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평택임씨 삼강유허비/ 정려각



광주시 광산구 탑동길 93(지산동 277-1 탑동마을 )

1915년

이 평택임씨삼강유허비(平澤林氏三綱遺墟碑)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전사한 임영수(林英秀)와 그 아들 임계(林桂) 그리고 남편에게 절의를 지킨 아내와 며느리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비갓을 갖춘 화강암제로 되어 있고, 현재 평택임씨문중 소유이다. 비문은 기우만(奇宇萬)이 짓고, 후손 임철주(林哲周)가 썼다.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무랑(宣務郞) 임영수(林英秀)가 중심인물이다. 그의 가계에 대해 언급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려 때의 명신(名臣)인 충정공(忠貞公) 임언수(林彦脩)가 그의 선조이고, 조부인 임백근(林百根)은 현령(縣令)이었으며, 부친 임휴(林畦)는 의행(義行)으로 천거되어 침랑(寢郞)에 제수되었으나 정국이 어지러워 벼슬길을 달가워하지 않고, 손수 소나무, 대나무, 잣나무를 심고는 삼청(三淸)’으로 자호(自號)하였다.

무관(武官)인 임영수(林英秀), 계사년(1593)에 경성(京城)에서 순국하게 되고, 그의 아들 임계(林桂)는 복수를 생각하던 차에, 정유재란(1597)이 발발하자 이복남(李福男)의 막하에 들어가게 된다. 결국 그는 용성(龍城 남원)에서 왜군을 막다 성이 함락되어 전사한다. 임계(林桂)의 어머니가 이 소식을 듣고 말하기를, “남편이 죽었는데도 죽지 않은 건 자식이 있기 때문이었다. 자식도 아버지를 이어 죽었는데 나 또한 남편을 따르겠다.”하고는 자진(自盡)하였다.

며느리도 같은 날 자진한다. 이후 이괄(李适)의 난때 임계(林桂)의 아들인 임광윤(林光胤)의 명으로 그의 두 아들 임은(林嶾)과 임두(林㞳)는 공주(公州)까지 인조(仁祖)를 호종(扈從)하였으며, 병자호란(1636)이 일어나자 임광윤(林光胤)은 군사를 모집하여 가던 중에 화의소식을 듣고 돌아왔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남편이 순국했다고 아내가 따라서 죽는 것은 권장할 만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충()과 효()는 동서고금을 관통하는 덕목으로 사회를 유지하는 기초적인 것이다.

평택임씨삼강유허비(平澤林氏三綱遺墟碑)에 새겨진 금석문을 통해 4대에 걸친 집안의 사연을 알 수가 있었다. 우리는 평택임씨(平澤林氏) 집안의 희생에 대한 보답을 해줘야 한다. 보답은 다른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 사실을 기억해주고 그 집안이 자긍심을 갖도록 해주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집안의 희생을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되기에 엄숙한 마음으로 이러한 일을 전하고 기념해야 할 의무가 있다.

三綱遺墟碑銘 幷序
湖南爲忠義淵海而平澤林氏爲一指平澤氏爲忠義古家而宣務家又其一指宣務公諱英秀忠貞公彦脩忠簡公成味父子爲高麗名臣寔公六世以上祖百根縣令淸白爲治解紱歸山以終厥世考畦進士薦行義授寢郞昏朝政亂不樂仕進手種松竹栢自號三淸宣務公薦宣傳至部將癸巳殉義于京城子處士桂志切復讐當於丁酉赴李福男幕領兵入龍城城陷立慬妣吳氏聞變曰夫死不死爲有子子又繼父而死吾亦從夫遂自縊子婦鄭氏曰舅死於國姑死於夫夫死於父吾何獨生同日縊死子光胤崩迫累絶廬墓終制自號寸草堂盖自傷於春暉莫報也以上庠主推太學掌議昏朝疏斥廢母浩然歸田里甲子逆适之變遣二子嶾㞳扈 駕至公州丙子典義餉聞媾成痛哭而還士林立祠錦江浚孫將立石於遺墟魯升魯駿俾宇萬記其蹟嗚呼三綱爲極天罔墜底道理其關重於世敎者何如而其生也一門又一里又一家何其偉哉寒山一片雖林氏之私而其補風化豈少助也哉銘曰臣死君爲忠子死父爲孝婦死夫爲烈所在各盡其道胚胎三綱篤生寸草聳珍之南錦江之濱山明水麗生長有村水不忍廢地不忍荒立石而頌碑曰三綱不墜之義古有今亡反今而白是樹風聲
歲乙卯陽復月 日 幸州奇宇萬 謹撰
辛巳十月 日 宗後孫 哲周 謹書
十二世孫 一周
十四世孫 漢京 謹竪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