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명중 李明中 영조 51년(1775) 3월 14일∼정조 즉위년(1776) 7월

이명중 李明中 영조 51년(1775) 3월 14일∼정조 즉위년(1776) 7월

이명중(1712∼1789)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상경(尙褧)이다.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유(李濡)이고, 아버지는 현감 이현응(李顯應)이며, 영의정 김재로(⾦在魯)의 사위이 다. 1755년 3월부터 1756년 5월까지 나주목사를 지낸 이시중(李時中)이 형이며, 이조 판서를 지낸 이최중(李最中)이 동생이다. 손자 이지연(李⽌淵), 이회연(李晦淵)도 순조대 나주목사를 역임하였다. 1741년 진사가 되어 1744년 3월에 헌릉참봉을 제수받고 관직에 올랐으나, 신병이 막중하여 1744년 11월에 사직하게 된다. 1747년에는 존숭도감 감조관·제용주부·창덕궁행각수리소 낭청·호조좌랑, 1748년 호조정랑·강서현령을 역임하였다. 이어 1753년 금성현령에 임명되었으나 춘천부사 김치인(⾦致仁)과 처남매제로 상피법에 따라 금성현령에 부임하지 않고 호조정랑이 되어 추상휘호도감(追上徽號都 監)의 낭청이 된다. 1754년 황주목사, 1761년 파주목사, 1764년 원주판관, 1769년 사복시 판관, 1770년 예천현감, 1773년 이천부사, 1774년 평양서윤을 지냈다. 1775 년 3월 3일에 나주목사로 제수되어 3월 14일 부임하였다. 1777년 안악군수, 1778년 광주부윤(廣州), 1779년 의금부 동지사를 거쳐 1782년에 부총관을 역임하였다. 『금성 읍지』에는 “을미(1775년) 3월 3일 제수되어 동월 14일에 부임하였고 을미(1775년) 10월에 금성관과 성지(城池)를 보수하고 통정대부에 오른다. 병신(1776년) 7월 11일에 봉산군수로 자리를 옮기게 된다.”고 기록되어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