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류인대(유인대)

 류인대(柳寅大, 1895~1976)의 자는 국남(國南), 호는 월호(月湖)이며 본관은 문화이며, 좌상공파 대승공 31대손으로 전남 광산군 본량면 동호리(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에서 태어났다.

조선 전기의 화가인 서산(西山) 류자미(柳自湄, ?~1462)의 후예로 광산 본량동으로 이거한 농포(弄圃) 류희달(柳希達)9대손, 용강(龍崗) 류연영(柳年永)의 셋째아들인데 출계하여 백부인 소파(小坡) 류석영(柳碩永)의 계자(系子)가 되었다.

풍채가 근엄하고 성격이 강직하여 일용 행사(日用 行事)가 확실하다는 평가다. 후석(後石) 오준선(吳駿善, 1851~1931) 선생의 문인으로, 선생께서 무게가 있으며 말수가 적고 침착하다는 칭찬을 했다.

또한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길러준 생양 양정(生養兩庭)을 섬기되 뜻에 순종하여 어김이 없었고, 여러 누이들과 더불어 우애 또한 좋았다.

친상(親喪)을 당하여 제반 절차를 예제(禮制)에 따라 행하고 기일(忌日)에는 반드시 여재지성(如在之誠)을 다하며 친척 간에 화목하게 지내는 것을 중시하였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 586-1에 대동사(大東祠)를 창건하는데 재목(材木)을 거의 혼자서 담당하였다. 말년에는 문중도유사(門中都有司)로서 제반 종사(宗事)에 헌신하였다. 또한 임종에 유언으로 사우(祠字) 밑에 강당 부지를 희사하라 하고 세상을 떠나자 그 손자 류재천(嬼在泉)이 뜻을 받들어 종중에 희사하여 지금의 강당이 서게 되었다.

향년 82세로 졸하니 광산구 동호동 월륜동(月輪洞) 선영하에 안장하였다. 배위 진주정씨(晋州鄭氏)는 참봉 정종만(鄭鎭萬)의 따님으로 13녀를 두어 아들은 동렬(東烈), 사위는 전주 이동혁(全州 李東奕)천안 전종태(天安 全鐘泰)전주 이현권(全州 李鉉權)이다. 손자는 재천(在泉), 증석(增奭), 재원(在苑), 재혁(在革)이다.

1981년에 종중에서 공의 조상을 향한 지극한 마음을 기리고, 후세의 귀감을 삼기 위해 돌을 다듬어 대동사 사우(祠字) 밖에 공의 공적비를 세웠다. 이 비문은 광산향토사연구소장을 지낸 흥성인 유현(惟玄) 장재철(張在鐵)이 지었으며, 공의 묘갈명은 족질 동강(東江) 류한상(柳漢相)이 지었다.

*수정 2024년 9월 24일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