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엘리자베스 쉐핑(서서평, 徐舒平)

엘리자베스 쉐핑(Elisabeth J. Shepping)은 독일 비스바덴 출신이다. 외할머니 밑에서 자랐고 임종 후 미국에 살고 있는 어머니에게로 간다. 미국에서 그녀는 간호학을 전공했고 개신교로 개종을 했다.

서른둘이 되던 1912, 미국 남장로교 해외선교 의료인으로 지원해 한국에서 간호선교일을 맡았다. 처음에는 군산 예수병원을 거쳐 서울 세브란스병원 간호학교에서 근무했다. 기독병원 전신인 제중병원 간호부장으로 부임하면서 광주와 인연이 되었.

광주에서 그녀의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고아들이었다. 아름다운 동네였고 할 일이 많은 곳이라는 생각이었지만 조선말이 서툴렀고, 조선의 모든 풍속들이 낯설었다. 조선 사람들과 가까워지기 위해 이름부터 바꾼다.

성은 서씨, 이름은 천천히 할 서’, 평평할 평. 그녀가 붙인 새 이름은 서서평徐舒平이었다. 다소 급한 성격과 모난 성격을 다독이는 의미를 담았고, 자신의 본명 세핑의 발음을 살렸다. 광주에서 지내는 동안 의지했던 최흥종 목사의 생각을 보태준 이름이었다.

양림동 길 언덕에서는 옥양목 저고리와 검정 통치마, 남자용 검정 고무신을 신은 서서평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녀의 등에는 오갈 곳 없는 고아가 업혀있는 경우가 많았다. 결혼을 한 적 없는 처녀 선교사는 그렇게 양림동 아이들의 엄마로, 선생님으로 살았다.

최흥종 목사가 운영하는 한센병 환자 수용소로 수시로 의료봉사를 나갔으며 헐벗은 한센인들을 만나면 옷과 밥을 주었다. 뿐만이 아니다. 어린 거지나 여성 거지들을 보면 지나치질 못했다. 걸인을 집으로 데려와 씻기고 먹이는 일을 수시로 했다.

선교활동의 하나였던 금주 금연운동에 앞장서고, 금주동맹을 조직한 후 충장로 일대와 시장, 상가들을 돌면서 금주 금연의 의미를 설명했다. 마음을 바꾸면 새로운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그녀는 굳게 믿었다.

그녀가 가장 가슴 아파했던 것은 여성들의 처지였다. 여성들을 잡아다가 파는 인신매매 금지, 축첩금지, 성매매 금지 등을 주장하며 사창가에 묶여있는 여성들을 구제하기 위해 애썼다.

서서평의 당시 일기장에는 한 달 동안 500명의 여성을 만났는데, 성한 사람이 없없다. 굶주리고 있거나 병들어 있거나 소박을 맞아 쫓겨나거나 모두 고통을 앓고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서서평은 여성들이 큰년이’, ‘작은년이’, ‘개똥 어멈등으로 불리는 것에 분노했다. 왜 여성에게는 이름이 없는가, 하며 일일이 새 이름을 지어서 불러주었다. 여성들의 삶을 바꾸는 일이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았다.

한 번은 만주로 팔려가는 열아홉 살 처녀를 구하기 위해 자신의 재산을 내놓았고, 사창가에서 억류된 여성들의 빚을 대신 갚아주었다. 사창가 여성들을 구해내는데 그치지 않고 그녀의 친구 로이스 닐(Lois Neel)의 도움으로 세운 이일학교로 불러 공부를 하게 했다. 이일학교 여학생들과 함께 농촌봉사활동을 나가면서 매년 수많은 여성들을 교육의 장으로 끌어들였다.

그녀에게는 자녀가 열네 명이나 있었다. 오갈 데 없는 고아 아이들을 자녀로 받아들인 것이다. 또한 과부 서른여덟 명을 집에 머물게 했다. 그녀가 제중병원에서 받는 급여는 대부분 이와 같이 고아와 여성들, 그리고 한센환자들을 위해 쓰여졌다.

우리말에 자신이 붙자 그녀는 우리나라 최초로 간호교과서와 실용간호학, 간호위생법 등의 책을 저술하고 간호사업사와 같은 전문서 등의 번역에도 힘쓴다. 1923년 그녀는 조선간호협회(현 대한간호협회 전신)의 결성을 주도한다. 초대회장이 되어서는 만국간호협회(ICN)와 일본 적십자사 간호협회에 가입한다.

고된 일에 쫓겨온 탓에 풍토병의 일종인 스프루병이 그녀를 덮친다. 면역력이 있으면 능히 이겨낼 수 있는 병이었건만 영양실조로 허약해진 몸은 이겨내지를 못했다. 1934년 그녀는 눈을 감는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