에는 왕조대의 지명 유래가 언급되어 존귀한 이의 성명을 함부로 불러서는 안 된다는 예법에 따라 왕조대라는 이름을 쓰게 됐다고 해 원래 이름은 왕건대王建臺가 아니었나 추정하고 있습니다.


사월산은 서창동 관할인 벽진동에 소재한 산으로, 고도 101.6m로 아담하다. 광주-송정리간 도로에서 공항 혹은 순환도로 접어들기 전 좌측에 솟아있는 산으로, 광산 탁씨 시조산과 공군 탄약고 등성이를 지나 자리하고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