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춘경 ⾦春卿 성종 10년(1479) 3월 4일∼성종 14년(1483)

김춘경 ⾦春卿 성종 10년(1479) 3월 4일∼성종 14년(1483)

김춘경(1441∼1517)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명중(明仲)이다. 아버지는 문과에 급제 하고 승문원판교를 지낸 김인민(⾦仁民)이다. 1462년 문과에 급제하여 1464년 사간원 정언을 시작으로 성균관 직강, 예조정랑, 경상도 경차관, 의금부 경력, 사헌부 집의를 거쳐 1479년 2월 나주목사로 부임하여 1483년까지 역임하였다. 『성종실록』 3월 22일 기록을 보면, “김춘경은 지금 나주목사가 되었는데 또한 명성과 공적이 있다고 합니다.” 라고 왕에게 진언하는 내용이 있다. 이후 1484년 통훈대부 행 사헌부 집의를 거쳐 통정대부 장례원 판결사를 역임했다. 『금성일기』 「기해년 1479년」 기록에 “신임 목사 통훈대부 김춘경이 3월 4일 도임하였다.”라고만 되어 있다. 『금성읍지』에는 “기해(1479 년) 3월 4일에 도임하였으나 이임하여 돌아가는 일자는 기록이 없다.”고 기록되었다.다만 『금성일기』,『금성읍지』에서는 1481년(신축)부터 1507년(정묘)까지 26년간은 나주 목사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확인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관리들의 출입 기록도알 수 없다. 1480년(성종 11) 나주향교 생도 9명과 김춘경 목사의 아들까지 10명이 사마시에 급제하는 경사를 맞게 된다. 이때 나주향교의 교수였던 박성건(朴成乾, 1414∼ 1487)이 이를 기뻐하며 「금성별곡(錦城別曲)」을 짓는데 6장의 경기체가이다. 제3장에 “목사인 김춘경과 통판인 오한은 한때 뛰어난 인재로, 임금님의 근심을 나누어 주매, 천리 땅 한 고을을 능히 부지런하게 능히 검소하게 잘 다스리느니, 잘 하는 정치는 백성 들에게 재산을 얻게 하고, 잘 하는 가르침은 민심을 얻게 하고, 인자하다는 평판과 인자하다는 소문은, 그때마다 세 가지 기이한 일에 이르게 되도다.”라 노래하고 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