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문선 제129권 / 묘지명(墓誌銘); 흥녕부원군 시양도 안공 묘지명 (안경공), 이숙야 광주목사

동문선 제129권 / 묘지명(墓誌銘)

유명조선국 추충익대 개국공신 보국숭록대부 흥녕부원군 시양도 안공 묘지명 병서 (有明朝鮮國推忠翊戴開國功臣輔國崇祿大夫興寧府院君諡良度安公墓誌銘 幷序)


윤회(尹淮)


안씨(安氏)의 조상은 (順興)의 명망있는 가문이었다. 급제(及第) 휘 석(碩)이 학문에 힘을 써서 집안을 일으키더니, 얼마 안 되어 깊이 숨어 자취를 감추어 시골의 착한 선비가 되었다.

그가 문정공(文貞公) 휘 축(軸)을 낳았는데 원조(元朝)의 제과(制科)에 합격되어 고려를 도와 벼슬이 첨의찬성사 흥녕부원군 영예문관사(僉議贊成事興寧府院君領藝文館事)에 이르렀고, 문장과 정사로 일대의 명경(明卿)이 되었다. 그가 문간공(文簡公) 휘 종원(宗源)을 낳았는데, 약관에 과거에 올라 청요직을 역임하고 드디어 대정(大政)에 참여하였고, 개국(開國) 초년에 나라의 원로로서 덕을 쌓아 판문하부사 집현전대학사(判門下府事集賢殿大學士)가 되었다가, 그 지위에서 졸하였다. 그가 우상시(右常侍) 김휘남(金輝南)의 딸에게 장가들어 세 아들이 과거에 올랐으므로 경혜택주(慶惠宅主)를 봉하였으니, 바로 공의 아버지와 어머니였다.

공의 휘는 경공(景恭)이요, 자는 손보(遜甫)이니, 일찍이 가정의 교훈을 받아 조금도 부호가의 화려한 습속이 없고, 온화하고 어질고 효도롭고 경건함이 천성에 근본하였다. 지정(至正) 25년 을사에 사마시에 올랐고, 홍무(洪武) 5년 임자에 산원(散員)에 보직되었고, 명년에 낭장(郞將)에 특진되어 사헌규정(司憲糾正)을 겸하였고, 병진년에 의영고 부사(義盈庫副使)로서 동진사(同進事)에 합격하여 전리(典理)ㆍ전법(典法)ㆍ좌랑(佐郞)ㆍ사헌지평(司憲持平) 등을 역임하였고, 예의정랑(禮儀正郞)에서 다섯 차례 전임되어 삼사좌윤(三司左尹)에 이르렀고, 비순위 상호군(備巡衛上護軍)으로 판통례문사 진현관 제학(判通禮門事進賢館提學)을 겸했다가, 얼마 안 되어 판전교시사 지제교예의판서(判典校寺事知製敎禮儀判書)로 전법(典法)에 옮기었는데, 죄수를 불쌍히 여겨 기뻐하지 않아 공평하게 판결하여 죄를 가볍게 처리하였다. 외직으로 나가 황주목(黃州牧)이 되어서는 백성을 자식처럼 어루만지니 백성들은 그가 떠난 뒤에도 사모하였다. 임신년 4월에 밀직사(密直司)에 들어와 좌부대언(左副代言)이 되었고, 7월에 우리 태조가 천명을 받아 혁명하였을 때, 공이 천명이 태조에게 돌아가는 것임을 알고 장상(將相)들과 더불어 추대하여 좌대언(左代言)에 올랐다. 관제가 새로 실시되어 익대개국공신(翊戴開國功臣) 중추원 도승지(中樞院都丞旨)에 승진되었으니, 이 때는 정사를 처음 시작할 시기여서 공이 제일 먼저 승지로 있으면서 왕명출납이 밝고 적당하여 아름다운 계획과 비밀스러운 의논으로써 도움이 크고 많았다. 계유년에 사헌부 대사헌 도평의사사 사보문각학사(都評議使司使寶文閣學士)에 승진되었다. 공이 두 차례나 사헌부에 들어가 바름을 지켜 흔들리지 않았으며 풍채가 엄숙하였다. 갑술년에 문간공의 상사를 당하였고, 상복이 끝나자 자헌대부로 흥녕군(興寧君)에 봉하였고, 공훈과 관직(館職)은 전과 같았다.

