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집현전 직제학 양성지의 춘추 대사 등에 관한 상소 - 세조 2년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 양성지(梁誠之)가 상소(上疏)하기를,

“신(臣)이 엎드려 보니, 주상 전하께서는 상성(上聖)의 자질로서 대위(大位)에 영광스럽게 오르시어 고금(古今) 치란(治亂)의 자취와 민속(民俗)의 간난(艱難)한 일을 통찰(洞察)하지 않음이 없으시고 소간(宵旰)으로 부지런히 도치(圖治)하셔서 우리 조선 억만 년 태평 성업의 기틀을 닦으시니, 진실로 삼한(三韓)에서 한번 번성할 때입니다. 바야흐로 지금 조정의 득실(得失)과 민간의 이병(利病)을, 대신(大臣)은 꾀하고 대간(臺諫)은 이를 논의하며, 기타의 시종(侍從)하는 직사(職事)들도 논사(論思)함에 있는데, 신은 용렬한 자질로써 경악(經幄)을 시종함을 얻어서도 조금의 성효(成効)도 없어 성덕(聖德)에 보답함이 없음을 부끄러워합니다. 무릇 국가의 크고 작은 일은 미충(微衷)이라도 상량하여 확정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만(萬)의 일(一)이라도 비익(裨益)됨이 있었으리라고 생각하고 감히 편의(便宜) 24사(事)를 가지고 조목을 기록하여 바치니, 엎드려 바라건대 성감(聖鑑)하여 주시면 다행하겠습니다.

1. 춘추(春秋)의 대사(大射)입니다. <중략>

1. 오경(五京)을 증치(增置)하는 것입니다. <중략>

1. 악진해독(嶽鎭海瀆)입니다. <중략>
1. 번부악(蕃部樂)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중략>


1. 관례(冠禮)를 의행(議行)함입니다. <중략>


1. 복색(服色)을 정하는 것입니다. <중략>


1. 복요(服妖)를 금하는 것입니다. <중략>


1. 전대(前代)의 임금과 재상(宰相)을 제사하는 것입니다. <중략>


1. 전대(前代)의 능묘(陵墓)를 수호하는 것입니다.<중략>


1.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하는 것입니다. <중략>


1. 무성(武成)을 입묘(立廟)하는 것입니다. <중략>


1. 공신(功臣)을 배향(配享)하는 것입니다. <중략>


1. 문익점(文益漸)ㆍ최무선(崔茂宣)의 사우(祠宇)를 세우는 것입니다. <중략>


1. 시신(侍臣)의 음자(蔭子)입니다. <중략>


1. 문무(文武)의 과법(科法)입니다. <중략>


1. 아들을 보내어 입학(入學)하는 것입니다.<중략>


1. 기인(其人)의 법(法)을 혁파하는 것입니다. <중략>


1. 의논하여 분대(分臺)를 파(罷)하는 것입니다. <중략>


1. 주군(州郡)의 노비(奴婢)입니다. <중략>


1. 백정(白丁)을 구처(區處)하는 것입니다. <중략>


1. 제주(諸州)의 판관(判官)입니다. 대개 관(官)을 설치하고 관리를 두는 것은 본래 백성을 위한 것입니다. 이제 큰 주(州)는 부서(簿書)가 구름처럼 쌓이고 사객(使客)이 떼를 지어 모이니 수령 한 몸으로는 어느 겨를에 농사를 권장하며, 어느 틈에 송사를 청리(聽理)하겠습니까? 의창(義倉)이 염산(斂散)을 호활(豪猾)한 이에게 위임하여 백성의 해(害)됨은 이루 말할 수 없으니, 빌건대 경기(京畿)는 수원(水原)ㆍ양주(楊州)에, 경상도는 선산(善山)ㆍ성주(星州)ㆍ김해(金海)ㆍ밀양(密陽)에, 전라도는 광주(光州)ㆍ남원(南原) 등의 고을에 특별히 판관(判官)을 두게 하소서.


1. 제진(諸鎭)에 위(尉)를 두는 것입니다. <중략> 빌건대 각진(各鎭)의 예(例)에 따라 위(尉)를 두되, 만약 모두 둘 수가 없다면, 그 판관(判官)이 있는 곳은 또 무장(武將)으로 교차(交差)하고, 판관이 없는 곳은 특별히 위(尉)를 설치하게 하소서.


1. 경도(京都)의 사보(四輔)입니다. <중략>


1. 제도(諸道)에 진(鎭)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중략>


소신(小臣)은 계유년 겨울부터 상지(上旨)를 외람되게 받고 경기 지도(京畿地圖)와 팔도 지도(八道地圖)를 고정(考定)하였으니, 이로써 모든 경내(境內)의 산천의 액색(阨塞)과 도로(道路)의 원근(遠近)과 일체 주ㆍ진(州鎭)의 일을 강구하지 않음이 없는 까닭에 감히 관견(管見)을 진달(陳達)하여 두세 번에 이르니, 엎드려 바라건대 예감(睿鑑)으로 수찰(垂察)하소서.”

하니, 임금이 기꺼이 받아들였다.


