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서원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대야마을, 송정리에서 영광쪽으로 10여 km를 가다가 삼도 삼거리에서 나주쪽으로 2km 남짓 가면 오른편으로 대산동 대야마을이 나온다.이 마을 후록(後麓)에 대산사(大山祠)가 있다.
1727년(영조 3) 창건했고,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고 광복 후인 1957년 중건된 사우이다.
향사인물은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1833~1906)과 수당睡堂 류인석(柳寅奭, 1859~1931)이다.
亡身殉義最爲難 이 한 몸 내던져 의(義)를 따라 죽기란 지극히 어려운데
慷慨誓師血淚斑 의분에 북받치어 군중 앞에 맹세하니 피눈물이 얼룩지네
雄心倡動風雲裡 웅지를 품고 풍운 속에 앞장서서 감동을 일으키니
壯氣彌唄宇宙間 장렬한 기상 이 세상 모든 곳에 가득 넘치네
擧旌何必龍蛇役 의로운 깃발 날림이 어찌 꼭 용사(龍蛇)*에 출전하는 것뿐이리요
殲賊先從婦鷺班 적을 섬멸하기 위해 노반(鷺班)*이 앞장 서고 부인들도 따르도다
毅魄丁寧如左右 의연한 그 충혼 정녕코 주위에 머무시리니
試看他日洗兵還 그대 후일 전쟁 끝나고 돌아올 때를 지켜보시오
/ 수당(睡堂) 류인석(柳寅奭) 우국시(憂國詩) <수당유고(睡堂遺稿)> 중에서
이 시는 기유의사(己酉義事) 즉, 1909년 안중근 의사가 이등박문(伊藤博文)을 사살한 의거를 우러러 송축한 시이다. 결구에서 광복의 날이 기어이 올 것을 예언하고 있다.
이 시에서 * 용사(龍蛇)는 용과 뱀을 말한다. 각각 진년(辰年)과 사년(巳年)을 상징한다. 옛날 사람들은 흔히 간지에 ‘진(辰)’과 ‘사(巳)’가 들어간 해에는 흉한 일이 일어난다고 믿었다. 여기서는 처음 왜란이 난 임진년(1592, 선조25)과 그 이듬해인 계사년(1593)을 가리킨다.
*노반(鷺班)은 원로들의 반열이라는 뜻으로 조정의 문무백관을 뜻하기도 한다.
종부(從婦)는 전쟁에 나가 남편이 죽으면 따라서 자결한다는 비장함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말이다.
*2024.5.24. 수정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