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공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지명총람의 다리

한국지명총람은 1970년대에 전국적으로 조사된 땅이름으로 1986년에 발간되었다. 여기에 수록된 다리는 지명으로 남은 다리이다. 위치만 기록되어 있고 구조와 실물의 형태는 있는 것보다 없는 것이 더 많다. 여기에 기록된 순수한 우리말로 되어 있는 이름의 다리는 역사가 아주 오래된 것으로, 큰 다리보다는 징검다리나 나무다리 등이 많이 있었다. 이 다리들은 옛 모습은 아니지만 현재 크고 작은 다리로 현대화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중 서구에 해당하는 이렇다.

광천-光川橋 : 광주시-서구-광천동-광천다리. 광천 앞에 있는 다리.

극락-: 광주시-서구-마륵동-마륵 서남쪽에 있는 다리. 송정읍과 경계가 됨.

금정-金亭橋 : 광주시-서구-풍암동-쇠정이 앞에 있는 다리.

유촌-柳村橋 : 광주시-서구-유촌동-유촌 동쪽에 있는 다리. 광주천에 놓였음.

자우라진-다리 : 광주시-서구-마륵동-마륵 남쪽에 있는 다리. 한쪽으로 자우라졌음(기울어졌음).

제비-다리 : 광주시-서구-덕흥동-덕흥 서북쪽에 있던 흙다리. 제비집처럼 생겼다 함.

조푼골-다리 : 광주시-서구-마륵동-조푼골에 있는 다리. 초분등 아래쪽이 됨.

차독-다리 : 광주시-서구-유촌동-계수 서쪽에 있던 다리. 차돌로 놓았었음

  

금정교

금정교金亭橋는 운리마을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던 쇠정釗亭마을에 있었던 다리로 쇠정다리라고도 한다. 풍암제(일명 신암방죽)와 운리마을 등 각기 두 방향에서 내려온 개천들이 만나 서창천西倉川을 이루는데, 금정교는 두 개천의 합류지점 아래에 있었다. 지금의 풍암마재우체국 앞 네거리에 해당된다.

본래는 통나무로 다리 몸체를 짜고 그 위에 섶나무를 덮고 흙으로 다져 만든 흙다리였는데, 해방 후에 콘크리트 다리로 바뀌었다고 한다. 지금은 그 위로 회재로와 송암로가 지나가 땅에 묻혀 다리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쇠정은 예로부터 서창과 광주 시내를 잇는 길목이었고, 인근 운리 마을의 들머리에 해당되어 사람들의 통행이 많았다. 한편, 金亭橋라는 한자표기는 쇠정교釗亭橋라 써야 옮은 것으로 보인다. 쇠정은 흔히 쇠정이’, ‘시쟁이등으로 불렀는데, 간혹 사람들은 쇠정을 금정의 잘못된 표기로 여기는 경우가 있었다. 금정교도 쇠정에 있는 다리를 한자로 잘못 표기한 결과로 보인다.


자우라진 다리

마륵마을 남쪽에 있었다고 하는 다리. 한쪽으로 기울어진 모습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기우러진 것을 우리 지역 방언으로 자우라졌다고 하기 때문이다. 마륵동 일대가 개발되면서 이 다리를 기억하는 사람을 찾을 수 없어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제비다리

덕흥동 서북쪽에 있던 흙다리였다고 한다. 다리의 생김새가 제비집같이 생겼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은 것 같다. 흙다리는 나무를 베어 교각橋脚을 세우고 그 위에 얼기설기 섶나무를 깔고 흙을 덮어 마치 제비집처럼 엉성하게 만든 것이라서 이렇게 불렀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런 다리를 토교土橋.학교鶴橋 또는 흙다리라고 했다. 광주에도 흙다리라고 부르는 곳이 많았는데 이를 구별하기 위해 이곳의 다리를 제비다리라고 불렀던 것 같다.

다리가 있었다고 하는 덕흥동 서북쪽은 극락강변을 말하는 것으로 과거 나루터가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이 나루는 덕흥동과 유촌동 사람들이 강 건너 지금의 극락강역 주변에 농사일을 할 때 이용했다고 한다. 따라서 제비다리는 갈수기渴水期에 강물이 줄어 나룻배를 이용할 수 없었을 때 임시로 가설된 다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푼골 다리

마륵동 조푼골에 있었다고 하는 다리. 초분골 아래쪽에 있었다고 하는데, 이 다리의 위치에 대해 알려줄 제보자를 찾을 길이 없다. 마륵동 주변의 지형 또한 상무지구 개발로 크게 변해 지형을 보고도 그 위치를 추측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차독다리

계수마을 서쪽에 있었던 다리. 차돌로 놓은 징검다리였다고 한다. 남구 봉선동에서 발원해 서구 계수마을 앞을 지나 현재 광주시청사 앞에서 광주천과 합류하는 극락천極樂川(극락강과는 다른 개천임) 아래쯤에 있었다.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