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온양정씨(溫陽鄭氏)로 참봉(參奉) 벼슬을 역임한 양파(楊波) 정락교(鄭洛敎, 1863~1938)는 광주 양림동에 살았다. 정락교는 구한말에 이 지역의 소문난 부자로 많은 공덕을 쌓았으며, 시문(詩文)에 조예가 깊었다고 한다.
정락교는 1920년 3월 30일 전라남도 광주군 송정면 송정리에 세운 湖南物産(株)의 이사로 있었으며, 광주부 양림정 157에 1934년 11월 8일에 세운 楊波農場(合名)의 정상호(鄭尙好)와 공동대표였다.
1905년(고종 42년 3월 2일) 慶基殿參奉으로 임명됐으나 10여일 뒤인 3월 13일에 의원면직되었다.
朝鮮總督府官報 1916년 9월 5일에 따르면 9월 1일자로 조선총독부 산하 全羅南道地方土地調査委員會 臨時委員에 任命됐다.
1919년(大正8年 4月 30日) 광주 참사(參事)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주소는 光州郡 孝泉面 楊林里이다.
1919년 9월 8일 <朝鮮總督府官報> 2137에 10명으로 무역업을 하는 湖南物産(株)을 설립했다.
朝鮮總督府官報 1920년 2월 16일에 따르면 2월 9일자로 鄭洛敎 외 23명이 자본금 150萬圓으로 全羅南道 光州에 株式會社 湖南銀行을 설립하고 木浦에 支店을 두었다고 하여 지역 은행 설립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1926년 4월 28일자 동아일보에는 광주 鄭洛敎씨의 호의로 光州靑年會館을 建築寄贈했고, 1938년 5월 4일자 동아일보에 유지(遺志)에 따라 광주 22개 학교에 1600원을 희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
- 이전글정기풍 鄭基豊 효종 5년(1654) 9월 9일∼효종 7년(1656) 1월
- 이전글정대현
- 다음글정만기
- 다음글정만종(鄭萬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