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지산유고 志山遺稿

고재현(高在鉉, 1885~1967) 1책, 필사본. 고재현은 초명이 재봉(在鳳)이며, 자는 치구(致球)이고, 호는 지산(志山)이다. 1885년 12월 24일 무안읍 용월리 토동 집에서 태어났다.

일곱 살에 입학하였는데, 서당 선생이 그의 재능을 시험해 보고자 매일 통사 5백 행을 과제로 내었는데 다음날 아침에 모두 외우고서 한 글자도 틀리지 않아 보는 사람들 모두 칭찬하였다고 한다.

민재(敏齋) 박임상에게 나아가 공부하였다.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왜적을 일찍이 제거하지 못함을 길게 탄식하고, 강가에서 낚시하며 그 울분을 풀었다. 고종과 순종이 앞뒤로 서거하자 북망하여 거애하고 3년 동안 상복을 입었다. 유학자로서의 강직한 삶을 살다가 1967년 4월 21일에 세상을 떠났다.

『지산유고』는 고재현의 개인문집으로 1책으로 되어 있고, 필사본이다. 시 400여 편과 서, 서, 기, 제문, 잡저, 행장 등의 산문 100여 편이 실려 있다. 서는 임창순이 썼고, 간행사를 고영창이 썼으며, 발은 없다.

전남대학교출판부(2007)에서 김대현이 역주 발행하였다.

《역주 지산유고》는 근세 초기의 한학자 고재현의 문집 《지산유고》를 1책으로 번역한 것이다. 저자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후손으로,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거의(擧義)에 참여하였으며, 한일합방으로 종사(宗社)가 무너진 뒤에는 무안에 서당을 개설하여 후진양성에 힘썼다.

본 번역서는 호남출신 근대 20세기 작가들의 문집 정리 사업의 일환으로 발간된 『호남한문학연구소 근대문집 국역총서』제1권으로, 저자의 아들이 소장하고 있던 2권 1책의 필사본을 대본으로 삼은 것이다.

본서의 권두에는 저자의 영정사진과 묘소 정경, 자필 서간 등의 사진 20점이 있으며, 임창순(任昌淳) 선생과 족제(族弟) 재홍(在弘)이 지은 서문 2편 및 간행사 3편이 실려 있다. 본문은 필사본의 편차를 새로 정리하여 총 7권으로 나눈 뒤, 권1~4는 시, 권5~6은 산문, 권7은 부록으로 구성하였다. 시 부분은 조판한 원문을 먼저 제시한 뒤 국역문을 수록하였고, 산문 부분은 국역문만 수록되어 있다. 말미에는 역자의 해제와 산문 부분에 해당하는 원문을 조판하여 수록하였다.

권1~4는 시 320여 제로, 각 시체(詩體)별로 구분되어 있다. 권1은 오언절구 84제, 권2는 오언율시 56제, 권3은 칠언절구 73제, 권4는 칠언율시 113제이다. 〈자감(自感)〉, 〈자조(自嘲)〉, 〈자서(自叙)〉, 〈우성(偶成)〉에서는 어지러운 세상에 대한 저자의 한탄과 번민의 심정이 드러난다. 또 호남의 여러 지역을 여행하고 지은 시들이 많은데, 〈과능주구읍(過綾州舊邑)〉, 〈금강귀범(錦江歸帆)〉, 〈남유(南遊)〉 등이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한편 저자가 지은 시의 또 다른 특징으로 여러 가지 물건이나 현상을 읊은 영물시(詠物詩)가 많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거울[面鏡]〉, 〈기러기[雁鳥]〉, 〈개구리[蛙]〉, 〈파리[蠅]〉, 〈붓[筆]〉, 〈자동차[自動車]〉, 〈종이[紙]〉 등의 제목으로 수록된 시들인데, 사물의 외형적 모습이나 물건의 기능을 노래하기도 하였다.

권5는 서간(書簡) 총 57편이 실려 있다. 객지생활과 군복무로 고향을 떠난 손자 영창(永敞)에게 보낸 것이 22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1960년부터 1965년까지 지어졌으며 국한문 혼용체로 되어 있다. 권6에는 설ㆍ논ㆍ서(序)ㆍ발ㆍ기(記) 29편 및 제문ㆍ상량문ㆍ행장ㆍ묘표 18편이 실려 있다.

권7 부록에는 저자에 대한 글 10여 편이 실려 있는데, 변시연(邊時淵)의 〈지산고공행장(志山高公行狀)〉과 이가원(李家源)의 〈지산고재현선생숭모비문(志山高在鉉先生崇慕碑文)〉등이 있다. 《역주 지산유고》는 학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고재현의 삶과 문학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전남대학교에서 추진하고 있는 근대 호남 작가들의 문집 번역 작업은 호남의 숨겨진 인물을 소개하고 그들의 학문과 사상을 알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바, 지역학 육성의 모범적 사례로도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