영락(永樂) 4년 병술에 판공안부(判恭安府)로서 정헌대부에 가자되고, 판한성부(判漢城府)로서 두 차례 더하여 숭정대부가 되었다. 무자년에 아버지 상을 만났는데, 약물의 봉양과 상장(喪葬)의 예식에 극히 정성과 효도를 다하니 보는 자가 공경하고 우러렀다. 경인년에 태종이 송도에 거동할 때, 공에게 명하여 개성유후(開城留後)를 삼았고, 병신년에 보국숭록대부 집현전 대제학에 특진되어 부원군의 봉작을 받았다.

공이 조정에 있을 때는 국사에 대한 걱정에 전념하여 여러 사무를 다스리고, 대신이 되어서는 안정스럽게 장중한 모습으로 조정의 표준이 되었다. 공이 일찍이 경상도 안렴사와 전라ㆍ황해도의 관찰사가 되어 흐름을 따라 교화를 펼쳐 강한 자를 누르고 약한 자를 도와 유지시키며 너그럽고 간소하여 까다롭지 않았기 때문에 부(部) 안이 잘 다스려졌다. 신축년 정월 10일에 정침(正寢)에서 졸하니, 나이 75세였다. 공이 병에 걸렸을 때, 태종과 지금 전하께서 급히 국의(國醫)를 보내어 치료하고 중사(中使)를 시켜 병을 보살폈다. 부고가 이르자, 양궁(兩宮)이 애도하여 조문과 치제를 후하게 하고 유사로 하여금 대장(大葬)을 하게 하고 시호를 양도(良度)라 하며 2월 27일 경신에 금천(衿川) 백사동(栢寺洞) 언덕에 장사하였다.

공은 마음가짐이 곧고 미더우며, 몸가짐을 삼가히 하여 일찍이 추세에 따라 이리저리 하지 않았으며, 또한 특이한 행동을 하여 드러내려고 하지 않았다. 다른 사람을 접대할 때 정성과 믿음으로 대하여 거짓이 없었으며, 마음속에 잘잘못을 모르는 것이 아니로되 입으로 절대로 남의 잘잘못을 논하지 않았다. 그 겸손한 덕은 벼슬이 높을수록 더욱 나타났으며, 본래부터 화려함을 싫어하여 검소에 힘썼다. 만년에 한가히 거처하여 잘 나가지를 않았고, 손님이 오면 반드시 술을 대접하여 기쁨을 취하되 사치를 숭상하지 않고 흉금이 담담하여 남과 다툼이 없었다. 공의 형제 셋이 모두 명성이 있었으나, 아들이 없이 일찍이 세상을 떠나고 오직 공만이 천복을 누려 나라의 원로가 되었으며, 손자와 증손이 번영하여 문호가 더욱 창성하였으니, 적선한 보답이 참으로 헛되지 않도다.

