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양촌 김덕우(金德宇, 1548~1633) 는 명종과 인조 때인 조선 중기 의병으로 자는 언용(彦容), 호는 양촌(良村)이며,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전라북도 고창군(高敞郡) 노동(蘆洞)에서 출생하였다.
판서(判書) 김인우(金仁雨)의 후손으로, 부친 생원(生員) 김경희(金景熹)와 모친 사과(司果) 이세원(李世元)의 딸 전주이씨(全州李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문하에서 유학(遊學)하였으며 경학(經學)에 전력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장성(長城) 남문(南門) 밖에 의병청(義兵廳)을 설치하고 무장군유사(茂長郡有司)로서 의병 8백 인을 모집하여 진주성(晉州城) 김천일(金千鎰)의 진중에 보냈다. 의곡(義穀) 5백 석을 모취(募聚)하여 의곡장(義穀將) 기효증(奇孝曾)을 통해 행재소(行在所)로 조납(漕納)하도록 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에도 유사로서 의곡을 모아 행재소로 운송하였다. 뒤에 조정에서 동지사를 제수(除授)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丁卯胡亂) 때는 양호호소사(兩湖號召使)로 임명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의병 모집 격문에 응하여 호우의곡장(湖右義穀將)으로 활약, 군량미를 강화도에 보냈다. 마침 의병을 인솔하여 여산(礪山)에 이르렀을 때, 화의(和議) 소식을 듣고 귀향하였다. 인조가 이를 가상히 여겨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제수(除授)하였고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의 녹권을 내렸다.
묘지는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송암에 있고, 장성 오산사(鰲山祠)에 배향(配享)되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