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공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리의 역사

광주에 다리가 언제부터 놓여 졌는지는 알 수 없다. 사람이 살기 시작하면서부터 내나 강을 건너게 하는 다리는 만들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 옛 다리의 흔적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광주의 옛 다리는 광주의 교통로를 따라 만들어졌다. 광주는 옛 길이 별로 크지 않았고, 타 지역으로 가는 데는 광주읍성의 4대문을 통하여야 했다. 서울로 가는 역로驛路는 북문(현 충장로 파출소 자리)을 지나 공북루라는 누문을 거처 장성의 영신역을 지나 전주를 경유하여 서울에 이르렀다. 대구로 가는 역로는 동문(현 전남여고 부근)을 지나 경양역을 거쳐 담양.순창을 경유, 대구에 이르렀다.

목포.해남.강진 방면은 서문(현 황금동 사거리)을 지나 광주천의 노지다리(부동교)와 백운동 진다리를 지나가야 했다. 화순.보성.순천 방면은 남문(현 광산동 지하철 도청 역 부근)을 통하여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앞들을 지나 화순 너릿재를 넘게 되어 있다. 이 도로를 따라 하천이 있는 곳에 다리가 있었다.

광주의 옛 다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옛 책들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광주의 다리를 기록하고 있는 옛 책으로는 1650년대 간행의 광주읍지, 숙종 25(1699)에 작성된 광주목지와 영조 36(1760)에 발행한 여지도서, 정조 16(1792) 발행의 광주읍지, 고종 20(1879) 발행의 광주읍지, 고종 35(1894) 발행의 광주읍지1924년에 발행한 광주읍지그리고 1966년에 발행한 광주시사1986년에 한글학회에 발간한 한국지명총람등이 있다.

1650년대 간행 광주읍지光州邑誌

1650년대에 간행한 광주읍지에는 4개의 교량이 기록되어 있다.

. 황룡교黃龍橋 : 소지면(현 서봉 인암 운수 소촌 송정동)에 있는데 관문에서 40리이다.

. 생압교生鴨橋 : 당부면(현 마륵 금호 풍암동)에 있는데 관문에서 20리이다.

. 공량교孔樑橋 : 마지면(현 신창 신가 운남동)에 있는데 관문에서 30리이다.

. 극락교極樂橋 : 방하동면(현 송대 용두 서창동)에 있는데 관문에서 30리이다.


1699년 간행 광주목지光州牧誌

1699년에 간행한 광주목지에는 5개의 교량이 있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 황룡교黃龍橋 : 주의 서쪽 40리에 있다.

. 생압교生鴨橋 : 주의 서쪽 20리에 있다.

. 공량교孔樑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 극락교極樂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 선창교仙艙橋 : 주의 서쪽 20리 풍영정 앞에 있다.

1650년 간행된 광주읍지에는 황룡교.생압교.공량교.극락교 등 4개의 다리가 있었다. 그런데 50여년 뒤인 1699년 간행된 광주목지에는 여기에 선창교가 새로 추가되어 있다. 당시 선창교는 칠계 김언거가 만든 극락강 변의 풍영정 앞에 있었다.


1760년 발행 여지도서輿地圖書

영조 36(1760)에 간행한 여지도서 광주편 교량조에는 7개의 교량이 기록되어 있다.

. 선암교仙巖橋 : 주의 서쪽 40리에 있다.

. 생압교生鴨橋 : 주의 서쪽 21리에 있다.

. 공량교孔樑橋 : 주의 북쪽 20리에 있다.

. 극락교極樂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 풍영정교風詠亭橋 : 주의 북쪽 25리에 있다.

. 대량교大樑橋 : 주의 북쪽 10리에 있다.

. 학교鶴橋 : 주의 북쪽 5리에 있다.

1699년 간행의 광주목지의 5개 교량에 비해 70여년 뒤의 여지도서는 7개의 교량 이름이 보인다. 황룡교 대신 선암교가 같은 거리에 있는 것으로 보아, 황룡교가 선암교로 이름이 바뀐 것 같다. 선창교가 없어지고 풍영정교가 새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 역시 선창교가 풍영정교로 이름이 바뀌었음도 알 수 있다.

그 무렵 새로 만들어진 2개의 다리는 주의 북쪽에 가설된 대량교와 학교다.


1879년 발행 광주읍지光州邑誌

1879년에 간행한 광주읍지에는 5개의 교량을 기록하고 있다.