부인 오천 정씨(烏川鄭氏)는 문정공(文貞公) 사도(思道)의 딸이었는데, 공신의 맏며느리라고 하여 의정택주(懿靜宅主)에 봉하였다. 아들 하나를 낳았는데, 이름은 순(純)이니, 현재 숭정대부 호조판서 보문각 대제학으로서 정당문학 정공권(鄭公權)의 딸에게 장가들어 4남 3녀를 낳았다. 맏아들 숭직(崇直)은 용양사 상호군이요, 다음 숭선(崇善)은 승정원 도승지이니, 경자년 과거에 장원이요, 다음 숭신(崇信)은 웅무사 호군 중추원경력(雄武司護軍中樞院經歷)이요, 다음 숭효(崇孝)는 중군사직(中軍司直)이다. 맏딸은 사헌부 대사헌 이숙치(李叔畤)에게 시집가고, 다음은 판통례문사(判通禮門事) 조혜(趙惠)에게 시집가고, 다음은 사헌부 감찰 김준례(金遵禮)에게 시집갔는데, 증손은 남녀 약간 명이 있다. 상호군은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조견(趙狷)의 딸에게 장가들어 딸 하나를 낳았는데 사직(司直) 박강(朴薑)에게 시집가고, 도승지는 상호군 송천우(宋千祐)의 딸에게 장가들어 2남 2녀를 낳았는데 맏아들은 훈(訓)이요, 다음은 의(誼)요, 맏딸은 경창부승(慶昌府丞) 김숙(金潚)에게 시집가고, 다음은 세자좌사경(世子左司經) 조석문(曺石門)에게 시집갔다. 호군은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숙야(李叔野)의 딸에게 장가들어 1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전(詮)이요, 맏딸은 도염녹사(都染錄事) 최민(崔旼)에게 시집가고, 나머지는 어리다. 사직은 동지충추원사 이숙묘(李叔畝)의 딸에게 장가들어 2남 3녀를 두었는데, 맏아들은 겸(謙)이요, 다음은 눌(訥)이요, 딸은 모두 어리다. 대사헌은 딸 하나를 낳았는데, 인순부승(仁順府丞) 이계현(李繼賢)에게 시집갔다. 판통례는 5남 3녀를 두었는데, 맏아들 지당(之唐)은 종묘서승(宗廟署丞)이요, 다음 지은(之殷)은 부사정이요, 다음은 지하(之夏)요, 다음은 지한(之漢)이요, 다음은 지주(之周)요, 맏딸은 유학 조계번(趙季蕃)에게 시집가고, 나머지는 모두 어리다. 감찰은 4남 4녀를 두었는데, 맏아들은 맹절(孟節)이요, 다음은 맹의(孟義)요, 다음은 맹렴(孟廉)이요, 다음은 맹치(孟恥)요, 맏딸은 유학 홍도상(洪道常)에게 시집가고, 나머지는 모두 어리며, 현손(玄孫)은 약간명이 있다. 박사직(朴司直)은 1남 3녀를 두었는데 모두 어리고, 김부승(金府丞)은 1남 1녀를 두었는데 어리고, 전(詮)은 2녀를 두었고, 녹사는 1녀를 두었는데 어리고, 서승(署丞)은 1남을 두었으나 어리고, 부사정은 1남 2녀를 낳았는데, 모두 어리다. 아, 번성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명(銘)은 다음과 같다.


높은 소백산 / 小白之山

위로 푸른 하늘에 닿아있고 / 上磨蒼穹

기이한 기운이 모여 빼어난 사람을 잉태하여 / 鍾奇孕秀

칠상 오공을 낳았구나 / 七相五公

후히 양도공을 낳았으니 / 篤生良度

대대로 가업을 전하였도다 / 箕裘是承

오직 충과 효로 / 惟忠惟孝

전전긍긍하였소 / 戰戰兢兢

공훈이 종과 솥에 새겨지고 / 勳銘鍾鼎

명망이 사대부에 무거웠고 / 望重簪紳

노성하신 덕 / 老成之德

시초나 거북처럼 신묘하였오 / 蓍龜其神

생시엔 특별한 은혜 높았고 / 生被殊遇

죽으니 법도가 있다오 / 沒有典章

슬픔과 영화로움의 시종이 / 哀榮終始

청사에 빛이 더하였고 / 靑史增光

자손이 연이어져 / 子孫繩繩

복록이 다하지 않았다오 / 福祿未央

돌을 다듬어 글을 묻어 / 鑱石埋辭

먼 미래에 보이노라 / 用示攸長

*광주목사 이숙야(李叔野)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