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역사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효자와 절부에 대한 포상을 주청하다 - 세종 13년
서구문화원
날짜 2021-02-02 10:57
효자와 절부에 대한 포상을 주청하다 - 세종 13년 신해(1431) 10월 28일(기미)
예조에서 아뢰기를,
“<중략> 전라도 전주의 기관 이정은 나이 12세에 어머니가 죽으매 시체를 안고 밤낮으로 슬피 울었으며, 빈소 곁에 있으면서 몸소 밥을 지어 조석으로 받들고 3년 동안 무덤을 지켰으며, 무진군(茂珍郡=광주)의 기관(記官) 금라(金羅)는 나이 9세에 어머니가 죽으매, 무덤 곁에 여막(廬幕)을 짓고 3년의 상기를 마쳤으며, 남원부에 사는 강일우(姜一遇)는 나이 16세에 어머니가 죽으매, 3년 동안 무덤을 지켜 예절로써 상기를 마쳤으며, 용안현에 사는 고천계(高天桂)는 기해년에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할 때에 아버지를 대신해 가서 사로잡혀 구류(拘留)되었다가 경자년에 이르러서야 돌아왔는데, 아버지가 이미 죽었으므로 3년 동안 상복을 입고 그 어머니를 봉양하여 효성을 다했으며, 무진군에 사는 선군 이실(李實)의 아내는 나이 14세에 온 집안이 역질(疫疾)에 걸리니, 이웃에서 서로 통래(通來)를 하지 않으므로, 어머니와 형이 다 죽자 그녀는 그 아버지와 함께 시체를 거적에 싸서 집 밖에 장사지냈으며, 아버지가 또 죽으니, 그녀는 하늘을 부르고 땅을 치면서 물통으로 아버지의 시체를 가리워 장사지내고는 밤낮으로 그 곁을 떠나지 않았으며, 역질 기운이 사라지자 읍리(邑里)에 청하여 먼저 부모를 장사지내고 후에 그 형을 장사지냈으며, 전주에 사는 참군(參軍) 정상주(鄭尙周)의 아내 김씨는 나이 26세에 남편이 죽으니, 시어머니를 따라 살면서 나이 80세가 넘도록 효성으로 봉양하여 도리를 어기지 않았으며, 강진현(康津縣)에 사는 생원(生員) 김괄(金适)의 아내 김씨는 나이 25세에 남편이 죽으매, 시어머니의 곁을 떠나지 않고 지성으로 봉양하여 오랜 세월이 지나도록 효성을 변하지 않았으며, <중략>. 위의 항목(項目)의 효자(孝子)ㆍ절부(節婦) 가운데서 포상(褒賞)을 받지 못한 사람은 다른 예에 의거하여 복호(復戶)하고, 효자로 재주가 벼슬할 만한 사람는 재주를 헤아려 서용(敍用)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원전】 3 집 351 면
【분류】 윤리(倫理) / 재정-역(役) / 인사-임면(任免) / 풍속-예속(禮俗)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