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신숙주-喜慶樓記(희경루기)

신숙주, 保閑齋集 권14 / 記

光 全羅巨邑也 舊有樓在州治之北 曰拱北 毀已久 今太守竹山安公哲石 蒞州未踰年 政成事多暇 集州之父老而問之曰 邑之不可無遊觀之所 古也 州當一道之衝。使客蜂午 而湮鬱幽蔽 無以宣暢 將何以圖之 咸曰 高明爽塏 無過拱北舊址 於是鳩材經營 增益舊制 不數月而功告成 以間計者 南北五 東西四 宏敝壯麗 甲於東方 東臨大路 西俯脩篁 鑿池其北 種以芰荷 又作射場於東 以爲觀德之所 賓主始有登臨休息之樂 此太守之志 而邑人成之也 歲庚戌 以邑人有不慧者 降爲茂珍郡 事出曖昧 上而山川鬼神 下有鄕曲老幼 抱屈莫能白者有年 上之元年辛未夏 鄕人順城君 前中樞李公孟畛 田公興 右參贊安公崇善 吏曹判書權公孟孫 仁順府尹金公聽 前同知中樞院事柳公孟聞 藝文提學李公先齊等謀日 上嗣登太寶 誕布維新之澤 猶恐一物有不獲其所 況吾州之久屈乎 遂帥州父老人吏 具列上請 上特命復其舊號 爲光州牧 報至而樓適成 父老咸集 致慶于太守 而請以喜慶名樓 以志一州人之喜慶 太守曰諾 又以叔舟在鄕籍之末 命爲之記 夫物之成毀有數 事之興廢有時 若其事與物期 數與時會者 有非人力之所及也 州在百濟 爲武珍州都督府 入新羅爲武州 高麗太祖改爲光州 成宗降爲海陽縣 高宗復陞爲州 忠宣王朝 爲化平府 恭愍王復爲光州牧 至我朝 降而又陞 一陞一降 興廢相因 而亦莫不各有其時 況斯樓之作 起於久毀之餘 而其成也若與期而會者 其必有數存乎其間矣 州以無等爲鎭 是爲南州巨嶽 儲精降祥 生我諸公 又得我賢太守 以有今日 其因廢而興 因毀而成者 豈特一樓也而已哉 一州也而已哉

