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용순 李⽤淳 선조 25년(1592) 12월 28일∼선조 29년(1596) 2월 19일
이용순(1550∼1605)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사화(⼠和), 호는 동고(東皐)다. 아버지는 행당진현감 이질(李礩)이다. 1579년(선조 12) 생원시에 합격하고, 1585년(선조 18)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여 괴원(魁院)·승정원(承政院)에 뽑혔다.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1592년 11월 나주목사에 제수된 기록이 있다. 1593년 도원수 권율(權慄)이 담략이 뛰어나다하여 충청감사로 전임시킬 것을 천거하였으나 당시 왜군이 제주도로 침구한다는 풍문이 있었고, 오랫동안 나주에 있으면서 모든 방비에 심력을 다해 조치하고 수성(守 城)의 규모에 있어서도 또한 점점 질서가 잡혀 인민들이 의뢰하는 마음이 있어 봄철에새 수령으로 바꾸면 손해가 적지 않을 것이라 하여 계속 근무하다 1596년 2월 19일 가선대부 경상도관찰사로 제수되었다. 이때 왜군의 선봉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진격하여오자 권율장군이 비안까지 추격하였으나 미치지 못하였으며, 순찰사였던 이용 순은 의성군 북산(北⼭)에서 왜군의 급습을 받아 물러섰다. 1599년 자헌대부 충청감사로 전임되고, 그해 지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1603년에는 함경북도병사에 전임되었는 데, 경원·경흥·은성 등지에 여진족의 침범이 몹시 심함을 보고 그들을 귀순하게 하는 길은 군량미를 확보한 뒤 정예한 포사수(砲射⼿) 5000∼6000명을 훈련시켜 이 지방에 상주하게 하여 은위(恩威)를 병행하게 하는 것이 첩경임을 여러 차례 상소하였다. 『금 성읍지』에는 “임진(1592년) 12월 28일 본도 방어사종사관에서 제수받아 도임하였고 금성산성을 수축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