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농선대시주비

광주시 서구 눌재로 258 서창치안센터 맞은편

1769년





농선대시주비農船大施主碑는 영산강과 황룡강이 어우러지는 서창교 일대에 1769년 강아무개와 조아무개가 농선을 기부해 주민들이 쉽게 강을 건널 수 있도록 한 데 따른 칭송비로 알려져 있다. 서창동 서창치안센터 맞은편에 있다.

김희태는 이를 농선부시주비農船夫施主碑로 읽고 있다. 전체적인 내용은 건륭乾隆 34년에 한량閑良 강선주姜善周와 통정通政 조창좌曹昌佐가 농선을 시주했다.”이다.

건륭 34년은 서기 1769년이다. 또 뒷면 두 곳 가운데 한쪽에 화주化主의 거주지가 금부촌리金夫村里와 성명 김순봉金順奉이 있다. 앞면과 연대 표기면 사이의 옆면 한 곳은 서일중徐日仲이라는 시주 인명과 금액 3이 적혀있다. 금부촌리는 조선시대 후기 광주 당부면當夫面 관할이었다. 1914년에 금부金夫와 만호가 합해져 금호리가 되면서 서창면에 속하게 된다. 이 금호리가 뒷날 금호동이 된다.

김희태는 이 비를 농선의 선부가 시주를 해서 통정 조창좌와 한량 강선주 등이 세운 비로 볼 것인지, 농선의 선부를 위해서 세운 것인데 비 세우는데 통정과 한량 등이 시주 한 비로 볼 것인지 좀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배가 접안하던 나루터는 현재의 서창교 근처에 있었다고 한다. 강을 건너려면 배가 있어야 했다. 농선은 예전에 동네와 강 너머의 농토를 오갈 때 사용된 배를 말한다. 주로 농토로 건너갈 때 사람과 농기구를 싣고 수확기면 볏단을 실어내던 쪽배였다. 지금으로부터 260여년 전 서창마을에 귀중한 배를 쾌척한 두 사람에게 그 감사의 뜻을 담아 동네 사람들이 이 비석을 세웠다. 이는 강을 끼고 살았던 서창 주민들의 삶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귀중한 기록이다.

조선시대의 자료에는 당시 서창마을에 법으로 나룻배 1척을 비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 배는 5년에 한 번 꼴로 정기적으로 수리를 해야 했고 건조한 지 10년째가 되는 해에는 새로 나룻배를 짓도록 했다. 하지만 나룻배를 수리하고 건조하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광주의 옛 기록을 보면 조선시대에 사람들은 목재 부족을 심각하게 고민했던 흔적이 여러 군데서 보인다. 아무리 작은 배라도 그것을 고치고 새로 짓는데 필요한 굵고 긴 나무를 확보하는 일은 늘 고역이었다. 이 와중에 농선대시주비에 기록된 것처럼 누군가 배를 쾌척했다면 이는 사람들의 노고를 크게 덜어주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