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옛지도에 나타난 광주의 모습

우리나라에서 지도는 삼국시대부터 그려졌다고 하지만 광주를 그린 지도는 조선시대 것만이 전해진다. 조선시대 광주를 그린 지도는 대략 40여 점이 알려져 있다. 이들 지도는 전국을 다룬 지도첩에 속한 것, 읍지邑誌나 지지地誌에 실린 것, 특별한 목적에서 개별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나뉠 수 있다.

지도는 한 시대의 초상화다. 시간은 잠시 종이 위에 멈추고 그 시대의 애기를 들려준다. 이 중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해동지도와 여지도서, 비변사인 방안지도, 지승, 호남읍지, 1872년 지방지도와 1879년 광주읍지, 1899년 광주읍지에 그려진 옛 광주의 모습을 살펴본다.


1872년 지방지도


흥선대원군은 국방 강화를 목적으로 1872(고종 9) 3월부터 6월에 걸쳐 전국 지방의 지도를 제작해 올리게 했는데, 이것이 필사본 회화식으로 제작된 총 459장의 1872년 지방지도地方地圖이다. 조선시대 관찬지도 제작 사업의 마지막 성과로 평가되며, 한 시기에 제작되어 수합된 지방지도로는 가장 많은 양이다. 1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지도가 제작되었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그려지지 못했으나, 풍부한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다.


1872년 지방지도 속 광주


광주지도는 하나의 산봉우리를 마치 한 조각처럼 표현하고 있어 조선시대에 제작된 광주지도 중 가장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남쪽을 지도의 상단으로 표시하였는데, 이는 왕성 중심 사고의 반영과 무등산을 강조하고자 한 의도로 보인다. 지도 상단에는 광주의 역사적 연혁 등이 기재되어 있다.

광주읍성의 성벽은 성가퀴를 단 정사각형으로, 네 방향의 성문에는 각기 고유의 이름도 그려져 있다. 동쪽 성문은 서원문瑞元門, 서쪽 성문은 광리문光利門, 남쪽 성문은 진남문鎭南門, 북쪽 성문은 공북문拱北門이 그것이다.

또한, 성 안의 네 성문을 잇는 십자형 도로와 관아 및 부속건물, 그리고 성 밖의 주요 경관 등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성 안의 네 성문을 잇는 십자형 도로가 서로 맞닿는 지점은 지금 충장로 우체국 앞 사거리다. 또한 이 지도는 세종대에 김방이 축조하였다는 경양방죽이 원형으로 그려져 있고, 경양방죽의 수원 중 하나가 광주천이었음을 알게 해준다.

하지만 1872년 광주지도는 관아의 배치 상황이 실제와 다른 부분이 많다. 예를 들면 지도에서 객사는 동문과 북문 사이에 있는 것으로 그려졌지만, 실재는 서문과 남문사이에 있었다. 그럼에도 이 지도는 조선시대 광주 관아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 지도에 따르면 객사의 정문인 황화루皇華樓 외에 광주목사의 집무소인 동헌의 정문으로 제금루製錦樓라는 별도의 2층 누각이 있었고, 객사와 관아가 공간적으로 대칭되는 형태임을 알 수 있게 해기 때문이다.


여지도서


여지도서輿地圖書1757, 1760년 영조의 명에 따라 홍문관에서 각 군현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엮은 전국 읍지이다. 이 책은 조선 전기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다시 고치고 그 동안의 변화 내용을 싣기 위해서 편찬되었다. 55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국의 295개의 읍지와 17개의 영지營誌 1개의 진지鎭誌 등 총 313곳의 지리지가 수록되어 있다.


여지도서 속 광주


광주목光州牧이라는 읍 명칭이 있는 지도 위쪽에는 무진武珍, 광산光山, 해양海陽, 익주翼州, 화평化平, 무진武珍, 익양翼陽. 서석瑞石, 무주武州라는 광주의 옛 지명이 표기되어 있다. 광주목光州牧 지도는 위쪽이 북쪽, 아래쪽이 남쪽으로 노란색 직사각형 안에 각 면의 이름이 표시되어 있다. 성안이 성내면城內面, 성밖 동쪽이 편방면, 서쪽이 공수방면, 남쪽이 부동방면, 북쪽이 기례방면의 표기가 그것이다.

