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우옹이 호남의 기근을 아뢰며 사직을 청하다 - 선조 18년

석강에 《강목》을 강하고 김우옹이 인재 등용, 호남의 기근을 아뢰며 사직을 청하다 - 선조 18년 을유(1585) 2월 20일(신유)       


석강(夕講)에서 《강목(綱目)》 애제기(哀帝紀)의 ‘이심(李尋)이 여알(女謁)과 사신(邪臣)의 말을 듣지 말라고 말하였다.’ 한 부분에 이르러 김우옹이 아뢰기를,
“정도(正道)에 어긋나는 사특한 말은 단절시켜 듣지 않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러나 여알의 간청을 총명한 임금의 경우에는 쉽게 단절할 수 있지만, 만약 공론을 빙자하여 사특한 방법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아무리 총명한 임금이라도 간혹 자세히 살피지 못하여 속임을 당하기 쉬운 것이니, 이것이 가장 조심해야 할 일입니다.”
하였다.
 <중략>
또,
“신이 호남(湖南)에 사명(使命)을 받들고 가서 보니, 본도의 기황(飢荒)이 대개는 비슷했습니다만, 우도(右道)의 바닷가 7~8 고을이 더욱 심했습니다. 겨울 사이에 이미 백성 가운데 굶어 죽은 사람들이 있으니, 봄이 되면 반드시 사정이 매우 급해질 것입니다. 관에는 저축된 곡식이 없어 진구(賑求)할 계책을 마련할 수 없으니, 매우 염려됩니다. 대저 하삼도(下三道)는 바로 국가의 근본인데, 민력은 이미 고갈되었고 징발 또한 그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국가에서는 바야흐로 북방(北方)을 근심하여 근본을 생각할 겨를이 없으니 이 어찌 실책이 아니겠습니까. 모름지기 항상 근본을 염두에 두셔야 될 것입니다.”
하였다.
대사헌(大司憲) 정탁(鄭琢)이 아뢰기를,
“광주 목사(光州牧使) 권덕여(權德輿)는 병이 심해 일을 보지 못할 정도인데도 감히 병이 있음을 고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니, 우옹이 아뢰기를,
“신이 직접 만나보았는데 중풍(中風)으로 몸을 움직이지도 못하여 장차 죽을 지경에 이르렀으나 죄를 얻어 쫓겨났기 때문에 감히 병이 있음을 아뢰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임금이 한때 우연한 일로 내보낸 것인데 어찌 그리 마음에 두는가. 이처럼 병이 중하다면 체직하라.”
하니, 우옹이 또 아뢰기를,
“소신은 매우 어리석어 아는 것이 없고 본래 학식도 없습니다. 그러나 어려서부터 글을 읽어 달리 배운 바는 없으되 오직 임금을 섬김에는 아버지를 섬기듯 해야 한다는 것만을 알 뿐입니다. 무릇 가슴에 품은 것이 있는데도 군부에게 다 아뢰지 않으면 큰 죄악이 되는 것으로 여기고 있으므로 전일 망령된 소견을 상께 아뢰어 시휘(時諱)를 저촉했던 것입니다. 따라서 당연히 죄책을 받아야 할 텐데 죄를 주지 않고 도리어 수용(收用)하시어 외람되이 경연의 자리에까지 참여하게 하였으니 성주(聖主)의 천지 부모와 같은 은혜가 매우 높습니다. 그러나 소신의 분수에 감히 감당할 수 없는 것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병이 깊어서 일을 감당하지 못하는 것이 하나요, 학술이 소루하고 몽매한데다 또 병 때문에 독서를 폐지한 것이 둘입니다. 더욱이 종적(蹤跡)이 고단하여 사세(事勢)가 불편한데도 고루하고 막힌 견해를 바꾸지 못하고 묵묵히 참아가며 구차하게 용납되기 위해 시세와 함께 저앙(低昻)하는 것은 또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의리가 아닙니다. 당초 소장을 올렸으나 허락을 받지 못하자, 두 번 세 번 소장을 올리고 떠나려고 했었습니다. 그뒤 다시 생각을 고쳐 경연에 입시하여 천안(天顔)을 뵈옵고 직접 저의 실정을 아뢰고 싶었습니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지체하여 왔던 것입니다.”
하였다. 상이 답하지 않자, 이에 물러나왔다.
【원전】 21 집 414 면
【분류】 왕실-경연(經筵) / 왕실-국왕(國王) / 인사-관리(管理) / 인사-임면(任免) / 구휼(救恤)


[주-D001] 이심(李尋) : 
전한(前漢) 평릉(平陵) 사람으로 자(字)는 자장(子張). 《상서(尙書)》를 배웠는데 특히 홍범(洪範)의 재이(災異)에 달통하였다. 관직이 기도위(騎都尉)에 이르렀는데 외척을 억제해야 되고 도덕이 있는 선비를 선발해야 된다는 것을 극론하였다. 후에 하하량(河賀良) 등의 옥사에 연루되어 돈황(敦煌)으로 유배되었다. 《전한서(前漢書)》 권75.
[주-D002] 회남왕(淮南王) …… 것 : 
조정에 훌륭한 인물이 있으면 역적도 두려워한다는 뜻. 한 무제(漢武帝) 때 회남왕 유안이 모반을 꾀하면서 중앙 조정의 인물을 논할 때 “한나라 조정에서는 유독 급암(汲黯)만이 직간(直諫)을 좋아하고 절개를 지켜 의리에 죽는 사람이기 때문에 그릇된 방법으로 유혹하기가 어렵다.” 하였다.
[주-D003] ‘존심 양성(存心養性)’ : 
본래의 순수한 마음을 보존하고 본성을 배양한다는 말. 《맹자(孟子)》 진심장 상(盡心章上)에 “마음을 보존하고 본성을 배양하는 것이 하늘을 섬기는 것이 된다” 하였는데, 여기서 온 말.
[주-D004] 하삼도(下三道) : 
충청ㆍ전라ㆍ경상도.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