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각(李恪, 1553~?) 광주목사

이각(李恪, 1553~?) 광주목사로 1641.11~1643년까지 있었다.

포저(浦渚) 조익(趙翼, 1579 ~1655)의 문집인 《포저집(浦渚集)》 제33권 / 묘지명(墓誌銘)에 '사위 진사 이상주(李相冑)의 묘지명'에 "나의 사위 진사 이상주는 나의 벗인 병조 판서 연양군(延陽君) 이돈시(李敦詩)의 장손(長孫)이다. 돈시는 증 영의정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휘(諱) 귀(貴)의 사자(嗣子)이다. 나의 사위는 돈시의 아들인 광주목사(光州牧使) 이각(李恪)의 아들이다. 나와 돈시의 관계는 골육의 형제와 같은데, 두 집안이 잇따라 시집을 보내고 장가를 들였으니, 내 아들 내양(來陽)은 돈시의 사위가 되었고 돈시의 손자 상주는 내 사위가 되었다"고 했다.

또 '망녀(亡女)의 묘지문'에는 "진사 이상주(李相冑)의 처(妻) 조씨(趙氏)는 전 예조 판서 익(翼)의 딸이요, 고려 개국 공신(開國功臣) 문하시중(門下侍中) 휘(諱) 맹(孟)의 후예이다. 나의 5남 1녀 중에서 이 딸이 또 가장 늦게 태어났으므로 우리 부처가 귀중하게 여긴 것이 매우 남달랐다.

나이 16세에 이상주에게 출가하였는데, 상주는 증 영의정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휘 귀(貴)의 증손이요, 병조 판서 연양군(延陽君) 휘 시백(時白)의 손자요, 광주목사(光州牧使) 휘 각(恪)의 아들이다. 연평은 종사(宗社)에 큰 공훈을 세워서 귀한 신분이 되고 총애를 받은 것이 조정의 누구도 따라갈 수 없었으며, 그 집안은 대대로 혁혁한 공적을 세운 성대한 가문이었다. 그런데 상주의 사람됨을 보면 온아(溫雅)하고 간결(簡潔)하였으며 문사(文思)가 또 영발(穎發)하였으니, 뭇 선비들 중에서 으뜸가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었다."고 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