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조흡 曺恰 태종 9년(1409) 12월 5일∼태종 12년(1412) 5월 13일
조흡(?∼1429)의 본관 창녕(昌寧)이며 호는 퇴사헌(退思軒), 봉호는 옥천군(⽟川君), 초명은 조흡(曺洽)이다. 할아버지는 문하시중을 지낸 창성부원군 조민수(曺敏修)이다.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에 공신이 되었다. 1405년 동북면경차관 이후 상호군, 우군 첨총제, 가선대부 좌군도총제부 동지총제, 1408년 전라도절도사, 나주목사를 지낸 뒤전라도절제사, 풍해도병마도절제사, 영길도도순문사, 우군 도총제, 중군 도총제를 지냈 다. 1401년(태종 1) 공전과 노비를 내려준 사패왕지와 1406년(태종 6) 좌군도총제부 동지총제 임명, 1409년(태종 9) 중군도총제 임명, 1425년(세종 7) 우군도총제 임명 고신 왕지 3건이 보물이다. 시호는 공희(恭僖)이다. 『금성일기』 「기축년 1409년」에 “병마 도절제사 겸 판목사 조흡이 11월에 나주에 왔다가 임진(1412년)에 중군총제가 되어 돌아갔다.”고 기록되었으며, 『금성읍지』에 “기축(1409년) 12월 5일 도임, 임진(1412 년) 5월 13일 중군총제(中軍摠制)로 승진하여 떠났다.”는 기록이 있다. 『세종실록』 그의 졸기에 세종이, “ 안으로는 곧음을 지키고 밖으로는 삼가고 경계하였도다. …… 들어와서는 나라를 지키고 외적을 막는 책임을 맡았고, 나가서는 분주히 다니며 국가의 힘을 선양하는 노고가 있어서 자못 우리 왕가에 공로가 있으매 내 마음 속에 잊히지 않더니, 홀연히 부음이 이르니 마음이 아픔이 실로 깊도다.”라고 치제하였다. 순창 예천사(禮川祠)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공희(恭僖)이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