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지호 鄭之虎 효종 1년(1650) 12월 25일∼효종 5년(1654) 1월
현감 정지호(1605∼1678)의 본관은 동래(東萊)이며, 자는 자피(⼦⽪), 호는 무은(霧隱) 이다. 아버지는 진사 정응원(鄭凝遠)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 홍요좌(洪堯佐)의 딸이다. 1635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세마(洗⾺)가 되었으며, 1637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언, 전적, 공조좌랑, 예조좌랑이 되었다. 1638년 병조정랑·전라경시관, 1639년 황주판관, 1643년 용강현령·개성부경력, 1645년 형조정랑·개성부 유수, 1647 년 성균관의 사예, 1648년 장령, 1649년 해주목사를 지내고 1650년 12월 금성현감 으로 부임하여 선정을 펼친다. 1652년 7월에는 전라감사 심택의 장계에 따라 “부임한 뒤로 직무에 전념하고 청렴결백으로 자처하며 아랫사람을 대함에 성의로 대하고 여러 가지의 오래된 폐습을 적의 조치하여 이속과 백성들이 스스로 두려워하고 감히 속이지 못하며 온 고을이 태평하고”, “학교와 군정(軍政)에 이르기까지 모두 유의하여 권장하고 전세(⽥稅)와 공급(貢物)은 비록 바루어졌다고는 하나 일정하게 바치는 공물이 허다 한데도 상납하는 물품을 하나 흠궐한 것이 없었고, 1652년 봄의 빈민구호에 있어서도 스스로 비축하였다가 백성들을 구제하였다.”는 돈유문과 함께 표리 일습을 하사받는다.1653년(효종 4) 8월에는 사마교비(駟⾺橋碑)를 세운다. 사마교는 고려 현종 2년(1011) 거란이 쳐들어오자 왕은 남쪽으로 피신하는데 나주에서 10여 일 동안 머무를 때, 왕이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를 타고 다리를 지나갔다 해 불린 이름이다. 사마교비는 이다리를 수리한 기념비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이다. 정지호 현감의 선정으로 1654년 1월 6일 금성현이 나주목으로 승격·복호되었고, 정지호도 목사로 승임되었다. 이에 따라 전남도가 전라도로 복호되었다. 1656년 통례, 1657년 좌승지·도승지·대사간 등을 지냈다. 1658년 길주목사, 1659년 성절부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오고, 오위장·첨지, 1660년 조사위장·원주목사, 1669년 울산부사, 1675년 공조참의·동부승지·우승지·대사간, 1676 년 도승지, 1677년 대사간을 역임하였다. 『금성읍지』에 “경인(1650년) 12월 25일 도임하였고 갑오(1654년) 1월에 체직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현재 나주객관 금성관 안에는 「목사정후지호 자혜선정비」가 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