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공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백마산

서구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

백마산은 서구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에 위치해 있는 산이다. 금당산에서 남서쪽으로 화방산을 거쳐 송학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절골[寺洞] 동편을 타고 북쪽으로 향하면서 솟아있다. 서쪽으로 극락강이 흐르고, 광주공항과 송정리 일대가 조망된다.

개금산을 마주보고 있으며 해발고도는 162.1m. 백마산으로 불리는 설은 대략 몇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먼저 중종.연산군 때 전라도사와 담양부사를 지낸 조선 중기 문신 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과 밀접하게 연관이 돼 있다.

박상의 부친이 충청도 대덕 와동에서 처갓집(정지 장군 손녀)을 따라 마땅히 거처할 곳을 정하기 위해 오던 중 장성 갈재 주막에서 꿈을 꾸었는데 입암산 산신령께서 흰 말 두 마리를 내어주면서 하얀 말이 멈추는 곳에 정착하라 했다 한다. 그런데 백마가 서창 방하동 방마산에 이르러 더 이상의 이동을 멈추었다. 그래서 원래 방마산이라 불렸는데 이 백마 사건 이후 백마산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한다.

또 하나는 대동여지도를 통해 유추되는 부분이다. 대동여지도에는 송악 출신의 호족으로 궁예 밑에서 세력을 키우다 고려를 건국한 왕건王建이 진을 쳤다는 왕조대王祖臺가 표기돼 있는데 그 터가 나주시 노안면 학산리 봉호마을 뒷산과 이곳 백마산이라는 것이다. 그런 때문에 우뚝 선 뫼로 몰매말매마산백마산으로 변화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 산은 서창동 동사무소가 자리한 세하동 세동마을 뒤에 있다. 임란왜란 의병장 삽봉揷峯 김세근金世斤(15501592) 장군이 조선조 중기 관직을 버리고 고향인 경남 함안군 마륜동을 떠나 거주하기 위해 들어선 곳으로 그 행자를 따서 부르게 되면서 마을 이름이 세동이 됐는데 세동마을의 병풍 같은 역할을 한다.

높이는 그리 높지 않으나 그 모습이 새끼 말을 거느린 어미 말을 닮아 더욱 친근감을 안겨준다. 그 말의 입이 닿는 듯한 곳에 송학초등학교가 있다. 어미말과 새끼말 사이가 깊은 계곡을 이루고 있으며 소나무 숲이 우거져 있는, 수려한 곳이었다. 항간에는 백마산이 말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지역 명칭에 따른 오류라는 지적이다.

세동마을을 언급할 때는 김세근 장군을 빼놓을 수 없다. 김세근 장군은 조선 선조 때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임진왜란 당시 백마산에 장정들을 모아 훈련을 시켜 의병으로 키워냈다. 이 의병 300명을 이끌고 임진왜란에 출전, 나중에 관군 200명까지 규합해 충남 금산 전투에서 제봉 고경명 장군과 왜적에 맞서 싸웠으나 1592710일 순국했다.

김세근 장군이 장정들을 모아 의병들을 키워냈던 군사훈련장이 바로 이곳 백마산이다. 그리고 이 훈련장이 자리한 골짜기를 수련골이라 부른다. 또 산 정상에 조그만 암굴이 있는데 김세근 장군이 무더운 여름철을 이곳에서 머물렀다 하여 장수골로 불린다.

동하마을에 있는 담에 거석(巨石)이 끼어 있다. 백마산 김장사(세근)와 무등산 김장사(덕령) 간 힘겨루기를 하여 백마산 장사가 이겼다는 이야기가 전하는 바위이다. 고경명(高敬命, 1533~1592)과 함께 금산에서 순절한 김세근은 불암마을 학산사(鶴山祠)에 배향되었다.

세동마을에서 산을 넘어 매월 사동마을(절골)로 넘어가는 곳에 가파른 고개 하나가 있다. 그런데 이 고개에는 몹시 슬프고 외설스러운 설화 하나가 전해진다.


일제강점기 초 일본인과의 상종이 싫어 집을 떠나 전국을 방랑하는 어느 마을 양반집 남매가 있었다. 이들이 어쩌다 이 고개를 넘어가는데 앞서 가는 누이의 치마가 갑자기 일어난 회오리바람에 말려 감아 오른 바람에 하체가 드러났다. 이를 본 동생은 순간 욕정을 느껴 큰 나무 밑에 숨어 신음을 하다가 인륜을 벗어난 자기 행동을 하고 심한 자책감과 수치심 때문에 그만 자결하고 말았다. 누이는 뒤쳐진 동생이 오지 않자 용변 때문이러니 하고 정상에서 기다렸다.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동생의 기척이 없자 다시 내려가서 보니 동생이 혀를 깨물고 죽어있었다. 그것을 본 누이도 그 자리에서 같이 죽고 말았다는 슬픈 이야기가 서려 있다.


서창동사무소에서 백마산을 타고 정상을 지나 매월동 개산호수(전평호수)로 넘어가는 길의 왼쪽에 자리한 봉우리가 각시봉이다. 각시봉은 부부가 함께 오르면 부부 금술이 좋아진다고 한다. 인근에 백마제와 권안제라는 작은 못이 있다.

백마산은 도심에 있는 야트막한 산이다 보니 인근 주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개산호수에서 출발했을 경우 백마정을 거쳐 백마산 전망대, 팔각정, 세동마을을 오가는 코스를 통해 서창들녘을 바라보며 느린 산행을 즐겨보는 것도 또 다른 여행의 백미라 할 수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