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려/묘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광주시 광산구 동호동 본촌마을
1982년
이 효열부동래정씨사적비孝烈婦東萊鄭氏事蹟碑는 동호동 본촌마을에 위치해 있다. 계산 유인경이 모친 동래정씨의 효열을 알리는 내용으로 1980년에 세웠다. 비문은 이상복이 썼으며, 비의 건립은 증손 유내현이 했다.
다른 기록에는 1988년 나주 나성균이 찬하고 자 노학, 손 원철이 세웠다 한다.
桂山 柳公寅敬孝行碑文
孝는百行之本으로百行이非孝不立이요萬行이非孝不行이니이에孝를讚美치아니하리요 舊錦治之北章本坊에한孝子가났으니公의姓은柳요貫은文化요諱는寅敬이요字는子賢이요 號는桂山이니始祖는高麗開國功臣大承公諱는車達이요中祖는 端廟郞臣西山先生諱는自湄요壬亂功臣諱希達의九世孫이며章錫命輔興潛基永은高曾祖稱의諱요子는珪烈桂烈이요 孫은在月과傍孫은在沃이요曾孫은乃鉉이요玄孫은浩瑩浩雄浩傑이며外孫은蔚山金堯雲靑松沈相德錦城羅昌柱豊山洪鍾款慶州李鳳載光山金伯訓이로다
公은生甫八歲에父親基永公이患憂危重하여母親東來鄭氏가石斤指注血枚口延壽祈願함을보고公이또한쇠망치로破指注血하여甦生캐하니孝童으로名聲이振世하나數年後에父親喪을當하여昊天罔極哀痛하고疊疊山中梁山幽谷十里許의元堂墓所에呼哭徘徊하다가黃昏에歸家하면白虎가護衛하였으니 可謂出天之孝로다
幾年後에桂峰山下癸坐原에緬奉하고墓下에서平生을居廬하였으며詩書에能하여京鄕各地의名士와詩文을交流하였고偏母를至誠으로奉養하다가親患10年에侍湯如一로以盡其誠하고母親別世에哀毁骨立하여侍墓三年에盡其情禮하니子孫이濡梁家訓하여孝孝承承하도다1918年戊午七月十五日享壽六十八歲로考終于寢하시니鄕里는咸하였고儒林은이行蹟을羅州와後에光山郡誌에登載하였도다이碑를墓下에세우니後人이여 矜式하소서
西紀1982年 壬戌 2月 10日 曾孫乃鉉세움 慶州 李相福 글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
- 이전글효열부고령신씨기적비
- 이전글효열부김해김씨기적비 / 孝烈婦金海金氏紀蹟碑
- 다음글효열부문화류씨실적비
- 다음글효열부문화유씨행적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