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암행 어사 이면승이 서계하여 호남의 사정을 아뢰다 - 순조 8년

전라좌도 암행 어사 이면승이 서계하여 호남의 사정을 아뢰다 - 순조 8년 무진(1808) 8월 6일(기해)

전라좌도 암행 어사 이면승(李勉昇)이 서계하여, 금산 군수(錦山郡守) 조영경(趙榮慶), 전 군수 유한기(兪漢紀), 전 흥양 현감(興陽縣監) 이계(李㬖), 전 광양 현감(光陽縣監) 김종철(金宗喆), 전 보성 군수(寶城郡守) 권사억(權師億), 전 남원 부사(南原府使) 임병원(林秉遠), 전 강진 현감(康津縣監) 이주현(李周顯), 전 광주 목사(光州牧使) 윤명렬(尹命烈), 정읍 현감(井邑縣監) 윤택렬(尹宅烈), 전 장흥 부사(長興府使) 이의수(李義秀), 진안 현감(鎭安縣監) 이희찬(李羲贊), 강진 현감(康津縣監) 이건식(李健植), 전 운봉 현감(雲峰縣監) 신순(申純), 임실 현감(任實縣監) 민치성(閔致成), 무주 부사(茂朱府使) 이영수(李英秀), 순천 부사(順川府使) 임후상(任厚常), 곡성 현감(谷城縣監) 이종명(李宗明) 등의 잘 다스리지 못한 실상을 논하니, 아울러 경중에 따라 감죄(勘罪)하게 하였다. 또 순창 군수(淳昌郡守) 이광헌(李光憲), 옥과 현감(玉果縣監) 윤정진(尹定鎭)의 치적을 말하니, 아울러 승서(陞敍)의 은전(恩典)을 시행하게 하였다. 별단(別單)을 올려 환곡(還穀)을 고가(高價)로 집전(執錢)하는 일, 민고(民庫)의 곡식을 함부로 내주는 일, 군정(軍丁)을 수괄(搜括)하는 일, 대동(大同)을 저축해 두었다가 획급(劃給)하는 일, 통곡(統穀)을 변통하는 일, 훈국의 대변선(待變船)에 대한 일, 금산(錦山)의 무세(貿稅)에 대한 일, 봉산(封山)의 송정(松政)에 대한 일을 말하고, 또 전 전주 부사(全州府使) 이여절(李汝節), 전 승지 이주현이 향리에 살면서 불법을 행하는 일을 말하니, 묘당으로 하여금 좋은 데 따라 채택해서 시행하게 하였다. 임금이 이면승을 소견하고 말하기를,
“호남 한 도는 민속(民俗)과 물정(物情)이 어떻던가?”
하니, 이면승이 말하기를,
“백성들이 거꾸로 매달린 듯이 위급한 처지에 놓여 있어서 다른 것을 돌아볼 틈이 없는데, 어떻게 민속이 좋은지의 여부를 논하겠습니까? 환곡과 민고(民庫)의 폐단을 만약 변통하지 않는다면, 한 도가 장차 텅 비게 될 것입니다.”
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민고의 폐단이 어떻던가?”
하니, 이면승이 말하기를,
“1년 동안 쓰는 것을 모두 백성들에게 거두어 민고에 맡기는데, 조관(照管)할 바가 없어서 해마다 함부로 내주니, 폐단을 이루 다 말할 수가 없습니다.”
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광주 목사 윤명렬은 우도에서 서계하여 치적(治績)을 말하였는데, 여기서는 잘 다스리지 못한 실상을 논하였으니, 어찌하여 현저하게 다른가?”
하니, 승지 김이영(金履永)이 말하기를,
“듣는 것과 보는 것이 각각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한 도 가운데 크게 잘 다스리지 못한 것은 누구인가?”
하니, 이면승이 말하기를,
“광양 현감 김종철이 크게 불법(不法)하였기 때문에 이미 봉고 파직(封庫罷職)하였습니다.”
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보성군(寶城郡)에서 환곡(還穀)을 파양(簸揚)한 것은 조정의 연석(筵席)에서 탕감하라는 명이 있었다.”
하자, 이면승이 말하기를,
“보성의 백성들은 이러한 드문 은혜를 입게 되었으니, 반드시 고무(鼓舞)할 것입니다.”
하였다. 이보다 앞서 보성에서 환곡을 파양하여 축난 쌀이 3천 8백 석 영이었다고 도신이 장문하니, 임금이 나라의 곡식이 비록 중하다 하나 민폐를 생각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여 탕감해 주라고 하교하였다.
【원전】 47 집 608 면
【분류】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 인사(人事) / 군사(軍事) / 농업-임업(林業) / 사법(司法) / 재정(財政) / 구휼(救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