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문화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알려드리는 다양한 전시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 전남의 문화예술계의 다양한 소식과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주한미대사관으로 간 무안 벅수는 어디에 있나?
김주영 사진전 ‘한국의 바위문화_전라남도’ 예술이 빽그라운드

주한미국대사관에 한국의 석장승(벅수) 한 쌍이 있었다고 한다. 이 벅수는 1976년 당시 무안군수가 미대사관에 '기증'했다고 알려지는데 지금도 그곳에 있는지 궁금하다.

무안읍성(성남리) 벅수는 원래 24기였으나, 12기는 남산공원 입구로 옮겨졌고, 나머지 12기는 서울 정동 미국대사관저로 옮겨졌다는 것이다.

사진작가 김주영은 이 벅수의 사진을 찍고 싶었으나 아직 찍지 못하고 있다. 현재 이 벅수가 어디에 보존되어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며, 반환 논의가 있었는지도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전국의 바위문화를 답사하며 사진으로 기록을 남기는 김주영 작가가 전남의 바위문화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특별한 사진전이 열린다. ‘예술이 빽그라운드21일부터 28일까지 김주영 사진작가의 개인전 한국의 바위문화_전라남도라는 주제의 전시회를 갖는다.


*무안군 해제면 광산리 발산마을 미륵 당산_Gumoil Print_40.5x27cm. 2024

이번 전시는 전남의 18개 지역에서 촬영된 140점의 검오일 프린트 작품으로, 마애불, 미륵, 벅수, 장승 등 한국의 전통 바위 문화재를 집대성한 기록이자 예술적 재해석이다.

김주영 작가는 1986년 건축학을 전공했고, 2009년 본격적으로 사진의 길로 들어섰다. 2016년부터는 전국의 바위 문화재를 찾아 8년간 답사하며 촬영을 이어왔다. 그동안 2013년 심산 스쿨 갤러리에서 첫 개인전 사진으로 다시 시작하다에 이어 호텔 앰버서더가 주최한 도시사진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이번이 네 번째 개인전이다.

김 작가의 목표는 사라져가는 전통 신앙의 흔적을 사진으로 기록해 후대에 남기는 것이다. 화강암으로 조각된 장승, 마을을 수호하는 미륵, 절터에 남은 마애불까지, 그는 산속 깊은 곳과 폐가로 뒤덮인 마을까지 누비며 현장을 포착했다.

김 작가의 답사 과정은 험난했다. 지정 문화재조차 관리가 소홀해 접근이 어려운 경우, 마을 주민조차 존재를 모르는 비지정 문화재, 심지어 군사 통제구역 안에 갇힌 장승까지. 한 번은 임도에서 3시간을 헤매며 모기와 가시덤불을 뚫고 장군바위를 찾아냈고, 폐가에 갇힌 미륵은 이장의 도움으로야 겨우 촬영할 수 있었다.

이번 전시의 핵심은 검오일 프린트(Gumoil Print)’라는 독특한 인화 기법이다. 19세기 후반 회화주의 사진에서 유래한 이 기법은 화강암의 울퉁불퉁한 표면과 세월의 흔적을 생생히 전달하는데 최적의 방법이라는 것이다.

김 작가는 검오일 프린트가 바위의 피부를 가장 정직하게 표현한다고 강조한다. 모든 작품이 A3 크기로 제작된 것도 이 기법의 특수성 때문이다. 직접 프린트해서 만들 수 있는 네거티브 필름의 한계가 A3 크기의 흑백인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전시와 함께 출간된 전자도록 남도 지킴이(출판사 KAR)100점의 사진과 작가의 해설을 담았다. 벅수, 장승, 미륵, 마애불 등 7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지역별 특색과 마을 주민의 구전 명칭을 반영했다. 디지털 서적로 제작되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언제든 접근할 수 있는 점도 현대적 기록의 의미를 더한다.

전시장 한켠에는 ‘MOST WANTED’ 코너가 마련됐다. 진도군 덕병리에서 1989년 도난당한 한 쌍의 석장승(대장군, 진제동)에 대한 수배 문건이 걸려 있다. 예술이 빽그라운드는 이번 전시를 계기로 국민적 관심을 모아 문화재를 찾는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한국의 뿌리를 찾는 여정이자, 미래로 이어질 문화 계승의 다리다. 돌에 새겨진 시간을 마주하는 순간, 우리는 과거와 현재를 잇는 통로에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전시 정보

기간: 2025.2.1() ~ 2.28()

장소: 예술이 빼그라운드(광주광역시 동구 구성로 204번길 1-1)

문의: 062-226-2446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