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유석증 俞昔曾 광해군 11년(1619) 6월 24일∼*광해군 15년(1623) 3월

유석증 俞昔曾 광해군 11년(1619) 6월 24일∼*광해군 15년(1623) 3월

유석증(1570∼1623)은 1623년(인조 1) 전라감사를 역임하였다. 1610년 8월 나주목사로 부임하였으나 10월에 모친상을 당하여 목사직을 그만 두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1615년 영광군수, 1618년 형조참의, 1619년 3월 11일 다시 나주목사에 제수되어 6 월 24일 부임하여 1623년 3월 이임할 때까지 4년간 재임을 하였다. 『광해군일기』에 “나주의 백성들이 쌀 3백 석을 바쳐, 유석증을 특별히 목사에 제수한 은혜에 사례하였 다. 석증이 전에 나주를 다스릴 때에 유애(遺愛)가 있었기 때문에, 백성들이 그가 떠난 뒤에도 사모하는 상소를 올려 목사를 삼아 주도록 청하였고, 왕명으로 다시 부임해 오자 고을 백성들이 쌀을 바쳐서 사례한 것이다.”라고 기록되었으며 다른 기록에는 “나주인 염공일(廉公⼀) 등이 상소하여, 대미(⼤⽶) 1000석을 영건도감에 바치고 그 대신 목사 유석증을 그대로 있게 해 줄 것을 청하였다.”고 되어있으며, “전라도 나주에 사는 진사 김종해(⾦宗海) 등 100여 명이 쌀 1000석을 바치면서 목사 유석증을 유임시켜 주기를 청하였다.”고 기록하며 사관이 이르길, “이 당시 수령들을 제수하는 데 있어서 모두 뇌물을 받았기 때문에 서로 박탈을 일삼았다. 그런데 유석증은 전에 영광(靈光)의 수령으로 있을 때 청백하고 근신하여 잘 다스린 것인데, 백성들의 마음 또한 감동적이 라고 할 수 있다.”라고 기록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기미(1619년) 6월 24일 도임하였 고, 체직일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라고 되어 있지만 다음 목사의 부임이 계해(1623 년)임을 감안하면 위의 기록처럼 4년간 재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세이력은 전라감 사편 참조.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