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박해량(1850~1886)의 본관은 순천, 자는 도겸(道謙), 호는 율수(聿修)이다. 광산구 하남동(장수리)이 거주지이다.
박해량의 호는 율수재聿修齋로 고산 임헌회, 중암 김평묵, 면암 최익현, 노사 기정진 등에게서 학문을 터득했으나 36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업적을 많이 남아 있지 않으나 탐라耽羅, 흑산黑山 등지에 유배생활을 한 1874~1876년간의 기록으로 귀양 중인 면암 최익현과 함께 하면서 경서에 대한 토론과 시국에 대한 이야기 등을 나눴다.
그 당시 실정을 빠짐없이 기록한 실록인 <해상일기海上日記>는 면암 최익현이 제주도와 흑산도에 유배되었을 때 그를 따라가서 수학한 내용이 주를 이루는 일기로, 1874년 2월 10일부터 4월까지, 1875년 4월 20일부터 10월 3일까지, 1876년 2월 7일부터 1876년 6월 23일까지의 3기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일기는 1873년 겨울에 면암선생이 제주도에 안치되자, 그 다음해인 1874년 2월 10일에 장성에 사는 김효환(金孝煥)과 함께 선생을 뵈러 제주도에 가는 것부터 시작하고 있다. 3월 1일에 제주도 무주포(無注浦)에 도착하고 다음날 면암선생의 배소에 들어가 인사하였으며, 그 다음날 집지하고 배우길 청하여 계사(繫辭) 등을 배웠다. 그러다가 4월 3일에 조천관에서 배를 타고 집에 돌아온 것에서 일기는 일단락된다.
두번째 일기는 1875년 4월 20일에 면암선생이 사면되어 집에 돌아가는 길에 방문해준 것에서 시작한다. 이때 선생을 배행하고 장성 노사 기정진선생에게 찾아가고, 함께 올라갔는데 29일 성환역에 도착했을 때는 장성의 기우번과 기우만이 선생을 알현하기도 했다. 5월 1일에 동작진을 건너 2일에 선생의 집인 가거(嘉菃)에 도착했고, 15일부터 서울에서 선생이 있는 거곡(菃谷)을 오고가며 주역의 괘사, 격몽요결, 태극도설, 경재잠, 맹자 등을 공부하고, 모르는 것은 선생에게 편지를 써서 질문하고 답을 받았으며, 8월 23일에 경무대(慶武臺)에서 구일제(九日製) 시험을 보았다. 9월 22일에는 내려와서 임헌회(任憲晦)선생에게 지알(贄謁)하고, 수학하며 10월 3일까지 기록되어 있다.
세번째는 1876년 2월 7일에 면암선생이 마항점(馬項店)에 행차한 것부터 시작되는데, 면암은 척화(斥和)를 주장하며 도끼를 지고 대궐 앞에 엎드렸다가 체포되었고, 이 소식을 듣고 급히 달려가 선생을 배종하고 배소인 흑산도로 향해간 것이다. 27일에 다경진에 도착하고, 윤5월 2일에 관청도에 정박하였으며, 4일에 우이도에 닿았다. 5일에 화가가 와서 선생의 진영을 그리려고 하자 선생이 꾸짖으며 허락을 하지 않았으나 15일에 영정이 완성되었다. 노사선생이 문목에 대해 답장을 보내온 것을 베껴서 선생에게 바치자, “이 어른의 언론은 어찌 이리도 매양 명백한 것인가.”라고 하였고, 이밖에도 유소(儒疏)나 이전의 큰 사건 등에 대해 선생의 의견을 들었다. 장무(瘴霧)가 자주 끼자 선생이 돌아갈 것을 권유하기도 하였으며, 6월 23일 아침에 동쪽에 청기(靑氣)가 일어남을 보고 왜란이 있을 것을 예측하고, 일기는 끝을 맺는다.
6권 3책으로 1909년 아들 박원동이 간행. 책머리에 기우만의 서문, 시 58수, 서 60편, 기 1편, 제문 4편 등이 수록되어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그의 대한 기록은 노사문집蘆沙文集의 연보를 비롯한 최익현의 율수재행장聿修齋行狀에 “외모의 풍채가 뛰어나고 사색辭色의 기운이 온화하며 어버이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고 시문의 착상이 속 빠르며 글씨의 필법이 대단하다.장모풍영(狀貌風盈) 사색온윤(辭色溫潤) 사친지효(事親至孝) 작문부시수우입취(作文賦詩隨遇立就) 필법주건(筆法遒健)”고 표현했다.
면암선생문집 부록 제2권 연보(年譜), 병자년(1876년) 윤5월 선생 44세 때 기록에 보면 “문인 박해량(朴海量)이 정심사(淨心寺) 중 인찰(寅察)· 춘담(春潭)을 데려 와서 뵙고 선생의 초상을 그려 포천 본댁으로 모시고 갔다. …(중략) 이제 또 화승(畵僧)을 데려와서 선생의 초상을 그리고, 3개월 동안 모시다가 돌아갔다. …(후략)”
1880년 노사선생 襄禮 때 참석하였다.
광산구 장수길 33에 면암 최익현이 제주도와 흑산도 유배 때 지성으로 보살핀 제자 박해량(朴海量)과 그의 아들이자 의병으로 활약한 박현동의 강학 공간인 율수재(聿修齋)가 있다.
『聿修齋遺稿』 가 있다.
부 : 朴鼎鉉
조 : 朴聖洛
증조 : 朴達鎭
외조 : 兪致福
처부1 : 林基休
처부2 : 金盧休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