. 선창교仙滄橋 : 주의 서북쪽 20리 풍영정 앞에 있다.

. 생압교生鴨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 공량교孔樑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 황룡교黃龍橋 : 주의 서쪽 40리에 있다.

. 극락교極樂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여지도서에 기록된 대량교와 학교는 다시 생략되고 없다. 다리가 없어졌기 때문에 생략된 것인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 선암교와 황룡교, 선창교와 풍영정교는 다시 이름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1894년 발행 광주읍지光州邑誌

1894년에 발행한 광주읍지에도 5개의 교량을 기록하고 있다.

. 선창교仙滄橋 : 주의 서쪽 20리 풍영정 앞에 있다.

. 생압교生鴨橋 : 주의 서쪽 20리에 있다.

. 공량교孔樑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 황룡교黃龍橋 : 주의 서쪽 40리에 있다.

. 극락교極樂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1879년 발행 광주읍지와는 변동이 없지만 선창교의 방위가 서북쪽에서 서쪽으로, 생압교의 거리가 주의 서쪽 30리에서 20리로 바뀌어 있다.


1924년도 발행 광주읍지光州邑誌

일제 강점기인 1924년 발행의 광주읍지에는 18개의 교량을 기록하고 있다.

. 황룡교黃龍橋 : 주의 서쪽 40리에 있다.

. 생압교生鴨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 선창교仙滄橋 : 주의 서북쪽 20리 풍영정 앞에 있다.

. 공량교孔樑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 극락교極樂橋 :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 광주교光州橋 : 화원정에 있다.

. 부동교不動橋 : 부동정에 있다.

. 성저교城底橋 : 성저리에 있다.

. 장우교長牛橋 : 주의 서쪽 30리의 거리에 있다.

. 서창교西倉橋 : 주의 서쪽 30리의 거리에 있다.

. 월봉교月峰橋 : 주의 북서쪽 20리의 거리에 있다.

. 이교泥橋 : 주의 남쪽 5리의 거리에 있다.

. 군분교軍盆橋 : 주의 서쪽 5리의 거리에 있다.

. 대강교大江橋 : 주에서 북쪽 5리의 거리에 있다.

. 소태교所台橋 : 주에서 남쪽 5리의 거리에 있다.

. 철도교鐵道橋 : 하나는 풍영정 앞에 있다.

. 철도교鐵道橋 : 하나는 송정리에 있다.

. 철도교鐵道橋 : 하나는 하남면 산정리에 있다.

1924년 발행의 광주읍지에는 총 18개의 교량이 기록되어 있어,20년 사이에 13개나 증가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191610,860명이던 광주 인구가 192523,597명으로 늘어나 강과 내를 건너야 할 수요의 증가 때문으로 보인다. 생활형 다리가 많이 만들어졌음은 황룡강이나 극락강이 아닌 광주천에 광주교, 부동교, 성저교 등이 만들어졌음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당시 호남선이 개통되면서 세 군데의 철도교도 만들어졌다.


1966년 발행 광주시사 중 서구 부분

명칭

위치

구조

계수교桂樹橋

유덕동

철근콘크리트

태평교泰平橋

양동

 

광천교光川橋

광천동

철혼T형구조형

극락교極樂橋

서호동

철혼T형조

대백교大白橋

유덕동

철혼조

덕림교德林橋

농성동

철혼구주식鐵混構柱式

덕흥교德興橋

 

 

쌍촌교雙村橋

상무동

 

양유교良柳橋

양 동

궤도교

천 교泉 橋

양동

 

천월교泉月橋

양동

목조식

효사교孝司橋

상무동

철혼조


1966년 간행된 광주시사에 나타난 교량은 총 85개소다. 이는 1924 광주읍지에 실린 18개보다 67개나 늘어났음을 보여준다. 192523,957명이던 광주의 인구는 196030만 명이 넘게 되고 1970년이 되면 50만 명이 된다. 인구의 증가와 교통량의 증대는 강과 내를 건너는 다리를 대량으로 필요하게 만들었다.

당시 만들어진 교량의 재료를 보면 목조 31개소, 철혼조 36개소, 철혼 T형조 12개소, 궤도교 3개소, 세월식 2개소, 콘크리트조 2개소 등으로 되어있어 철과 나무로 만든 다리가 대종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있었던 다리는 오늘 큰 천변을 제외하고는 다수가 보이지 않는다. 이는 도시계획에 의해 파괴되었거나 복개 또는 도로 밑 암거暗渠형태로 되었기 때문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