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민서 李敏敍 현종 8년(1667) 8월 18일∼현종 9년(1668) 12월 22일
이민서(1633∼1688)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이중(彝中), 호는 서하(西河)이다. 친아버지는 전라감사를 지낸 영의정 이경여(李敬輿)이고 훈련원 도정(都正) 이후여(李厚 輿)의 양자가 되었다. 증조할아버지 이극강(李克綱), 할아버지 이성록(李成祿), 아버지 이경여(李敬輿)와 자신까지 4대가 문과 급제자이다. 장인은 전주부윤을 지내고 전라감 사를 3번 역임한 원두표(元⽃杓)이다. 1652년 증광시 문과에 급제한 뒤 1653년 검열, 1655년 정언·지평, 1660년 수찬·부교리, 1661년 교리, 1663년 지평·수찬, 1664년 헌납, 1665년 응교, 1667년 6월 25일 나주목사로 제수, 8월 18일 도임하여 1668년 12월 22일 홍문관 부교리로 이동하였다. 실록에는 “민서는 좌상 허적을 논척하여 상의 뜻을 거슬렸기 때문에 힘써 구하여 나주 목사가 되었었는데, 송시열 등이 소환할 것을 극력 청하였으므로 이때에 홍문관 직책에 제수된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었다. 1668년 9월 21일에는 광주(光州)목사 윤변(尹抃), 장성부사 소두산(蘇⽃⼭)과 연명으로 상소하여 농사가 결단난 것을 진달하고, 급재(給災)할 것을 청하였다. 1669년 사인(舍 ⼈), 1673년 대사성, 1674년 호조참의, 이조참의, 1677년 광주(光州)목사, 1680년 대사간·대제학·이조참판, 1682년 대사헌·이조판서, 1683년 우참찬·강화유수, 1684년 판윤, 1685년 형조판서·이조판서, 1687년 호조판서·예문관 제학을 지냈다. 문집으로 『서 하집』이 있다. 『금성읍지』에는 “정미(1667년) 8월 18일 도임하였고 무신(1668년) 12 월 22일에 교리가 되어 이임하였다.”고 하였다. 나주 천동서원에 배향되었다. 1782년 건립한 「천동서원묘정비」는 전라남도 문화재자료이다. 시호는 문간(⽂簡)이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