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소파 시비


광주시 북구 운암동 문화예술회관 국악당 앞

1998

정소파 시비는 광주문화예술회관에 있다. 1층 주차장에서 후문 출입구 방향으로 가다보면 2층으로 올라가는 통로를 막 지나 오른편에 있다. 얼른 지나치면 잘 보이지 않는다.

정소파(鄭韶坡)의 본명은 현민(顯珉)이며 광주 사직 공원 밑 사동에서 191225일 태어났다. 1936년 와세다 대학을 수료했으며, 1930????개벽????지에 별건곤을 발표했다. 이어 1957년에는 <동아일보> 신춘문예에서 시조 설매사(雪梅詞)가 당선되었고 같은 해에 정부 주최 전국 백일장에서 본선 장원으로 대통령상을 받았다.

학생 시절에는 한글 말살 정책에 분연히 항거하는 등 열혈적인 면모를 보여준 시인은 전남도문화상, 중앙시조대상, 가람문학상, 육당시조시창작대상을 수상했으며 일상을 시조 음악의 현대화에 남다른 열정을 바쳐왔다.

자유시집 ????마을????(1955), ????잔조????(殘照)(1979) 등과 ????슬픈 조각달????(1974), ????죽풍사????(竹風辭)(1983), ????고독의 창????(1987) 등의 시조집. 그리고 ????정소파 동요동시선????과 수필집 ????시인의 산뇌????(1964), ????세월 가는 그림자????(1981)등 여러 장르에 걸친 시인의 언어적 도저(道底)함을 읽을 수 있었다.

시인의 작품경향은 관조적 자연에서 우러나는 예술적 품성과 생명사상의 외경성(畏敬性)으로 자기 정신의 견결성(堅決性)에 터 잡은 준일(駿逸)한 선비 세계의 서정을 감동적으로 노래했다.

1998년 5월 15일 광주.전남 문인협회와 호남시조시인협회가 세운 그의 시비에는 데뷔시조인「설매사」와 “사랑과 정성으로 정소파(鄭韶坡) 시인의 시비를 세운다“는 문구가 있다. 글은 김종이 지었고 글씨는 장전 하남호가 썼다.
시비에는 그가 195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했던 작품인 '설매사雪梅詞'가 새겨져 있다.

어느녘 못 다버린 그리움 있길래로
강파른 등걸마다 손짓하며 짓는 웃음
못 듣는 소리 속으로 마음 짐작하느니라.

바위․돌 틈사구니 뿌린 곧게 못 뻗어도
매운 듯 붉은 마음 눈을 이고 피는 꽃잎
향 맑은 내음새 풍김 그를 반겨 사느니라.

꽃샘바람 앞에 남 먼저 피는 자랑!
벌 나비 허튼 수작 꺼리는 높은 뜻을
우러러 천년을 두고 따름직도 하더니라

정소파 시인은 현존하는 광주 최고령의 시인으로 시조문단의 산 증인이었다. 본명이 현민인 그는 광주시 사동에서 1912년에 태어났다.  동아일보 신춘문예 이전에 1930년에 <개벽>지에 '별건곤'을 발표하면서 활동했다. 그 외 에도 1945년에는 동광신문, 1946년 조선중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는 등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이다. 1958년에 전남도 문화공로상을 수상했다.
또한 그는 학생 시절에는 한글 말살정책에 분연히 항거하고 광주학생 독립운동에도 참여하는 등 열혈적인 면모를 보였고 북성중학교, 전남여고, 수피아여고 등에서 오랜 교직생활을 하였다.
<시예술> 동인지 발간을 필두로 <영산강>, <녹명>, <민족시>, <시조문예>등의 동인지, 사화집을 간행하였고 이러한 공로로 가람 시조문학상(1970), 육당 시조창작 대상(1980년), 한림문학상(2001년), 한국 향토문학상(2002년), 매천 황현 문학상(2008년) 등을 수상하였다. 한국문인협회 전남지부장과 한국시조작가협회 전남지부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시집 『마을』외 5권, 시조집 『산창 일기』, 『슬픈 조각달』등 6권이 있다. 그 외에도  수필집 『시인의 산하』 등 3권, 동시집 『정소파 동요동시 선』, 『정소파 시 전집』,『정소파 수필 전집』,  다수의 시론집이 있다.
그는 민족의 정서를 노래하며 후학을 위해 <소파 문학상>을 제정하고 민족시 부흥을 위해 외길을 걸어온 ‘투명한 삶’속에서 선비의 자세를 견지하였다. 시류에 편승치 않고 오직 시문학창조에 일생을 불사른 원로이며 교육자로서 평가받고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