읍성은 거의 정사각형의 형태로 그려졌고, 읍성의 동서남북에 성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4개의 성문이 그려져 있다. 읍성 안에는 성내면이라는 이름과 함께 동쪽에 관아라는 뜻의 아, 서쪽에 곡식을 보관하는 창과 궐패를 모신 건물 객사客舍가 적혀져 있다. 당시 객사는 광산관이었다. 경양호나 경양역, 유림숲은 빠지고 없는데 공북루 오른쪽에는 태봉胎峰, 남문 밖 오른쪽에는 정지 장군을 모신 사당 경렬사가 표시되어 있다.


지승


지승地乘은 주요 군사 요지와 전국 군현을 그린 회화식 지도책이다.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평안도 및 황해도, 함경도 및 강원도 등 총 6책으로 구성됐다. 전반적인 지도의 내용, 구도 등의 요소로 미루어 해동지도, 광여도, 여지도 등과 유사한 계통의 지도책인 것으로 보인다. 제작 시기는 빨라도 1776년 이후로 추정된다.


지승 속 광주


광주목이라고 명시된 지도는 북쪽을 위로 하여 그렸다. 다른 지도에 비해 정밀하지 않으며 거친 필치로 그려져 있다. 세로로 면이름을 쓰고 있는데, 읍성 내에 성내면城內面이 있다. 정방형에 가깝게 그려진 읍성 내에는 6채의 건물이 그려져 있는데, 동쪽에 아, 서쪽에 창과 객사客舍가 있다. 동서남북에 성문이 있고, 동문과 남문, 북문을 개거식開拒式으로, 서문은 평거식平拒式으로 묘사하고 있다.

읍성 내 관아 건물 위치는 여지도, 비변사인방안지도, 해동 지도와 매우 유사하다. 읍성 밖으로는 북문 바로 위에 공북루拱北樓, 읍성 동쪽으로 태봉胎峯과 경양역景陽驛, 읍성 서쪽으로는 향교鄕校, 남쪽에는 경렬사景烈祠가 표시되어 있다.


해동지도


해동지도海東地圖는 도별읍지를 보완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지도책으로 영조 연간에 작성된 도별읍지를 모은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제작연대와 같은 시기로 추정된다. 8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7책이 호남전도다.

해동지도에는 조선시대의 광주 명승과 사적 등을 다룬 지지地誌에 나오는 장소를 최대한 많이 그려 넣고자 애쓴 흔적이 보인다. 그러나 개별 장소에 대한 구구한 설명은 없다. 당시 이런 지도를 볼만한 사람이라면 구구한 설명이 없다고 해도 이미 그 정도의 지식은 있는 것으로 생각했던 것 같다.


해동지도 속 광주


광주읍성은 동서남북 네 성문과 함께 성곽을 사각형으로 그리고 있다. 읍성 안 건물로는 하모당 등 관아를 의미하는 아사衙舍, 옛 무등극장 일대에 있었던 객사客舍인 광산관, 현재의 충장치안센터 옆에 있던 곡물창고인 창3곳만이 표시되어 있다.

소략한 묘사이지만 건물들의 대략적인 위치는 사실과 부합한다. 실제로 관아인 아사는 지도의 동문과 남문사이의 구역에 있었고, 그 왼쪽에 객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창고는 북문이 있던 충장치안센터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읍성 안이 성내면, 성 밖은 기례방면, 공수방면, 부동방면, 편방면 등 각 면의 이름이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읍성 밖에는 태봉산과 공북루, 향교, 경렬사와 광주천, 무등산, 금당산 등이 그려져 있다.


