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박광옥 朴光⽟ 선조 25년(1592) 9월 7일∼선조 25년(1592) 12월
박광옥(1526∼1593)의 본관은 음성(陰城)이며, 자는 경원(景瑗), 호는 회재(懷齋)이다. 아버지는 사예 박곤(朴鯤)으로 광주 출신이다. 1546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했다. 광주 선도면(船道⾯)에 집을 지어 개산송당(蓋⼭松堂)이라 이름하고 문하생들과 함께 성리학을 연구하며 기대승·박순·이이·노사신 등과 교유하였다. 1560년 목사 유경심 (柳景深)을 도와 향교를 중수하고 학헌(學憲)·학규(學規)를 제정하였다. 1568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내시교관에 임명되었다. 1574년 별시 문과에 을과 2위로 급제해 종부시 주부가 되었으며, 운봉현감이 되었을 때 황산대첩비를 세웠다. 1578년 전라도, 충청도의 도사를 거쳐 1579년 예조정랑, 1580년 지평, 성균관직강, 영광군수, 밀양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 5월에는 고경명, 김천일 등과 의병을 논의해 김천일은 나주에 서, 고경명은 담양에서 거의한다. 박광옥은 의병도청을 설치하고 맹주(盟主)로 활동하였 다. 의병 활동의 공로로 다시 관직에 올라 나주목사로 제수되었다. 저술의 일부가 『회 재유집(懷齋遺集)』에 전한다. 회재유집목판은 호남 사림의 교유관계 및 인쇄술의 발달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써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광주 벽진서원(碧津書 院)과 남원 용암서원(⿓巖書院)에 제향되었다. 『금성읍지』에는 “임진(1592년) 9월 7일에 도임하였고, 동년 12월에 체직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
- 이전글민치성 閔致成 순조 20년(1820) 4월 2일∼순조 22년(1822) 9월 23일
- 이전글박광옥
- 다음글박광조
- 다음글박광후 朴光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