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민종열 閔種烈 고종 30년(1893) 11월 20일∼고종 32년(1895) 7월 18일

민종열 閔種烈 고종 30년(1893) 11월 20일∼고종 32년(1895) 7월 18일

민종열(1831∼1899)의 본관은 여흥(驪興)이며, 자는 무경(懋卿), 호는 지담(芝潭)이다. 아버지는 민승세(閔承世)이다. 1865년 식년시 생원에 합격하여 1869년 경릉참봉, 1871년 제용감 봉사·금부도사, 1873년 예빈시 직장, 1874년 형조좌랑, 1875년 형조 정랑·노성현감, 1880년 현풍현감, 1882년 양산군수, 1884년 밀양부사, 1885년 상주 목사가 되어 옥동서원을 보수하고 「중수기」를 남겼다. 1888년에는 민폐 개선 절목인 「상주사례(尙州事例)」를 작성하였다. 1888년 「목사민후종열송덕비」, 1890년 「목사민후 종렬영세불망비」가 세워졌다. 1890년 남원부사를 지내 「부사민종열영세불망비」가 세워 졌다. 1893년 10월 18일 나주목사에 제수되어 11월 20일 부임하였다. 1894년 2월 1일에는 천거단자를 올릴 때 능호를 평행으로 써 일을 매우 소홀히 했다는 이유로 추고를 당했다. 7월 18일에는 동부승지로 임명되어 체차되었다. 8월 17일에는 전라감사 김학진의 장본에 따라 의정부에서 “이 수령은 소요를 일으킨 이후부터 성첩을 수선하고 군정(軍丁)을 모집하여 4개월을 수성(守城)하여 우뚝하게 독자적으로 보전하여, 그들로 하여금 달아나 숨게 하였으니” 잉임해 줄 것을 계하여 윤허된다. 9월 29일에는 양호(兩湖)의 비류(匪類, 동학농민혁명군)들이 순무영(巡撫營)에서 병사를 조발하여 토벌하고 있는데, 원근의 사민(⼠民)들이 필시 소문을 듣고 의병을 일으킨 사람이 많을 것이라 하여 나주목사 민종열과 여산부사 유제관(柳濟寬)을 호남소모사(湖南召募使)에 더 차임한다. 10월 28일에는 호남은 비도(동학농민혁명군)의 소요가 갈수록 더욱 창궐하는데 나주목사가 끝까지 굳게 지키면서 우뚝하게 지주(砥柱)를 지었으니 홍주목사의 예에 따라 나주목사 민종열을 호남초토사(招討使)로 차하하여 우도(右道) 연변의 각 고을을 절제(節制)하여 오로지 섬멸하는 데에 전념하게 하도록 한다. 이처럼 민종열은 나주목사 재임 때 호남소모사, 호남초토사를 겸임하면서 전봉준 동학농민혁명군의 나주읍성 공격을 막아냈다. 겸산(兼⼭) 이병수(李炳壽)의 『금성정의록(錦城正義錄)』,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금성토평비문」 등 유림 측 기록에 동학전투기록이 있다. 매천 황현의시 「민나주종열토평비(閔羅州種烈討平碑)」도 전해 온다. 한편 나주목사가 겸임한 호남초 토사가 보고한 3종의 문서가 있는데, 1894년 11월 문서는 나주지역 7개소 전투에서 최소 765명의 동학농민군이 포살 또는 압송되었다. 문서명칭은 『포살동도수효급소획즙 물병록성책(砲殺東徒數⽘及所獲汁物幷錄成冊)』(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다. 1894년 12월 문서는 14개소 군·현을 포함한 17개관 486명이 포착되었다. 1895년 1월 문서에서는 16개관에서 188명이 포착되었다.(규장각 소장) 1895년 윤5월 1일에는 전국 8도제가 23부제로 개편되고 나주군은 나주부에 속하게 된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