【원전】 7 집 121 면

【분류】 정론-정론(政論) /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 신분-천인(賤人) / 군사-지방군(地方軍) / 군사-관방(關防) / 군사-군정(軍政) / 역사-고사(故事) / 농업-권농(勸農) / 과학-지학(地學)


[주-D001] 소간(宵旰) : 소의 간식(宵衣旰食). 임금이 정사에 부지런함.
[주-D002] 경악(經幄) : 경연.
[주-D003] 금인(金人) : 금나라 사람.
[주-D004] 전조(前朝) : 고려조.
[주-D005] 교천(郊天) : 왕이 천신(天神)에게 제사지내던 일. 동지에 남교(南郊)에서 하늘에 제사하고 하지에 북교의 땅에 제사하였음.
[주-D006] 향제(饗帝) : 선왕(先王)께 합제(合祭)하는 것.
[주-D007] 북해(北海) : 압록강(鴨綠江) 상류(上流).
[주-D008] 이부(夷部) : 오랑캐 음악.
[주-D009] 삼가(三加) : 관례 때 세 번 관(冠)을 갈아 씌우던 의식. 초가(初加)에는 입자(笠子)ㆍ단령(團領)ㆍ조아(條兒), 재가에는 사모(紗帽)ㆍ단령ㆍ각대(角帶), 삼가에는 복두(幞頭), 공복(公服)을 썼음.
[주-D010] 좌임(左衽) : 왼쪽으로 여미는 것.
[주-D011] 대뢰(大牢) : 나라 제사에 소ㆍ양ㆍ돼지를 아울러 제물로 바치는 일.
[주-D012] 초소(樵蘇) : 나무를 찍고 풀을 벰.
[주-D013] 홍범(洪範) : 중국 《서경(書經)》의 한 편. 기자(箕子)가 천지(天地)의 대법(大法)을 베풀어서 주나라 무왕(武王)에게 준 것.
[주-D014] 정주(程朱) : 정자(程子)와 주자(朱子).
[주-D015] 천경 지위(天經地緯) :만세에 변하지 않는 상리(常理).
[주-D016] 문선왕(文宣王) : 
공자(孔子)의 존칭.
[주-D017] 둑신(纛神) : 
군사에 관한 일을 주관하던 무(武)의 신(神).
[주-D018] 둑소(纛所) : 
둑기(纛旗 대장기)를 세워 놓던 곳.
[주-D019] 유후(宥後) : 
후대를 사유.
[주-D020] 세록(世祿) : 
대대로 녹봉을 내림.
[주-D021] 음자(蔭子) : 
음직(蔭職)을 받아 관직에 임명되던 문무관(文武官)의 후손.
[주-D022] 승음(承蔭) : 
특별히 음관(蔭官)으로 임용(任用)함.
[주-D023] 《무경칠서(武經七書)》 : 
중국의 7가지 병법에 관한 책. 《육도(六鞱)》, 《손자(孫子)》, 《오자(吳子)》, 《사마법(司馬法)》, 《황석공삼략(黃石公三略)》, 《위료자(尉繚子)》, 《이위공문대(李偉公問對)》를 말함.
[주-D024] 친자(親炙) : 
친히 배우는 것.
[주-D025] 분전(墳典) : 
3황(皇)ㆍ5제(帝)의 서(書). 곧 고전(古典)이란 뜻.
[주-D026] 상역(象譯) : 
번역.
[주-D027] 민섬(敏贍) : 
빠르고 풍부한 것.
[주-D028] 기인(其人) : 
신라 때부터 지방 자치 세력의 유력한 사람으로, 중앙에 뽑혀와서 볼모로 있으면서 그 고을 행정의 고문(顧問)을 맡아 보던 사람. 지방의 세력을 견제하고 중앙 집권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으로 신라의 상수리(上守吏)에서 유래한 것임.
[주-D029] 유수(遊手) : 
농사를 짓지 않고 놀고 먹는 사람. 대개 농업 이외의 상업ㆍ수공업ㆍ재예(才藝) 등에 종사하는 자들을 통칭하는 말임.
[주-D030] 3정 1자(三丁一子) : 
조선조 때 향리(鄕吏) 1호(戶)에 세 아들이 한꺼번에 역(役)을 서게 되면, 그 중 한 아들의 역(役)을 면제해 주던 일.
[주-D031] 신목(薪木) : 
땔나무.
[주-D032] 선상 노자(選上奴子) : 
각 지방에서 골라 뽑아서 서울의 중앙 관아(官衙)로 올려 보내던 노비.
[주-D033] 취모 멱자(吹毛覓疵) : 
일부러 남의 잘못을 찾는 것.
[주-D034] 능상(陵上) : 
상관을 넘보는 것.
[주-D035] 작상(斲喪) : 
깍아 없애는 것.
[주-D036] 부근(斧斤) : 
도끼.
[주-D037] 전최(殿最) : 
관원들의 근무 성적을 심사하여 우열을 매기는 일. 성적을 고사(考査)할 때 상(上)을 최(最), 하(下)를 전(殿)이라 하였음.
[주-D038] 잔군(殘郡) : 
쇠잔한 고을.
[주-D039] 인리(人吏) : 
아전.
[주-D040] 범금(犯禁) : 
금법을 범함.
[주-D041] 편호(編戶) : 
호적에 올려 있지 않던 사람이나 외국인을 호적에 올려 일반민으로 만들던 것.
[주-D042] 부서(簿書) : 
관청의 장부와 문서.
[주-D043] 호거(虎踞) : 
범처럼 도사리고 앉음.
[주-D044] 기포(碁布) : 
바둑 돌을 늘어 놓은 것같이 정제한 모양.
[주-D045] 은부(殷富) : 
풍성하고 넉넉함.
[주-D046] 액수(扼守) : 
중요한 곳을 굳게 지킴.
[주-D047] 홍적(紅賊) : 
홍건적.
[주-D048] 행국(行國) : 
나라를 옮김.
[주-D049] 달달(達達) : 
달달족(達達族).
[주-D050] 계유년 : 
1453 단종 원년.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