비변사인 방안지도


국가 군무와 국정을 총괄했던 비변사에서 1740년대에 편찬된 지도와 이를 모사하여 부분 수정된 지도들이 해당된다. 이 지도는 비변사인의 인장이 찍혀 있고, 모눈과 같은 방안方眼이 넣어져 있어 비변사인 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라 불린다.

지도에 보이는 광주는 읍성을 중심으로 한 광주 지역의 산세와 하천 줄기 등이 비교적 상세하다. 지도 상단에 상세한 주기朱記를 단 점과 여러 충신들을 배향하는 서원 등을 세세하게 기록한 점 등은 해동지도와 유사하다.

다른 지도에 비해 도로망과 봉수망烽燧網이 붉은 선의 직선 형태로 표현되어 있고, 군사적인 지리 정보가 강조되어 있다. 1칸이 1리를 나타낸다.


비변사인방안지도 속 광주


광주읍성의 북쪽 일부가 훼손되어 있어 성곽의 전체적인 윤곽을 알기는 쉽지 않지만, 네 성문과 함께 성가퀴가 달린 성벽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지도는 북쪽을 위로 하여 그렸고, 보라색 동그라미 안에 면 이름을 적었다. 광주는 서울로부터 730, 전주 감영에서에서 230리 떨어져 있다.

논밭은 10,951, 민가는 8,295, 총 인구는 31,847(남자 15,481, 여자 16,366)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성 둘레는 1,401(, 1파는 6척이며 1척은 30.3센티미터다)로 동서남북으로 성문 각 1개가 있으며, 문 옆에 방위를 표시했다.

읍성 내 동쪽에는 아사衙舍, 남쪽에는 희경당喜慶堂, 서쪽에는 객사客舍 등 주요 관아 건물을 그렸다. 손상된 부분에 성내면城內面, 주사州司로 추정되는 글자가 있다. 이 외 다른 건물들은 지붕만 그렸다. 읍성 밖에는 여단厲壇, 성황단城隍壇, 사직단社稷壇과 함께 향교鄕校, 공북루拱北樓, 태봉胎峰, 경양역景陽驛, 석서정石犀亭 등을 묘사했다.

다른 지도와는 달리 희경당喜慶堂이 등장하는데, 15세기에 건축된 희경루가 이 무렵 이름을 희경당으로 바꾼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광주천 건너에 석서정石犀亭이 보이는데, 1914년 광주의 부호 정낙교가 세운 양파정의 위치와 비슷하다. 그런데 이 지도의 희경당과 석서정은 지도가 작성된 18세기 당시의 모습이 아닌 광주를 다룬 각종 지지류에 등장하는 명소를 표시했을 가능성이 높다.


호남읍지


읍지는 지방의 부...을 단위로 하여 지역에서 편찬한 지리지이다. 읍지는 다시 서술 대상 지역의 규모에 따라 도지道誌, 군현지郡縣誌, 촌면동지村面洞誌, 진영지鎭營誌, 변방지邊防誌 등으로 구분된다. 호남읍지는 1871년 편찬된 전라도 읍지이다.


호남읍지 속 광주


호남읍지는 다소 거친 필치로 그려졌다. 지도는 두 페이지에 걸쳐져 있는데 남쪽을 위로하였기 때문에 광주의 진산인 무등산이 맨 위에 있다.

성내에는 서쪽으로 객사客舍, 북쪽으로 사창司倉, 남쪽으로 관사官舍 건물군이 묘사되어 있다. 성 밖에는 향교鄕校, 증심사證心寺, 공북루拱北樓, 유림柳林, 태봉胎峯 등이 그려져 있다. 주황색 네모 안에 광주 각 면의 이름을 적었으며, 노란색 네모 안에는 무등산, 서석, 원효암과 같은 산이나 사찰 이름을 적었다.

광주읍성은 풍수적 명당과 전혀 관계없는 곳에 입지했다고 하는데, 이는 풍수가 읍치 위치 선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고려시대에 자리 잡았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에 따르면 광주 읍성은 고려시대 도시 모습을 간직한 대표적인 도시라고 할 수 있다.


