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풍천대

광주시 광산구 안청동 안청공원

1920년


이 풍천대(風泉臺)는 석음(石陰) 박노술(朴魯述, 1851~ 1917) 선생의 항일의적(抗日義蹟)을 기념하는 삼층석대(三層石臺)이다.석음 선생은 광산구 안청동(安淸洞)에서 태어나 노사(蘆沙) 기정진 선생의 문하에서 학업을 닦은 선비이다.
1895년 을미사변때 송사(松沙)선생의 의병활동에 참여하였으며 당시에 많은 감동과 호응을 일으켰던 선생의 격서(檄書)가 존화록(尊華錄)과 석음유고 등에 전해온다.

서기 1905년의 강압적인 을사늑약에 이어 서기1910년 경술년에 우리의 주권을 송두리째 빼앗은 합병조약을 강요하는 등 천인공로할 일제의 침략만행에 치를 떨었으며 거듭되는 조국의 비운을 비룡대(飛龍臺)에 올라 통곡하셨다.
참을 길 없는 울분과 비통함을 스스로 달래며 문인들 동지들과의 강론을 통하여 항일구국정신의 선양에 힘을 다했으며 일제(日帝)가 보내온 소위 은사금칙첩(恩賜金勅帖)을 단호하게 물리쳐버린 선생의 쾌거는 저들의 악랄하고도 끈질긴 침략의 마수 앞에 차츰 지쳐만가는 이 지역 대중들의 항일의식 속에 일대각성을 촉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선생에 대한 일본관헌의 탄압은 서기 1910년 11월부터 시작되었다. 비아병참소(飛鴉兵站所) 장성헌병대 광주경찰서 등에 누차 구인(拘引)되어 온갖 고초를 겪었으나 선생의 의지는 누구도 꺽지 못했다.
"天崩地陷 心不可變 國破身亡 義不可失""천지가 다 무너져도 나의 본심은 변할수 없으며 나라가 부서지고 이 한 목숨 죽는다 해도 조국에 대한 나의 의리는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 이 글은 장성헌병대에서 저들 앞에 써 던진 시구로서 그 즈음에 널리 전송되었던 것이다.

1917년 6월 광주경찰서에 구인 되어간 선생은 그 사흘만에 의식이 끊어진 몸으로 가마에 실려서 돌아와 그 길로 운명하였다. 망국의 한을 품은 채 67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다.안청동 율리전사(栗里田舍)에서 운명하기 한달 전에 아들 일규(日圭)에게 "마을앞산 비룡대 위에 조선 삼천리를 뜻하는 삼층석탑을 세우고 싶다는" 분부가 있었다.
목숨과도 바꿀수 없는 내 조국 삼천리강토가 왜적에게 짓밟혀 일조에 생지옥이 되고 말았으나 오직 나라를 구하고 주권을 되찾을 우리의 애국정신만은 저 바윗돌처럼 굳세고 단단하고 변함이 없이 지켜나가야 한다는 깊고 깊은 뜻이 담겨 있었다. 그 후 선생의 유지에 따라 문인 여러분과 아들 일규 및 친지들이 정성을 모아 서기 1920년 10월 풍천대(風泉臺)가 준공되었다.

이 비를 세울 당시의 도유사는 고광선, 부유사는 오준선, 이희용, 도감동은 이계종, 부감동은 문인환, 이중권이며 장재는 정해붕이 맡았다.

풍천대에 써진 글귀는 '조선유민 박노술(朝鮮遺民 朴魯述)'과 '구명 비룡대 비룡재천 이견대인(舊名 飛龍臺 飛龍在天 利見大人)'이 라고 적혀 있다.

풍천은 시경(詩經)의 비풍(匪風)  하천(下泉) 의 고시에서 유래한 것으로 외적을 물리치고 나라를 되찾자는 뜻이다. 조선유민 박노술은 조국 삼천리를 상징하는 삼층석대 위에 "나 박노술은 영원한 조선인으로 살아있음을 새긴다는 의미이다.

구명 비룡대 비룡재천 이견대인이란 이 터의 옛 이름이 비룡대이니 역경(易經)에 용이 때를 만나서 하늘에 높이 나니 대인을 보게 된다 했으니 우리에게도 머지 않아 위대한 지도자가 나타나 광복된 조국에 태평성대를 이루라는 대염원을 새긴 것이다.

※ 추기: 풍천대는 원래 안청동 앞산 비룡대에 있었는데 1992년 4월 하남공단 건설로 공단 내 공원에 이전 중건(重建)하였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