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의정부에서 구휼 진대책에 대해 아뢰다 - 세종 27년

의정부에서 구휼 진대책에 대해 아뢰다 - 세종 27년 을축(1445) 8월 24일(을축)

의정부에서 호조의 첩정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국가에서 의창(義倉)을 설치하여 가난한 백성에게 꾸어 주고, 만일 부족하면 또 군자(軍資)를 내어 보충하니 민생을 넉넉하게 하여 주는 것이 지극합니다. 그러나, 받은 자가 세월을 지연시켜 환납하지 않고 수령도 예사[常事]로 보고 살피지 않습니다. 국가에서 부득이하여 환납을 재촉하는 법을 베풀어서 관리가 혹은 가두고 혹은 때리고, 혹은 받은 자가 도망하면 그 일가에게 물리니 근심과 원망이 없지 못한데, 근년 이래로 그 폐단이 더욱 심합니다. 감사가 청하는 의창의 곡식 수량은 한 도에 6, 7만 석에 이르러 의창(義倉)과 군자(軍資)가 모두 탕갈하였으니, 병진년에 충청도의 흉년 같은 것도 다행히 전라도의 저축이 있어서 백성이 살아 날 수 있었지, 만일 전라도의 저축이 없었다면 어떻게 진휼 구제하였겠습니까. 또 갑자년에 경기(京畿)의 흉재(凶災)로 하도(下道)이 미곡을 수운하다가 풍랑을 만나 파선하여 군인 수십 명과 쌀ㆍ콩 수만 석이 표몰(漂沒)하였으므로, 또 서울의 창고의 미곡을 내어서야 진휼할 수 있었는데, 한 번 재앙을 만나도 오히려 이러하거든, 어찌 3년의 저축을 바라겠습니까. 만일 혹시 군려(軍旅)의 창졸의 변이 있으면 장차 어떻게 지탱하겠습니까. 그 구폐(救弊)할 조건을 뒤에 열거합니다.
1. 무릇 주현(州縣) 경내에 사는 백성의 전택(田宅)ㆍ자산(資産)을 상ㆍ중ㆍ하 3등으로 나누어 매년 정월 이전에는 환상(還上)을 주지 말고, 응당 환상을 받을 자도 모두 쌀을 팔고 사는 법에 의하여 목면(木緜)ㆍ정포(正布)ㆍ면주(緜紬)ㆍ동전(銅錢) 등 물건을 관가에 바치면, 관가에서는 시가(時價)보다 쌀 1말을 더하여 쌀을 내고, 가을 겨울에 이르러 백성이 쌀을 가지고 돈[錢]과 베[布]를 사는 자가 있으면, 관가에서 또 시가에 준하여 백성에게 쌀 2말을 감하여 쌀을 들이되, 시가의 높고 낮은 것은 감사(監司)에게 품(稟)하여 호조(戶曹)에 알려서 하고, 또 베 끝에 인(印)을 찍어서 후일의 고증에 빙거하되, 만일 심히 가난하여 돈과 베를 바칠 수 없는 자는 전환상(錢還上)의 예(例)에 의하여 나누어 주고, 쌀을 사고 파는 법도 또한 공법(貢法)에 정한 것을 써서 해[年]를 9등으로 나누어, 상 3등년(上三等年)에는 오직 하등호(下等戶)만 3월에 비로소 내는 쌀을 받게 하고, 중 3등년(中三等年)에는 중등호(中等戶)는 3월에 비로소 내는 쌀을 받고, 하등호(下等戶)는 2월에 비로소 내는 쌀을 받게 하고, 하 3등년(下三等年)에는 상등호(上等戶)는 3월에 비로소 내는 쌀을 받고, 중등호(中等戶)는 2월에 비로소 내는 쌀을 받고, 하등호(下等戶)는 정월에 비로소 내는 쌀을 받게 하고, 연분(年分)이 9등에 들지 못하는 병진년의 충청도(忠淸道)와 갑자년의 경기(京畿) 같은 때에는 따로 구처(區處)가 있을 것.
1. 군자(軍資)와 의창(義倉)은 서로 섞일 수 없으니, 매출(賣出) 매입(買入)하는 쌀ㆍ콩과 곡식 종자는 각각 그 경내의 인구와 전지(田地)의 많고 적은 것에 의하여, 하등(下等)에 따라 나누어 주는 수(數)는 의창이 붙이고 그 나머지는 군자에 붙이되, 군자(軍資)는 모두 쌀과 콩으로 수납할 것.
1. 이 앞서 준 환상(還上)을 바치지 않은 자가 혹은 가난하고 못살아서, 혹은 호강하고 교활하여 세월을 지연시켰는데, 지금 상 3등년 3등호를 모두 미곡으로 받고, 중 3등년에는 중등호는 3분의 2의 미곡으로 받고, 3분의 1은 전포(錢布)를 받으며, 하등호는 반은 미곡으로 받고 반은 전포로 받고, 하 3등년에는 상등호는 3분의 1은 전포로 받고 3분의 2는 미곡으로 받고, 중등호는 반은 미곡으로 받고 반은 전포로 받고, 하등호는 모두 전포로 반되 5년을 기한하여 완납하고, 한년(限年)에 바치지 않는 자는 모두 미곡으로 받을 것.
1. 경기(京畿)의 광주(廣州)ㆍ양주(楊州)ㆍ수원(水原)ㆍ여흥(驪興), 충청도의 충주(忠州)ㆍ청주(淸州)ㆍ공주(公州)ㆍ홍주(洪州), 전라도의 전주(全州)ㆍ남원(南原)ㆍ나주(羅州)ㆍ무진(茂珍=광주) 등 각 관(官)은 금년부터 시작하여 윗 항목의 법을 시행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원전】 4 집 633 면
【분류】 재정-전세(田稅) / 재정-창고(倉庫) / 구휼(救恤) / 군사-병참(兵站) / 농업-권농(勸農)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