광주읍지도


광주읍지도는 1879년 편찬된 광주읍지에 수록된 지도이다. 읍성(성내면)을 중심으로 편방, 부동방, 공수방, 기례방 등 4개의 방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에 광주 읍내의 개념을 잘 보여준다. 1879년 광주읍지도는 1872년 광주지도처럼 지도의 위쪽이 남쪽으로 되어 있다. 광주의 사방을 산으로 에워싸인 형국으로 묘사했는데, 이는 실제의 모습이라기보다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준다는 관념에 충실한 것으로 보인다.


광주읍지도 속 광주


지도 속의 광주읍성은 모퉁이가 둥글게 그려져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정사각형의 형태를 띤다. 성안의 건물로는 객사, 황화루, 하모당, 훈련청, 사창, 관덕정, 향청이 그려져 있어 다른 지도에 비해 많은 편이다.

객사는 옛 무등극장 일대에 있던 광산관이며, 황화루는 그 정문에 해당하는 2층 누각인데 서석로와 맞닿는 도로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모당은 옛 전남도청 맞은편의 상무관 앞쪽에 위치한 건물로, 현재는 금남로에 편입되었다. 훈련청은 지금의 금남로 1가의 충장서림에 위치했는데 일제 강점기 이곳에는 경찰서가 들어서게 된다.

사창社倉은 흔히 읍창으로 불렸는데 충장치안센터 옆 인성빌딩 자리에 있었다. 사창이 있었던 인성빌딩 자리는 1919년까지 북문안 교회가 있던 곳이기도 했다. 관덕정은 15세기에 건축된 희경루의 후신으로 보인다.

정확한 위치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객사가 있던 옛 광주우체국 사거리 일대와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광주목사의 자문기구였던 지방 양반들의 자치 기구였던 향청은 옛 학생회관 골목 중간에 있었다.

동쪽 문인 서원문 근처에는 여제단과 경호(경양방죽), 서쪽 문인 광리문 근처에는 사직단과 향교 대신 1896년 전라남도관찰부 공립소학교가 들어선 사마재司馬齋 건물이 보인다. 남쪽 문인 진남문 근처에는 성황단과 활터인 사정射亭이 보이고, 북쪽 문인 공북문 근처에는 공북루와 이미 사라져버린 유림柳林도 보인다.


광주읍지


1899년 읍지는 부...등 지방 각 읍을 단위로 하여 작성된 지리지이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지방지地方誌 또는 방지方誌라고 호칭하며, 읍지라는 표현은 조선에서 고유하게 사용한 명칭이다. 조선 전기에는 전국 지리지의 편찬이 이루어지다 16세기에 이르러 지리지의 편찬 양식이 전환하면서 각 군현별로 읍지가 작성되었다.


광주읍지 속 광주


광주읍지에 수록된 광주의 지도로 남쪽을 위로 한 회화식 지도다. 이 지도는 1899년 제작된 지도로 알려지기도 하는데, 이는 지도에 등장하는 경무청, 지방대 등의 건물 명칭 때문이다. 크기에 비해 간략한 편이지만 1872년 지방지도 다음으로 관아 내 건물이 많이 그려진 지도다.

중앙 부분에 객사가 있고, 서문 방향에 동헌東軒, 동헌의 반대편에 지방관의 내아인 서헌西軒이 있다. 동헌과 서헌 사이에는 선화당宣化堂이 있다. 북문쪽으로 황화루皇華樓가 있고, 서문 앞에 관덕정觀德亭이 있다. 이 외 집사청執事廳, 주사州司, 서청書廳, 서기청書記廳, 지방대地方隊, 경무청警務廳 등의 건물이 있다. 세로 상자 안에 면() 이름을 표시했고, 지산동 5층 석탑과 여제단의 형태가 묘사되어 있다.

Tag #지방지도여지도# 서지승해동지도# 비변사인방안지도# 호남읍지# 광주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