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갱생 李更⽣ 인조 20년(1642) 10월 10일∼인조 23년(1645) 10월 18일

이갱생 李更⽣ 인조 20년(1642) 10월 10일∼인조 23년(1645) 10월 18일

이갱생(1585∼1646)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숙향(叔向), 아버지는 승지에 추증된 이유(李綏)이다. 1623년에 김화현감, 1624년 소모관, 1631년 공조정랑, 1632년에 풍덕군수, 1635년 통훈대부 한성부 서윤, 1638년 청도군수, 1642년 인천도호부사, 1642년 9월 11일 나주목사를 제수받고 10월 10일 부임하였다. 백성을 잘 보살펴 1643년 9월 19일에는 반숙마(半熟⾺) 1필 하사받았다. 1645년 7월 11일 주리(州吏) 양한룡(梁漢⿓) 등이 목사 이갱생을 칼로 찔러 중상을 입히는 사건이 일어나고, 이로 말미암아 나주의 칭호를 강등시켜 금성현(錦城縣)이라 하고, 전라도를 전남도(全南道)라 이름을 바꾸었다. 1645년 7월 19일 실록에 의하면 나주목사의 교체 논의가 있었으나 그대로 복무하는 것으로 결정이 났다가 10월 18일에 교체되었다. 『인조실록』에 이갱생 목사는 성품이 굳세고 과단성이 있으며, 총명하고 관찰력이 있어 본디부터 고을을잘 다스리기로 이름이 났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도 형벌을 함부로 가하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주리 양한룡 등이 임금에게 진상할 전죽(箭⽵)을 훔치다가 발각되어 다스리는 과정에서 양한룡의 족당(族黨) 10여 인이 양한룡을 감옥에서 탈출시키고, 칼을 가지고 아문(衙⾨)으로 들어가 목사를 찔러 상해를 입혔다. 이로 인해 목이 현이 되고 도명이 바뀌고 관찰사는 파직되었다고 기록되었다. 조선시대 나주의 삼향죽전은 가장 유명한 토산이었다. 『금성읍지』에는 “임오(1642년) 10월 10일에 도임하여 을유(1645년) 8월 28일 오리(惡吏)로 되었기에 목에서 현으로 강등되었다.”고 되어 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