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후석유고- 오준선

후석 오준선의 <후석유고>

『후석유고』는 한말의 유학자인 오준선의 목활자본 시문집으로, 25권 12책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다.
권1, 2는 오준선의 詩와 賦 451수가 수록되어 있다. 사우들과의 차운시 및 輓詩를 비롯해서 述懷 및 景物詩 등 다양한 내용의 시를 시기별로 편집하였다. 스승인 奇正鎭을 비롯해서 宋近洙, 任憲懷, 崔益鉉, 宋秉璿 등의 당대를 대표하는 유학자 뿐만 아니라, 吳繼洙, 奇陽衍, 羅燾圭, 李最善, 奇宇萬, 鄭在健, 金顯玉, 李炳壽, 金寧漢, 奇宰, 趙毅坤, 梁會甲, 朴魯述, 奇東準, 黃澈源 등 호남지방의 기정진의 문인을 비롯한 많은 인물들에 대한 시가 있다.
권3, 4, 5, 6은 서간문이다. 스승인 기정진에게는 상복에 대해 여쭈었고, 최익현에게는 斯道의 衆望이 최익현에게 있음을 말한 것이고, 송병선에게는 先世의 墓誌와 文集序文의 부탁을 한 글이다. 閔鍾烈, 李道宰 등의 관리나 吳繼洙, 奇宇萬, 鄭義林, 奇宰, 奇東準 등의 기정진 문인들을 비롯해서 주위의 많은 인물들과 주고받은 편지가 수록되어 있다.
권7은 雜著이다. 1868년과 1871년 기정진을 알현한 「沙上摯謁錄」과 1900년과 1901년 최익현과 송병선을 알현한 「西遊錄」, 「西行錄」, 『大學』, 『論語』, 『孟子』, 『中庸』 등 四書의 구절을 풀이한 「經義問解」, 일제의 강제병합 이후 日王이 내린 은사금을 거절한 편지와 전말을 기록한 「抵本郡守」, 「抵三巨里憲兵所」, 「却金顚末」 등이 있다.
권8, 9는 序文으로 69편이 수록되어 있다. 김종서 장군의 북방 개척과 어린 단종에 대한 충의를 찬양한 김종서 장군의 실기서문, 향교의 춘추 향사를 위해 조직된 춘추계를 위해 춘추의리를 잊지 말자고 쓴 春秋契의 서문, 명에 대한 의리를 잊지 않기 위해 지은 「尊周錄序」를 비롯해서 많은 서책과 족보의 서문, 사우와 작별하면서 준 서문 등이 있다.
권10, 11, 12는 기문으로 모두 155편이다. 金麟厚의 순창 유허지에 세워진 樂德巖 정자나 梁彭孫의 別業에 지어진 「光風閣記」, 고경명을 모신 「褒忠祠重修記」, 나주향교에서 1895년과 1896년에 강학하고 논을 사들이고 강학한 것을 기념하는 「羅州鄕校興學記」, 기우만의 강학처인 三山齋에 대한 記文 등 많은 기문이 남아 있다.
권13은 42편의 발문으로 오준선의 선조인 吳希道의 시문집인 「明谷集跋」, 숙종 때 송시열, 김수항, 민정중을 종유하여 호남의 노론을 이끌었던 박치도의 시문집인 『黔巖集』발문을 비롯한 서책이나 족보 등에 발문이 대부분이다.
권 14는 銘, 箴, 贊, 辭, 婚書, 上樑文인데 상량문 편수가 무려 25편에 달한다.
권15는 祝文, 祭文 이다. 축문은 祈雨祭 祝文, 사당에 신주를 봉안하거나 이안할 때 告由文 등이 많다. 제문은 16편으로 그리 많지 않으나, 대표적인 것으로 스승인 기정진이나 최익현, 송병선, 그리고 기우만 등에게 보낸 제문을 들 수 있다.
권16은 비문 30편, 권17, 18에는 묘갈명이 104편, 권20, 21은 표가 56편, 묘지명이 8편이 수록되어 있다. 조광조, 최익현의 적려유허비, 李奎永의 묘갈명, 奇東觀의 墓表 등이 있다.
권 22〜24는 行狀과 遺事와 傳 등이다. 특히 전에는 한말의 의병장 奇參衍, 高光洵의 傳과 義士 金準과 全垂鏞의 傳이 들어있다.
권25는 부록이다. 1931년 조카 吳東洙가 찬한 家狀, 1933년에 高光善이 찬한 行狀, 1934년 金寧漢이 찬한 墓碣銘과 문인인 鄭琦가 찬한 墓表, 문인인 梁孝黙, 崔潤魯가 기록한 遺事, 문인인 梁相賀가 1931년 6월 20일부터 7월 16일까지 오준선의 임종 때부터 三虞를 지낼 때까지의 일을 기록한 辛未日記가 수록되어 있다.


『후석유고』는 한말과 일제시기에 기정진의 문인으로서 위정척사사상을 갖고 있었던 오준선이 남긴 25권 12책의 방대한 글이다. 이 시기는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계속되는 외세의 침입으로 국권이 침탈되고, 동학농민 운동 등 근대 민족운동이 일어난 시기이어서 당시 유림들이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파악하고 어떻게 극복하려고 하였는가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인데, 『후석유고』는 각종 시나 서간문, 잡설, 묘갈명, 전 등에서 이러한 자료를 풍부하게 남기고 있다. 따라서 한말과 일제 강점 중반까지 호남이나 한국 전체의 유학사를 이해하는데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