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달선 吳達善 고종 15년(1878) 4월 22일∼고종 18년(1881) 6월 20일
오달선(1811∼1892)의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행(汝⾏), 오최선(吳最善)으로 개명하 였다. 아버지는 수군절도사 오치수(吳致壽)로 오치준(吳致俊)에게 입양되었다. 아들 오익 영(吳益泳)은 문과 급제 후 궁내부특진관을 역임하였다. 1850년 증광시 생원에 합격하여 1856년 동부도사, 1857년 사옹봉사, 1860년 상의별제·공조좌랑, 1861년 공조정 랑·종묘서령, 1863년 낭청, 1864년 안의현감, 1866년 천안군수, 1868년 보성군수, 1871년 장흥부사, 1874년 충주목사, 1875년 남원부사, 1877년 홍주목사를 지냈다. 1878년 2월 28월 전임 나주목사 김선근과 바꿔 제수되어 4월 2일 부임하였다. 5월 3일에는 청주에서의 일로 죄진 채 나무목사 일을 본다. 1879년 6월 11일에는 기근과 전염병으로 나주목의 유망(流亡) 세미(稅⽶) 6182석에 대하여 전라감사 심이택이 보고 자하자 세미는 절반에 한하여 상정(詳定) 하여 돈으로 대납하도록 하고, 반드시 당년 안에 수량대로 납부하도록 한다. 1882년 6월 공조참판, 호군, 동의금, 1883년 동지중 추부사, 1890년 행호군, 1892년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금성읍지』에는 “무인(1878년) 2월 28일에 홍주목사에서 옮겨와 제수되어 4월 22일 부임하였고 신사(1881년) 6월 20일에 경주부윤으로 자리를 옮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록에서는 1880년 8월 임기 만료가 가까워지자 전라감사 심이택(沈履澤)이 장계를 올려 오 목사의 임기를 연장시켜 달라고 이조에 청한 결과 “오달선을 한 임기 동안 연장하라”는 인사가 있어서 결국 1년 더 재직하여 1881년 6월 20일까지 2년 4개월 동안 나주목사 직을 수행하였다. 1881년 6월 경주부윤에 부임하자 10월에 자기 이름이 역적의 이름과 같다 하여 ‘最 善’으로 바꾸었다. ‘㝡善’으로 표기된 곳도 있다. 시호는 효정(孝靖)이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