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1. 湖節3下-170-2, 光州, 壬辰, 大駕扈從 -고정헌, 《호남절의록》(1799)
2. 박사룡(朴士龍)은 광주(光州) 출신으로 자는 운보(雲甫), 호는 송창(松窓)이다. 본관은 순천으로 정국공신 순성군(順城君) 박이검(朴而儉)의 후손이다. 부친은 부장 박효항(朴孝恒)인데, 정사공신 순원군(順原君) 파주목사 박효립(朴孝立), 부장 박효관(朴孝寬), 女 (하시우夏時雨), 女 (박치화朴致華), 박효생(朴孝生)의 동생(처남)이다.
박사룡은 고봉 기대승(奇大升, 1527~1572)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고, 친상 때 묘소 인근에서 초막 생활을 하여 효자로써 부역을 면제받았다. 임진란에 창의하여 의곡을 모집하는 데 앞장 서서 나주에 의곡도청을 세운 의곡장 기효증(奇孝曾, 1550~1616)의 휘하에서 행재소로 조납(漕納)하였다. 또한 대가(大駕)를 호종하여 호성원종훈(扈聖原從勳)의 녹권에 올랐다.
지평 임위(林瑋)가 행장을 썼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장서각 《湖南節義錄》, 1799, 高廷憲禮.
*주의 : 경북 영주 출신의 박사룡(朴士龍, 1563:명종 18~1657:효종 8). 자는 군언(君彦)이며 본관은 반남박씨로 어모장군 박담수(朴聃壽)의 여섯째아들. 1603년(선조36)에 무과 급제하여 벼슬이 만호를 거쳐 호군에 이르고, 만년에 가선계(嘉善階)에 올랐다. 망와(忘窩) 김영조(金榮租),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 부훤(負暄) 황시(黃是) 등과 교분이 깊어 함께 수창(酬唱)했다.
이 인물과 동명이인으로 거의 같은 시기의 사람이어서 자료에 혼동이 생길 수 있다.
<선무원종공신> 동명이인 자료(https://blog.naver.com/win2u/221482864700)에 보면 광주의 박사룡은 부장으로 3등 102쪽 10행 4순번에 있고, 영주의 박사룡은 정로위(定虜衛<㝎)로 3등 146쪽 5행 3순번에 있다.
*수정 2024.11.12.
Tag ##박사용 #박사용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