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송인옥 宋寅⽟ 고종 9년(1872) 9월 2일∼고종 12년(1875) 9월 3일
송인옥(1826∼?)의 본관은 여산(礪⼭)이며, 자는 맹여(孟汝)이다. 아버지는 김해부사 송지양(宋持養)이다. 1843년 식년시 진사에 합격하여 1846년 규장전운을 하사 받았다. 1855년 휘경원 참봉, 1857년 선공봉사, 1858년 사포직장, 1863년 경릉직장·제용주 부·삼물소 낭청, 1864년 의흥현감, 1866년 교하군수, 1870년 맹산현감, 1871년 울산 부사를 지냈다. 1872년 7월 27일 나주목사에 제수되어 9월 2일 부임하였다. 1873년 12월 2일에 삼군부가 나주진의 포군을 나주목에 합설하도록 행회하였는데, 전라감사 이호준이 송인옥 목사의 첩정에 따라 포료(砲料)가 넉넉치 못하니 읍진(⾢鎭)의 화포군 200명을 절반을 남겨두고 액수는 덜어서 급료를 보태 연습하는데 전념한다고 보고하자 그대로 시행하자는 논의가 있었다. 1874년 9월 24일에는 나주의 세선(稅船)이 남포(藍浦)에서 취재(臭載) 되었는데, 충청감사의 사계(査啓)로 인하여 선장관(船裝官)인 나주목사 송인옥(宋寅⽟)이 짐을 꾸려 출발하는 일이 지체되고 있으니 죄상을 품처하도록 의정부가 아뢰는데, 세선에 늦게 짐을 꾸리는 것은 용서해 주기 어렵지만 나주는 호남의 큰 곳으로 가을 농사가 한창 바쁜 때여서 죄를 진채 거행하게 한다. 1882년 부사 과, 1894년 장성부사, 1897년 중추원 의관을 역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임신(1872 년) 7월 27일에 울산부사에서 옮겨와 제수되어 9월 2일 부임하여 재직하다 을해(1875 년) 5월 7일 상경하여 9월 3일에 삼척부사로 자리를 옮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울산 동헌 뒷마당에 「부사 송공인옥 청덕비(府使宋公寅⽟淸德碑)」가 세워져 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