景泰二年辛未冬十又二月 中直大夫 集賢殿直提學 知製敎 世子右輔德兼春秋館記注官 知承文院事 高陽申叔舟泛翁 記

광산은 전라도의 거읍(巨邑)이다. 옛날에는 누각(樓閣)이 이 고을 치소(治所)의 북쪽에 있었는데, 이름을 공북루(拱北樓)라 했었으나 허물어진 지 이미 오래 되었다. 이번에 태수 죽산(竹山) 안철석(安哲石)이 부임하여 1년도 되지 않았는데, 정사를 다스리는 바쁜 가운데 틈을 내어 고을의 부로(父老)들을 모아 놓고 물었다. ‘고을에 유람할 장소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 사실이오. 옛날에는 더욱이 광산은 이 도의 요충지로 사객(使客)이 벌 모이듯 하는데, 막히고 답답하고 깊고 가려져서 시원하게 해 줄 길이 없으니, 이를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하니 모든 부로들이 말하기를, ‘높고 밝고 시원스러운 땅으로는 공북루의 옛터 만한 곳이 없습니다’ 하였다.
그리하여 재목을 모아다가 집을 짓되 옛 건물보다 더 크게 지었는데, 몇 달이 안 되어 완성되었다. 그 칸수를 세어 보면 남북이 5칸이고, 동서가 4칸이니, 넓고 훌륭한 것이 우리나라에서 제일이었다. 동쪽으로는 큰 길에 닿았고 서쪽으로는 긴 대밭을 굽어보며, 북쪽에는 연못을 파서 연꽃을 심고 동쪽에는 사장(射場)을 만들어 덕을 보[歡德]는 장소로 삼으니, 손님과 주인이 이제야 비로소 올라 쉬는 즐거움을 누리게 되었다. 이는 태수의 뜻을 고을의 백성들이 이루어 놓은 것이다. 그러나 경술년(庚戌年)에 이 고을 사람 중에 미련한 자가 있어 강등되어 무진군(茂珍郡)이 되었다. 사건은 애매한 데서 생겨서 위로 산천 귀신으로부터 아래로 향곡(鄕曲)의 노소에 이르기까지 모두 억울함을 참고 말하지 못한 지가 1년이 넘었는데, 지금 임금 원년 신미년 여름에 비로소 이 고을 사람 순성군 전(前) 중추(中樞) 이맹진(李孟畛), 전흥(田興), 우참찬(右參贊) 안숭선(安崇善), 이조판서(吏曹判書) 권맹손(權孟孫), 인순부윤(仁順府尹) 김청(金聽), 전(前)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유맹문(柳孟聞), 예문제학(藝文提學) 이선제(李先齊) 등이 꾀하여 말하기를, ‘상감께서 대통을 이어 등극하사 유신(維新)의 은택을 베푸시는데, 하나라도 알맞은 자리를 얻지 못할까 염려하시거든, 하물며 우리 주의 오래도록 억울한 것이겠는가’ 하고, 드디어 이 고을의 부로와 관리들을 이끌고 함께 상소를 올려 간청했다. 그리하여 상감께서 특별히 옛 칭호로 회복하도록 명하시어 광주목(光州牧)이 되었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고 마침 이 누각마저 낙성되자, 부로들은 모두 모여 태수에게 치하를 드리고 ‘희경루’라 이름을 짓자고 요청하니, 이는 고을 모든 사람의 기쁜 경사를 뜻하는 것이다. 태수가 좋다고 하고 또 이 신숙주가 이 고을 사람이라 하여 나에게 기문 지을 것을 명했다.
대저 물건이 성취되고 허물어짐에는 운수가 있고 일이 흥하고 폐함에도 때가 있으나, 그 물건과 일에 있어서 시기와 운수가 물건에 합치되는 것에 이르러서는 사람의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 광주는 백제 때는 무진주 도독부(武珍州 都督府)가 되었고, 신라에 들어와서는 무주(武州)가 되었으며, 고려 태조 때는 광주로 고쳐졌고, 성종 때에는 해양현(海陽縣)이 되었다가 고종 때 다시 광주로 승격되었고, 충선왕 때에는 화평부(化平府)가 되었으며 공민왕 때 다시 광주목이 되었다. 이조 때 와서도 강등되었다가 또 승격되었다. 한번 승격되고 한번 강등되어 흥하고 폐하는 것이 잇달았는데, 역시 각기 그 때가 있었다. 하물며 이 누각을 지음에 있어서도 오랫동안 허물어져 있다가 기공하여 낙성하였으니, 그 시기와 만남이 반드시 운수가 있었던 것이다.
광주는 무등산으로 진산을 삼았으니, 이 산은 남방의 거악(巨嶽)으로 정기를 모으고 길상(吉祥)을 내려 우리의 모든 위인을 낳았고 또 우리의 어진 태수를 얻었으니, 오늘에 이르러 폐했던 것이 흥하고 허물어졌던 것이 이루어진 것이 어찌 한갓 이 누각뿐이며, 어찌 한 고을뿐이겠는가” 하였다.

경태(景泰) 2년 행미(辛未) (1451년) 겨울 12월에 중직대부(中直大夫), 집현전(集賢殿) 직제학(直提學), 지제교(知製敎), 세자우보덕(世子右輔德) 겸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 지승문원사(知承文院事)를 역임한 고양(高陽)의 신숙주(申叔舟) 범옹(泛翁)이 기록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5권, 전라도(全羅道) 광산현(光山縣) 누정(樓亭)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