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신라왕자단비

담양군 대전면 평장리

신라왕자단비(新羅王子壇碑)는 <광주읍지>에 따르면 주(州)의 북쪽 50리의 거리인 평장동(平章洞)에 있는 건물로 광산김씨시조(光山金氏始祖)의 제향(祭享)을 모시는 김씨문중(金氏門中)의 단소(壇所)이다.

기문(記文)
후손 참판(參判) 김철현(金喆鉉) 지음

우리의 시조(始祖) 이신 신라왕자(新羅王子) 김공(金公)의 이름은 흥광(興光)으로 신라말기의 어지러운 시기를 만나 광주의 북쪽 불대산(佛臺山) 아래에 있는 서일동(西一洞)으로 거처를 옮겨 이곳을 중심으로 그의 몸을 숨기어 드러내지 않는 둔적(遯跡)의 일생을 마치었다. 이로 인하여 광산(光山)이라는 우리의 본가가 생기게 된 것이다.

우리 시조께서 이처럼 이곳에 터를 잡아 많은 학덕을 쌓은 관계로 그의 자손들이 세(世)를 이어 이곳에 살면서 8대(代)의 오랜 세월을 거쳐 연이은 평장사(平章事)의 벼슬을 하였기 때문에 일부러 이 마을의 이름을 평장(平章)이라 한 것이다.
고려(高麗)로부터 조선(朝鮮)에 이르는 사이에 여러 후손들이 더욱 번창하여 팔도의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대를 이어 세거(世居)하는 이 사실을 생각할 때 오늘의 이 마을이 옛날과 달라 이처럼 황폐하게 된 그 시기에 대한 많은 궁금함이 없지 않다.
이는 다름 아닌 우리 김씨가 이미 오래 전부터 이 마을에 살지 않은 관계로 이러한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왕자부군(王子府君)께서 생존하신 그 당시의 년기가 애매하고 또 그의 유적이 모두 없어져 이를 고증할 수 있는 별다른 문헌(文獻)이 없다. 그러나 다행히 당시의 사적을 상상할 수 있는 그 유허(遺墟)가 있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제향의 사원(祠院)을 세우려는 그간의 많은 거론이 있었음에도 마침내 이의 뜻을 이루지 못한 안타까움이 없지 않다.
슬프다! 이처럼 예측하기 어려운 세정(世情) 인사(人事) 등의 변화를 생각할 때 앞으로의 후손들이 어찌 오늘의 우리와 다름없는 이러한 생각을 가질 수 있겠는가? 지난 경신(庚申)년에 나의 사제(舍弟)인 판서(判書) 각현(H )이 경향각지의 여러 종친들에게 통문(通文)을 보내 이 사실을 알린 나머지 민현(珉鉉) 용주(容柱) 진현(珍鉉) 세 유사(有司)와 함께 유허(遺墟)위에 제단(祭壇)을 쌓아 매년 늦가을에 여러 종친들과 함께 향사(享祀)의 예를 다함으로써 비로소 옛날의 시조(始祖)를 추묘(追墓)하고 종족(宗族)의 화목(和睦)을 다질 수 있는 결정적 계기를 이루었다.
이로 인해 사람과 영혼이 서로 감응하고 정의와 예도가 함께 어울리는 이의 사실을 생각할 때 어찌 "이 세상의 모든 일이 반드시 그 시기가 있고 또 이를 주도하는 그 사람이 있다"는 옛날의 이 말에 대한 깊은 실감을 갖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의 뒤를 이어 반드시 있어야 할 이 단소(壇所)의 표석(表石)을 미처 세우지 못한 이 사실을 생각할 때 또다시 이에 대한 제2의 아쉬움이 없지 않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수년의 오랜 세월을 끌어온 사이에 판서(判書) 각현(珏鉉)이 이미 세상을 떠나 거의 중단된 상태의 침체를 면치 못하였다.
다행히 금년 봄에 장성(長城)의 종인(宗人) 영관(永寬)이 이미 앞에서 말한 바 있는 세 사람의 유사(有司)와 함께 서로의 성금(誠金)을 모아 이 일을 착수하면서 나를 찾아와 이 사실을 알리었다. 내 그 성의에 깊은 흠모(欽慕를 느낀 나머지 대략 이러한 내용의 전말을 서술하고 아울러 명사(銘辭)를 지어 이르기를

"불대산(佛臺山)과 서석산(瑞石山)이 서로 함께 어울리니
신라왕자(新羅王子) 귀한 분이 이 가운데 살았도다
여러 자손 사랑하는 맑은 유덕(遺德) 남기었고
동국(東國)에서 으뜸가는 많은 영화 누렀도다
지난 옛날 그 유지遺趾)가 오늘까지 이어지니
여러 종친 힘을 모아 맑은 제단(祭壇) 쌓았도다
추모(追慕)하는 그 마음을 무어라고 말할손가
오늘날의 이 빗돌이 그지없이 빛나리라"
하였다

축문(祝文)
"우리 시조(始祖) 어진 덕이 그지없이 뛰어나니
지난 옛날 이곳에서 그의 몸을 숨겼도다
그 당시의 그 유지가 오늘까지 이어지니
그 위에 단(壇)을 쌓아 추모제 향 모셨도다
보본(報本하는 이런일을 어찌 감히 잊을손가
한결같은 성심으로 많은 감응(感應) 얻었도다."
후손 판서(判書) 김각현(金珏鉉) 지음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