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충신-거지 사행(使行) 2천리

조선 중기의 무신이자 광주 지역 아전이었던 충무공 정충신鄭忠信(15761636)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 권율權慄 장군의 휘하에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충신은 거지 복장을 했지요.

임금에게 장계狀啓를 전해야 하는 데 왜군들이 길을 점령하고 있어 갈 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장계를 전달할 사람을 찾았으나 아무도 자원하지를 않았습니다. 그런데 당시 17세에 불과했던 정충신이 선뜻 자원, 장계를 무사히 전달해 주위를 놀라게 했지요.

이 무렵 호남의 정세도 긴박하게 돌아갔습니다. 권율 장군은 왜적이 침입하자 호남 각지에서 들고 일어선 수천의 의병을 이끌고 전북 일대와 호남 각지에서 왜적을 무찌른 승전의 소식과 이곳 호남의 정세를 의주에 계신 임금에게 알려야만 했어요.

그러나 왜적이 팔도에 들끓어 임금에게 보고하는 장계를 전할 길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권율 장군은 장계를 행재소에 전달할 사람 모집에 나설 수밖에 없었지요. 아무도 응하지 않았는데 정충신이 그 중대하고 위험한 일을 하겠다고 선뜻 자청하고 나선 것이지요.

주위에서 말렸지만 그는 끝까지 결심을 굽히지 않았다고 합니다. 더구나 그때는 삼복이어서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로 굳이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힘들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잘못하면 장계를 전달하러 가는 길에 왜군에게 붙잡혀 죽을 수도 있었어요. 그런데 정충신은 행동이 민첩하고 지략이 뛰어난 인물답게 아랑곳하지 않았지요.

"온몸에 옻칠을 발라 나병환자로 가장해서 갈 거예요. 장계를 가늘게 노끈으로 꼬아 배낭을 만들어 등에 지고 걸인행색으로 가면 임금에게까지 무사히 갈 수 있을 것입니다."

별로 배운 것은 없었지만 바탕이 영민한 정충신은 천문지리天文地理점술에 능통했습니다. 그는 적진을 피해 가던 중에도 더러는 정탐까지 수행했습니다. 일부러 적진에 찾아들어가 걸식을 하면서 밤낮으로 북행을 계속한 것이죠. 이렇게 해 무사히 행궁行宮에 당도한 그는 메고 간 배낭을 풀어 장문의 장계를 임금에게 전달했습니다. 그는 왜군으로 가득한 길을 단신으로 뚫고 행재소에 도착, 임금께 장계를 올릴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정충신은 한양에서 이항복 선생과 귀한 인연을 맺게 되지요.

병조판서로 선조 임금을 호위하고 있던 오성 이항복이 정충신의 비범함을 한 눈에 알아차리고 그를 자기 집에 머무르게 했습니다. 오성은 집에 머무르는 동안 그 비범함에 반해 손수 사서삼경 등 글을 가르쳤어요. 머리가 총명한 정충신을 아들같이 사랑도 했지요. 정충신은 학문이 날로 발전하고 문리文理에 대한 깨달음이 빠른데다 어려운 일을 척척 해내는 뛰어난 재간을 발휘했어요. 그리고 그해 겨울에 행재소에서 실시되는 무과에 응시해 합격하는 기쁨을 누립니다.

정충신은 이항복 선생과의 인연 이후로 정말 나라의 귀중한 재목이 됐지요.

정충신은 1621(광해군 13) 만포첨사로 국경을 수비했으며, 이때 명을 받고 여진족 진에 들어가 여러 추장을 만나기도 했지요. 북방 여진족에 대해 항상 경계하고 방비할 것을 주장했으며, 지략과 덕을 갖춘 명장으로 명성이 자자했습니다. 이항복은 일찌기 그를 극찬한 바 있어요.

"정충신이 만약 칼을 버리고 책을 취하면 일대의 훌륭한 명사가 될 것이 틀림없을 것입니다."

1623(인조 1) 안주 목사로 방어사를 겸임하고, 그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에는 도원수 장만張晩의 휘하에서 전부대장前部大將으로서 이괄의 군사를 황주와 서울 안산에서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 1등으로 금남군錦南君에 봉해졌습니다.

그 후 승전을 거듭해 포도대장, 경상도 병마절도사를 지내는 출장입상出將入相의 훌륭한 명신이 됐습니다. 광주광역시의 척추를 이룬, 최대 간선도로인 금남로는 정충신의 군호君號를 딴 이름입입니다.

1636년 정충신의 병이 심해지자 왕까지 나서서 의관은 정충신의 치료에 진력하라.” 며 특별 분부를 했건만 효험을 보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고 말았어요. 그의 사후 왕은 다시 내시에게 명을 내렸습니다. “호상하게 하고, 어복御服을 주어 수의壽衣로 하게 하라.” 관청에서 의로써 장사를 치르게 했습니다  


거지 사행使行 2천리 주인공 정충신은 전남 나주 출생 고려 명장 정지鄭地(13471391) 장군의 9대손으로 광주목의 좌수를 지낸 금천군 정윤錦川君 鄭綸의 아들이다. 키가 작으면서도 씩씩했고, 덕장이라는 칭송을 들었으며, 민간에 많은 전설을 남겼다. 천문. 지리. 복서. 의술 등 다방면에 걸쳐서 정통했고, 청렴하기로 이름이 높았다. 그에게 얽힌 많은 설화가 전해지지만 무등산이 갈라지며 청룡과 백호가 뛰어나와 안겼다는 태몽이 대표적인 이야기다. 저서로는 만운집晩雲集, 금남집錦南集, 백사북천일록白沙北遷日錄등을 남겼으며, 시호는 충무忠武.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