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효자윤광훈 열부나주임씨 효열실적비

남구 노대동 노대마을과 구암마을 사이 도로변

효자윤광훈 열부나주임씨 효열실적비

비문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세상에 지극한 행동과 기이한 절개를 지키고 있는 사람은 참으로 적다. 행동이 진실로 백가지나 되지만 자식의 효행이 근본이 되는 것이며 절개를 지키는 것은 여자가 행실 중 가장 어려운 일이다. 백년 사이에 열녀 한 사람이 있을 수 있고 백리(百里)거리에 한 사람이 있을 수 있으니 드물게 배출된다고 하지 않겠는가,
한 시대에 효자와 열녀가 함께 배출되는 것은 오히려 보기 드문 일이며 한 가문에서 효자와 열녀가 함꼐 배출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편이지만 어쩌다가 있기도 하는데 하물며 효자의 아내가 열부(烈婦)가 되었고 열부의 남편이 효자가 되는 경우는 오직 보기 드물 뿐만 아니라 듣기도 드문 일이다.
어느날 나의 벗 윤종림(尹宗林) 군이 책 한권을 가지고 백운동에 있는 집으로 찾아와 나에게 보이니 즉 함안 윤광훈(咸案 尹光訓)의 효행과 그 부인 나주임씨의 열행(列行)을 담고 있는 실록(實錄)으로 즉 종림(宗林)의 족(簇)선조 고비(考妣)가 되는 분이다.
이제 공께서 세상을 떠나 신지 100년이 되었다. 그 당시에는 예의(禮義)의 가르침이 폐지되지 않았고 오륜(五倫) 오상(五常)이 모두 끊기지 않았다. 이처럼 휼륭한 효행과 정열(貞烈)이 한 가문에서 배출되었건만 어찌하여 정려(旌閭)를 세우라는 나라의 명을 받지 못하였을까. 이제 사론(士論)과 향의(鄕議)로써 무너져 버린 천지의 법도와 끊어져버린 백성들의 도덕을 되찾으려 하니 아~ 마음이 아프기만 하다.
공께서는 어려서부터 효도하고 근면하였기에 가정이 비록 가난하였지만 부모님께 맛있는 음식을 봉양하고 잠자리를 편안하게 하여 그 마음과 그 몸을 함께 봉양하였다. 이때 임씨부인(林氏夫人)의 내조가 지극하여 이것저것 신경을 쏟았다.

어머니 병세가 위독해지자 병에 좋다는 약품을 먼 곳까지 달려가 구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매번 하느님꼐 기도를 하고 똥맛을 보아 병세의 차도를 짐작 해본 결과 점차 더 위독해지자 자신을 손가락을 깨물어 어머니의 입안에 피를 흘려 반일(半日)의 수명을 연장하기까지 하였다.
수명은 정해진 것이기에 마침내 구원할 길이 없었으며 장례를 치르는 예절은 한결같이 옛 예법을 준수하고 풀자리에서 잠을 자고 국물을 마시며 3년을 하루같이 하였다. 몸이 수척하여 마침내 질병을 얻어 일어나지 못하였고 자식이 없으니 조카 단(袒)을 아들로 삼았다.
임씨부인은 본래 부도(婦道)를 잘 지킨다는 소문이 있었다. 남편의 병세가 위독해지자 북두칠성(北斗七星)에 절을 올리고 남편을 대신하여 자기를 잡아가라고 하니 그 정성은 가히 하늘은 감동시킬만 하였건만 마침내 남편의 수명을 연장해 주지 않아 갑자기 죽어갔다. 시신을 거두어 혼인 때 입었던 의복을 입혀 입관(入棺)을 하였으며 장례를 마치고 제사를 모시는 일에 정성을 다해 봉행 하였다.
영연(靈筵)을 철거하는 날 종족들에게 말하기를 남편 살아서의 의를 지키고 남편 죽어서는 절개를 지킬 것이며 나 죽은 뒤 일은 단이 있으니 족히 염려 될 것이 없다. 하시고 조용히 자진하여 공의 뒤를 따랐다. 아~ 공의 독실한 효행은 검루(黔屢)의 짝이 될 만 하고 유인(孺人)의 곧은 열행은 백주(栢周)의 짝이 될 만 하니 그 효행과 그 열행은
온 부부들의 귀감이 될만한 일이요 어찌 함안윤씨가문에게만 찬사가 있어야 되겠는가.
요즈음 온통 세상은 도덕성이 무너져 부자간의 은혜와 부부간의 도리가 한결같이 새 집승과 같은 세상으로 변화하였다. 어린 후배들이 효도와 열행을 알 수가 없어 세상 도덕을 귀로 듣고자 해도 들을 수 없으며 눈을 씻고 보고자 해도 볼 수가 없다. 휼룡하기만 한 효행을 이제야 돌에 새기니 두루 일어보고 자식이 해애할 도리와 아내가 해야 할 도리를 알았으면 한다.


世之有至行奇節蓋鮮矣行固百行而子孝爲本節具不一而女烈爲難百年而得一人焉不爲曠百里而得一人焉不爲罕苟於郡國或一時並出者猶爲罕見以一家而湃時共有者殆絶 無而僅有耳况又孝子之妻爲烈婦烈婦之夫爲孝子者非惟見之之罕柳亦聞之之罕也曰吾友尹君宗林袖一冊示余於白雲僑舍乃咸安尹公諱光訓孝行其夫人羅州林氏烈行之實錄則宗林之族先祖考妣也今距公之世己越百餘春秋矣當時禮敎不盡廢倫常不盡絶以若篤孝貞烈箤于一家者胡篤末蒙旌閭之典今以士論鄕議欲圃不朽於天綱嶊地維頹而民慈睪攵絶之今日乎吁其悲哉公從少孝勤家雖淸貧供甘旨安寢處志體俱養林夫人內助極備左右就養及先妣疾谷尤藥品饌材利病之物無遠不求每號天供禱嘗糞審症症漸危絶輒石斤指注血于口能延得半咎之回甦大限有定竟莫之救其喪葬之儀純終之道一遵古禮而寢若啜粥三年如一日柴毁骨立終成疾不起无嗣取姪坦爲子林孺人素以婦道著聞及公病篤拜斗析代誠可感天而竟未之延遂奄忽焉襲歛取婚聘時綠衣納于棺中殯葬祭尊彈誠奉行及撤靈筵語宗族曰生守義也死從節也後事事有坦在他無足慮俄而從容自裁竟下從焉盖其錄衣之納公棺者盖有所光定也噫公之篤孝可伍黔屢孺人之貞烈可疋柏舟其孝其烈爲夫爲婦傳咸安氏有辭者豈從耳哉今天下陸沈父子之恩夫婦之道一化爲鳥有後生少輩矇不知孝烈之爲0事世道駿欲則耳求聞而無聞也欲拭目求見而無見也猗此孝烈侍今而勒之石遍八時人之聸陰爲人子而不知養生送死之始終者爲人妻而不知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