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치평동 유적

서구 치평동 92-1번지 일대

광주 최초의 인간 흔적이 남아 있는 서구 치평동 일대는 극락강과 그 지류인 광주천의 동쪽과 남쪽에 형성된 해발 30~40m의 낮은 구릉이 이어지는 곳이다. 이러한 지형은 선사시대 유적이 입지하는 일반적인 지형이다. 비슷한 환경을 갖춘 극락강 상류 지역에서 적지 않은 선사 유적들이 발견되어 그 중요성이 일찍부터 주목되어 왔다.

치평동 유적은 행정구역상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92-1번지 일대이다. 상무택지개발지구에는 상무대가 위치했고 지금 전남중학교 주변 일대가 구석기인들의 보금자리였던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도시개발공사는 신도심 개발에 따른 문화재 파괴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상무대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학술조사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전남대학교 박물관에 의뢰하여 19941230일부터 19951230일까지 광주 상무택지개발지구 종합학술조사가 이루어졌다. 종합학술조사는 상무지구의 지리, 상무대의 연혁과 기능, 지역사회에 끼친 영향 등 상무대에 대한 학술적인 의미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택지개발에 앞서 문화유적이 확인될 경우 그 현상을 파악하여 발굴조사와 보존 대책에 대한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이다.

종합학술조사를 통해 조사된 내용은 상무지구의 자연 지리, 고고학 유적, 역사적 변천, 상무대의 역사와 지역사회, 지역경제, 약사 및 연표 등 7개 분야로 나뉘어 보고서가 간행된 바 있다. 상무지구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적은 초기철기~원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3개소이며 치평동 1, 쌍촌동 2곳이다.

광주시도시개발공사에서는 이 가운데 치평동 유적은 구 상무대 내에 위치하고 있고 개발공사가 진행 중이므로 공사로 인해 유적이 파괴 되지 않도록 보존 조치를 먼저 했다. 아울러 조선대학교 박물관에 발굴조사 용역을 의뢰하여 1996318일부터 520일까지 약 2개월간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치평동 유적에서는 조선대학교 이기길 교수에 의한 별도의 환경영향평가 조사 때 구석기 시대의 유물이 채집된 바 있어 구석기 시대 유물 포함층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치평동 유적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 되었다.

발굴 조사 결과 9개의 지질층을 갖고 있었고, 그 지질층에서 2개의 구석기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구석기 1문화층에서는 몸돌 1, 조각돌로 만든 긁개 2점이, 그리고 구석기 2문화층에서는 몸돌 2, 격지, 찍개, 여러면석기, 조각돌이 각각 1점 등 지표에서 채집된 유물을 포함하여 총 12점이 확인된다.

이 유적의 연대는 토양쐐기를 마지막 빙하기의 추운 시기에 형성된 언땅트기(mud crack)의 결과로 볼 때, 산소동위원소에 따른 시기구분상 2(24110±4930~12050±3140)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를 치평동 유적의 지층에 적용해보면, 구석기 2문화층은 후기 구석기의 늦은 시기에 해당되고, 구석기 1문화층은 이보다 이른 시기로 판단된다. 구석기 1문화층의 연대는 구석기 2문화층에 이르기까지 쌓인 약 3m에 이르는 퇴적 두께와 그 사이에 적갈색 모래질찰흙층이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적어도 중기 구석기시대에 속할 가능성도 있다.

광주 치평동 구석기 유적은 영산강 유역에서 발견된 최초의 구석기 유적이며, 1문화층이 중기 구석기 단계에까지 올라갈 수 있는 가능성이 함축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시굴된 유적은 다시 흙으로 덮어지고, 그리고 그 위로 고층 아파트들이 빼곡히 들어서 있다. 수 만년이 흐르면서 구석기인들의 주거지였던 막집은 이제 21세기의 주거지인 아파트로 변해버렸다. 아파트 빌딩 속에서 수만 년 전의 구석기인들의 막집을 떠올리기는 쉽지 않지만, 치평동 유적은 광주에 남은 인간 최초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