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自從瑞石創胥工 서석산에서 공사 시작하여
經始斯樓倚碧空 푸른 하늘에 의지해 이 누각 지었네
北極眼通千里外 천리 밖 북극 시계가 트이고
南天心豁一軒中 누각 안 남쪽 하늘 마음이 뚫리네
黃河休運丁時泰 황하의 아름다운 운세¹ 세상은 태평성대
華祝謳歌已歲豊 화봉인의 축원 노래² 이미 풍년이 들었네
七事年年無滿假 칠사 행하는 이³ 해마다 자만심 없으니
臣民憂樂擧皆同 백성의 근심과 즐거움 어디나 모두 같다네
우잠(愚岑) 장태경(張泰慶, 1809~1887)이 황화루에 오르고 읊은 시에서 황화루가 중건했음을 알 수 있다.(題皇華樓) 장태경은 19 세기 조선시대 지방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자신의 의학경험담을 모아 후학들에게 귀감이 되고자 엮은 의안(醫案)모음 우잠잡저(愚岑雜著)를 남긴 바 있다.
¹ 황하의 아름다운 운세 : 어질고 성스런 임금이 나와 태평성대를 이루었다는 말. 송사 악지에 “백성이 편안하고 풍속이 좋아지면 황하수가 맑아지고 바닷물도 조용하다”라고 했다.
² 화봉인의 축원 노래 : 화(華)라는 땅의 봉인이 수(壽), 부(富), 다남자(多男子)라고 하는 세 가지로 요(堯) 임금을 축도하였다고 한다.(莊子 天地)
³ 칠사 행하는 이 : 칠사는 수령이 지켜야 할 7조목의 일로, 농상성(農桑盛 : 농상을 성하게 함), 호구증(戶口增 : 호구를 늘림), 학교흥(學校興 : 학교를 일으킴), 군정수(軍政修 : 군정을 닦음), 부역균(賦役均 : 역의 부과를 균등하게 함), 사송간(詞訟簡 : 소송을 간명하게 함), 간활식(奸猾息 : 교활하고 간사한 버릇을 그치게 함)을 이른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